토론실

필자가 대학생때 이야기이니 20년도 전 일이다.

대학에 가보니, 문과생들은 죄다 고시공부만 하고 있더라.

교양과목 교수들은 죄다 비겁해져있었고,

좌파교수라는 김수행 김진균은 아주 오래된 마르크스 고전만 이야기하더라.


아. 열심히 해서 왔던 대학의 모습은 정말 아니올시다였다.

팔뚝질을 해도, 군대에 다녀오니, 세상은 정말 많이도 변해있더란거다.


서울대 엘리트라고 자처하는 한동훈 윤석렬의 민낮은 너무도 부끄럽다.

서구사회에서는 중범죄중 중범죄인 논문 브로커....

아이들이 공부를 좀 못하는건 상관없지만, 거짓말로 키우면 자식들이 주눅들어서 멸망하기 쉽상이다.


서울대-연고대-카이스트 정도라면, 세상과 싸울 마음을 가져야한다.

룸싸롱에서 대기업 본부장들하고 양주 먹으니, 세상이 만만한가?


한동훈 자녀와 처가의 모습을 보니, 한국 엘리트들의 추한 민낮이 역겹다.

한국 엘리트 세대교체가 절실하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7]레인3

2022.05.09 (18:12:32)

S대 가면 들어가자마자 고시 공부만 한다는 거  유명한 이야기죠.

수업 시간에 질문도 안 하는데, 누가 하면 이상한 사람 쳐다보듯 한다는 이야기도 들었네요.


시간이 흘렀으니 요새는 모르겠네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21]chowchow

2022.05.10 (00:39:01)

서울대 나온 사람들이 욕을 먹는 이유는 한국에서 갑질을 하기 때문입니다.

반대로 해외에서 갑질하면 대환영이죠.

누군가가 갑질을 한다는 것은 내 권력을 뺏어간다는 건데,

반대로 해외에서 갑질을 하면 내 권력이 커지므로 대환영

손흥민이 20호 골로 갑질을 하면 내가 기분이 좋아지는 것과 마찬가지.

미국 엘리트엔 굽신거리고 한국 지방대엔 갑질하고 이런 건 아니잖아요.

밖에서 굽신거리다가 집에 들어와서 마누라 패는 놈들이랑 다를 게 뭐냐고요.

Drop here!
[레벨:30]스마일

2022.05.11 (11:52:15)

미국 대학에 나오는 사람들은 미국에서 취직했으면 좋겠다.

IVY리그 좋아하고 하버드 좋아하면

미국에 교육비 주고 미국경제를 돌아가게 했는 데

왜 이준석은 미국에서 취직 못하고 한국에서 와서 난리이냐?

이준석은 미국에서 취직할 실력은 안되나?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2785
1967 -학부모에게 쓴 글- 창의란 무엇인가? 4 오세 2010-09-09 6903
1966 노예의 길, 주인의 길 image 5 양을 쫓는 모험 2009-12-15 6903
1965 질문 - 의심과 믿음 image 21 김동렬 2013-01-16 6894
1964 권태. 1 아제 2010-09-18 6891
1963 가벼운 것이 더 빨리 떨어진다? 17 김동렬 2014-11-09 6882
1962 밀도는 질의 성질이다. 5 아제 2010-08-24 6837
1961 인간이 자살하는 이유 6 김동렬 2015-12-18 6815
1960 지성세력의 맡은 바- 소임[所任]의 구조 ░담 2010-05-26 6772
1959 한국의 커뮤니티 눈내리는 마을 2010-04-04 6764
1958 깨달음이란 무엇인가? image 2 김동렬 2017-01-02 6759
1957 구조론부흥대성회 image 17 양을 쫓는 모험 2011-12-13 6759
1956 깨달음을 그리다 영어번역에 관하여 image 1 ahmoo 2010-01-18 6757
1955 설국열차의 진실은? image 4 김동렬 2013-07-31 6748
1954 연역과 귀납 5 아제 2010-02-20 6733
1953 덧붙이는 이야기 image 김동렬 2009-04-10 6729
1952 문자 사용하는 유인원들 8 LPET 2009-12-02 6726
1951 나스카 지상화의 비밀 image 김동렬 2017-03-16 6718
1950 경쟁에 반대한다 Intro: 나는 가수다? image 14 오세 2011-03-14 6715
1949 오랑캐와 오랑우탄 김동렬 2012-10-30 6700
1948 존재의 이유 image 13 양을 쫓는 모험 2010-03-18 66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