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581 vote 0 2021.12.07 (19:29:40)

    인간이 저지르는 대부분의 오류가 방향을 헷갈리는 것이다. 임대와 임차를 헷갈리고, 빌다와 빌리다를 헷갈리고, 주인과 손님을 헷갈리고, 가해자와 피해자를 혼동한다. '쌀 팔아오너라.'고 하면 쌀집에 가서 쌀을 사오라는 말이다. 옛날 사람들은 사다와 팔다를 반대로 말하는 경향이 있다. 한자어 매매賣買도 발음이 비슷해서 헷갈리기 딱 좋다. 불다와 빨다, 더하다와 덜어내다, 박다와 빼다는 발음이 비슷한데 동작은 반대다.


    헤겔의 변증법이니 양질전화니 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량이 질로 되는 일은 절대로 없다. 엔트로피의 법칙과 맞지 않다. 혼란이 일어나는 이유는 사건의 닫힌계를 지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사건이라는 개념조차 없기 때문이다. 사건은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일어난다. 여러 사건을 뒤섞어 놓으면 양질전화처럼 보인다. 하나의 사건의 결과가 다른 사건의 원인이 되면 엔트로피의 법칙이 부정되는 것처럼 보인다. 사건의 동력원과 파워트레인을 자세히 들여다봐야 한다.


    바닷물이 증발하여 비구름이 되고 빗물이 다시 강으로 흘러간다. 물이 순환한다. 바다가 비의 원인이고 비가 바다의 원인이다? 틀렸다. 물을 순환시키는 주체는 태양이다. 태양이 원인이다. 태양이 바닷물을 증발시키고 중력이 빗방울을 낙하시킨다. 둘은 다른 사건이다. 대부분 이런 식으로 헷갈리는 것이다. 이 하나의 원리만 철저하게 파고들어도 세상의 모든 문제는 거진 풀린다.


    좌우, 상하, 전후, 강약처럼 대칭되는 것은 서로의 원인이 될 수 없다. 항상 양자를 통일하는 제 3의 존재가 있다. 상부구조가 있다. A가 B의 원인이고 동시에 B가 A의 원인일 경우 양자를 통일하는 진짜 원인 C가 배후에 있다. 약자들이 지역과 성별과 피부색으로 나누어 서로 싸우도록 만들어놓고 이득을 취하는 강자가 배후에 숨어 있다.


    구조론은 일원론이다. 사건의 일방향성을 강조한다. 순환논증의 오류, 후건긍정의 오류를 극복하게 하는 것이 구조론이다. 엔트로피는 진작에 알려졌다. 엔트로피가 열역학에 한정되는게 아니라 자연의 보편적 원리라는 사실도 알려져 있다. 그런데 모른다. 사건의 일방향성을 어떻게 써먹어야 하는지를 모른다. 모든 사건에는 의사결정 메커니즘이 있고 일방향성이 있다. 사건은 시간을 타고 화살처럼 한방향으로 간다. 사건이 아니라 사물을 보므로 헷갈리는 것이다.


    총은 한 개의 방아쇠가 있다. 자동차는 하나의 엑셀레이터 페달로 전진한다. 스위치는 하나다. 의사결정은 한 지점에서 일어난다. 그물이 넓어도 벼릿줄은 하나다. 대충 얼버무리지 말고 핵심이 되는 하나에 도달할 때까지 사유를 밀어붙이지 않으면 안 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0958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9083
6224 우주는 디지털이다. 1 김동렬 2022-05-16 2549
6223 벤투축구의 수수께끼 김동렬 2022-11-29 2549
6222 넌센스 정국 2 김동렬 2022-05-22 2550
6221 구조와 자연 3 김동렬 2019-11-07 2554
6220 창발주의 등판 1 김동렬 2020-08-18 2556
6219 오은영 원리주의 리스크 김동렬 2023-07-21 2556
6218 원론과 공자 합리주의 김동렬 2022-12-26 2557
6217 아리스토텔레스가 본 것 김동렬 2022-02-18 2560
6216 구조론과 엔트로피 image 김동렬 2020-12-27 2561
6215 외계인은 없다 김동렬 2022-11-22 2561
6214 사유의 법칙들 김동렬 2021-12-09 2562
6213 양향자의 배신 1 김동렬 2022-04-27 2564
6212 무뇌좌파 멸망공식 김동렬 2022-06-21 2564
6211 열쇠와 자물쇠 김동렬 2022-06-16 2565
6210 구조의 발견 김동렬 2021-12-02 2566
6209 수수께끼 김동렬 2023-09-20 2567
6208 민주당의 원죄 김동렬 2022-04-05 2570
6207 구조론의 차원개념 김동렬 2020-12-10 2571
6206 갈릴레이의 빅 픽처 김동렬 2021-12-19 2573
6205 인간의 실패 김동렬 2023-01-01 25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