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인생사 한판의 바둑과 같다. 무엇인가? 바둑에도 정석이 있듯이 사건에도 정석이 있다. 그러므로 인생에는 답이 있다.

바둑은 귀에서 중앙으로 나아가는 낙차를 이용한다. 문명은 주변부에서 중앙으로 나아가는 낙차를 이용한다.

인생은 집단에서 개인으로 나아가는 기세를 이용한다. 바둑에서 얻을 수 있는 집의 크기는 정해져 있다.

연결할 것은 연결하고 버릴 것은 버려야 한다. 인생에서 얻을 수 있는 에너지 총량은 정해져 있다. 연결하여

에너지를 얻고 단절하여 에너지를 쓴다. 문제는 엔트로피다. 연결하려면 에너지를 써야하기 때문에 연결할 수 없다.

바둑에서는 있는 돌로 연결하지만, 인생에서는 그 돌을 만들어야 한다. 아니다. 이미 주어진 돌을 쓰면 된다.

문명이라는 끈, 진보라는 끈이 사건의 에너지원이다. 이미 주어진 사건의 에너지원을 써먹어야 한다. 

있는 돌을 써먹을 수는 있어도 없는 돌을 만들어낼 수는 없다. 사석작전으로 돌을 효율적으로 버릴 수는 있다.


보물찾기와 같다. 여러분은 신이 숨겨놓은 사건의 에너지원을 찾아 써먹을 순 있어도, 자기위주로 사건을 운용할 수는

없다. 신은 비용으로 조진다. 변화하는 환경에 에너지를 조달할 수 없다. 인생의 실패는 에너지 부족에 있고, 에너지가 부족한 이유는 사건을 갈아타는데 실패했기 때문이다. 그 사건의 에너지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장기전으로 가면 이길놈이 이긴다. 정직하게 천하를 상대해야 한다. 이것이 진짜 이야기다. 진짜는 불이다. 황금은 42.195km 밖에 있지만 여러분은 체력이 안된다. 불을 얻으려면 사건을 갈아타야 한다. 불을 지르고 불을 다룰 수 있다면 집단의 리더가 될 수 있다. 

진보라는 큰 사건으로 갈아타서 캐릭터를 구축해야 한다. 이것이 정석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2823
607 보트를 젓는다면? 6 김동렬 2013-06-06 4383
606 꿈의 발견 3 담 |/_ 2013-06-03 3880
605 평행우주? 단순한 속임수 김동렬 2013-06-02 4734
604 비과학적 사고의 예 2 김동렬 2013-05-28 4833
603 그림에서 잘못된 것은? image 14 김동렬 2013-05-27 4338
602 인류는 많지 않다. 칠십억도 그렇다 담 |/_ 2013-05-15 8297
601 인류의 기원 김동렬 2013-05-15 7454
600 1만 5천년 된 언어 image 3 김동렬 2013-05-13 4657
599 어느 쪽이 낫소? image 13 김동렬 2013-05-02 5720
598 질문.. 왜 전문가는 항상 틀릴까? 10 김동렬 2013-05-01 4808
597 구조론 문제 12 김동렬 2013-04-29 4588
596 여자는 왜 꽃을 좋아하는가? 2 냥모 2013-04-28 4697
595 질문.. 관점을 포착하라 11 김동렬 2013-04-25 5613
594 전쟁, 남북은 없고 세계는 있다 1 담 |/_ 2013-04-24 3476
593 지난 정모 준비 메모 담 |/_ 2013-04-24 3386
592 냥모님의 글 퍼옴 image 3 김동렬 2013-04-23 3984
591 의견을 말해보시오. image 6 김동렬 2013-04-22 3940
590 감기교육 - 제민칼럼 4 ahmoo 2013-04-18 4036
589 페이스북에서 퍼온 역겨운 글 1 김동렬 2013-04-18 4043
588 이현세의 헛소리 비판 17 김동렬 2013-04-09 12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