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220 vote 0 2021.06.29 (21:28:19)

    인간은 자기 자신과 비교한다. 자기보다 크면 크다고 하고, 자기보다 작으면 작다고 한다. 자신이 기준이므로 주관적이다. 그것은 관측자의 위치에 따라 상대적이다. 이런 식이면 믿을 수 없다. 여러 사람의 의견을 들어보고 중간 값으로 어림짐작 한다. 그럭저럭 쓸만할 때도 있다. 이것이 과학의 방법론은 될 수 없지만 참고는 된다.

    수학은 1과 비교한다. 2는 1의 두 배고 3은 1의 세 배다. 비교기준이 객체 내부에 있으므로 객관적이다, 관측자가 1로 고정되므로 절대적이다. 수학의 방법은 믿을 수 있고 확실하지만 한계가 있다. 자를 갖다 댈 수 없는 부분이 있기 때문이다. 죽은 사물은 수학의 잣대로 잴 수 있는데 살아있는 사건은 자로 잴 수 없다.

    수학의 관측법이 합리적이나 죽은 사슴을 관찰할 뿐이다. 살아있는 사슴에 자를 댈 수 없고 저울에 매달 수도 없다. 수학은 고정된 것을 계측할 뿐 변화를 추적할 수 없다. 수학은 기준이 1로 고정되기 때문이다. 변화는 기준이 계속 바뀌는 것이다. 수학의 방법으로는 현재 진행중인 사건의 다음 단계를 예측하지 못한다.

    변화는 객체 내부에서 일어난다. 죽은 사물을 깨뜨려서 내부를 들여다볼 수 있으나 살아있는 사건 내부로 들어갈 수는 없다. 살아서 뛰어다니는 사슴의 내부로 어떻게 들어갈 것인가? 수시로 진로를 바꾸는 태풍의 내부를 어떻게 들여다 볼 것인가?

    구조론은 대칭이 기준이다. 대칭은 객체 내부에 있으므로 절대적이다. 구조론은 안과 밖의 대칭을 적용하여 객체 내부로 진입한다. 객체 내부에서 머리와 꼬리의 대칭을 찾아낸다. 대칭은 나란히 가는 것이다. 변화 중에서 나란한 것이 구조론의 기준이다. 나란히 가므로 구조론은 살아있는 변화를 추적할 수 있다.

    우리는 두 가지 관측방법을 알고 있다. 관측자에 따라 달라지는 주관적이고 상대적인 관측법과 수학의 1을 기준으로 하는 객관적이고 절대적인 관측법이 있다. 구조론은 여기에 살아있는 변화를 추적하는 새로운 관측법을 추가한다.

    무엇이 다른가? 수학은 결과를 판단하고 구조론은 원인을 판단한다. 수학은 드러난 외부를 보고 구조론은 감추어진 내부를 본다. 수학은 고정된 사물을 분석하고 구조론은 살아서 움직이는 사건을 예측한다. 수학은 죽은 것을 보고 구조론은 산 것을 본다. 수학은 불변을 추적하고 구조론은 변화를 추적한다. 수학은 부분을 뜯어보고 구조론은 통짜덩어리로 합쳐서 본다.

    달리는 사슴을 관측하려면 외부에서 피상적으로 관찰해도 안 되고 사슴을 붙잡아서 기둥에 묶어놓고 자로 재도 안 된다. 달리는 사슴과 나란히 달려야 한다. 사슴 내부로 들어가야 한다. 사슴의 머리가 꼬리를 보는 것이 구조론이다.

    우리는 두 가지 관측방법을 알고 있다. 예술가의 관측법과 수학자의 관측법이다. 항해하는 배의 주변을 돌아다니면서 어림짐작으로 보는 예술가의 관측법과 배를 부두에 세워놓고 자로 재는 수학자의 방법이 있다. 둘 다 한계가 있다. 전자는 사건을 볼 수 있지만 흐릿하고 후자는 확실하지만 사물에만 적용되는 점에서 절반의 지식이다. 구조론은 새로운 관측법을 추가한다. 우리는 달리는 배에 올라타야 한다. 배의 이물에서 고물을 관측해야 한다.

    사건이라는 배의 내부에서 일어난 의사결정의 결과가 외부에 그림자로 비친 것을 보는 것이 아니라 사건 내부로 들어가서 실제로 의사결정이 일어나는 지점을 보는 것이 구조론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1296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9674
1446 대선경마 중간평가 이재명마 앞서 김동렬 2021-08-15 3770
1445 명낙대전은 이재명에 유리한 싸움 김동렬 2021-08-16 3346
1444 일본의 패망이유 2 김동렬 2021-08-16 3851
1443 일본과 독일의 패전교훈 4 김동렬 2021-08-16 4013
1442 아프간의 멸망이유 김동렬 2021-08-17 4422
1441 세상을 디자인하는 다섯 가지 힘 김동렬 2021-08-18 3686
1440 관념으로의 도피 김동렬 2021-08-18 3388
1439 아프간의 진실 김동렬 2021-08-19 4022
1438 아프간 난민을 환대해야 한다. 2 김동렬 2021-08-19 3878
1437 이재명 까는 사람의 심리 김동렬 2021-08-20 5186
1436 까도리 본질은 대선불복 김동렬 2021-08-22 3638
1435 구조론 한마디 1 김동렬 2021-08-22 3483
1434 2030 젊은이의 공정타령 김동렬 2021-08-23 3901
1433 윤석열의 사냥법 김동렬 2021-08-23 3866
1432 불변의 이데아, 변화의 구조론 김동렬 2021-08-24 3095
1431 미국의 패배와 민주주의 리스크 김동렬 2021-08-24 3672
1430 조국이 희생된 이유 김동렬 2021-08-25 4322
1429 권력과 동원 김동렬 2021-08-25 3706
1428 관념진보에서 과학진보로 갈아타라 6 김동렬 2021-08-26 3956
1427 현장에서 이겨야 이긴다 2 김동렬 2021-08-27 42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