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236 vote 0 2021.04.15 (19:29:15)

    구조와 대칭


    길고 짧은 것은 대봐야 안다. 자로 재보고 길이를 안다. 어떻게든 대상과 조금이라도 접촉해야 한다. 그 다음은 추론이다. 우리는 눈으로 사물을 잰다. 빛으로 접촉하는 것이다. 접촉할 수 없는 것은 어떻게 알지? 대칭을 이용해서 알아낸다. 대칭은 어디에 있지? 구조에 있다. 


    오른발을 보고 왼발을 안다. 앞을 보고 뒤를 안다. 과거를 보고 미래를 안다. 원인을 보고 결과를 안다. 겉을 보고 속을 안다. 접촉할 수 있는 것과 대칭시켜 접촉할 수 없는 것까지 알아낼 수 있다. 결과는 눈으로 보고 아는데 원인은 어떻게 알 수 있지? 대칭을 통해서 알 수 있다. 


    겉은 눈으로 보고 아는데 속은 어떻게 알지? 대칭을 통해서 안다. 과거는 지켜봐서 아는데 미래는 어떻게 알지? 대칭을 통해서 안다. 그런데 어떤 대칭을 적용하지? 이에 추론이 소용된다. 대칭은 다섯 가지가 있다. 구조는 다섯 가지가 있다. 구조가 다섯가지 대칭을 엮어낸다. 


    질대칭, 입자대칭, 힘대칭, 운동대칭, 량대칭이 있다. 량은 직접 침투한다. 빛이 눈으로 직접 침투해 들어온다. 량은 같은 것끼리 반응한다. 작용반작용의 법칙이다. 색은 색에 반응하고 소리는 소리에 반응하고 냄새는 냄새에 반응하고 촉각은 촉각에 반응한다. 그래서 알 수 있다. 


    운동은 량의 반복이다. 량의 시간적 반복을 통해 운동을 알아낸다. 과거와 미래를 대칭시켜 운동의 반복을 알아낸다. 힘은 공간의 좌우대칭이다. 시간은 선후만 대칭되지만 공간은 전후 좌우 상하 전방위로 대칭되어 있다. 우리가 보통 말하는 대칭은 공간의 좌우대칭이다. 


    입자는 사건의 주체와 대상의 대칭이다. 힘대칭이 연결되어 있는데 비해 입자대칭은 떨어져 있다. 오른손과 왼손은 연결돼 있다. 가해자와 피해자는 떨어져 있다. 힘대칭과 입자대칭의 차이다. 질대칭은 사건의 안과 밖을 나눈다. 사건의 격발은 외부에서 작용으로 시작된다. 


    하나의 사건은 다섯가지 대칭을 통해 일어나므로 우리는 이를 역으로 되짚어 추론할 수 있다. 접촉하지 않고도 내막을 알 수 있다. 구조를 분석하여 대칭을 찾아내면 겉을 보고 속을 알고, 원인을 보고 결과를 알고 과거를 보고 미래까지 안다. 부분을 보고 전체를 알아낸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4992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4730
1150 구조론 마인드 맵 image 2 김동렬 2011-07-03 14936
1149 그림으로 본 구조론 image 5 김동렬 2009-07-22 14942
1148 구조란 무엇인가? 2 김동렬 2011-01-10 14945
1147 수레바퀴를 찾아라! image 김동렬 2003-01-23 14948
1146 한나라당이 망하는 이유. 김동렬 2005-10-15 14948
1145 우리당의 미래는 밝다 김동렬 2004-04-26 14950
1144 마음의 그릇 image 4 김동렬 2010-11-10 14950
1143 진정한 창의 3 김동렬 2011-03-03 14950
1142 모든 것을 설명하는 이론 김동렬 2008-07-19 14954
1141 역설의 이해 7 김동렬 2010-03-07 14955
1140 존재론과 인식론 3 김동렬 2013-07-19 14956
1139 “힐러리, 부시에게 마구 대들다!” image 김동렬 2003-04-29 14962
1138 최병렬을 구하지 말라 image 김동렬 2004-02-20 14963
1137 12월 19일 드라마의 마지막 감동은 이렇게 된다면 아다리 2002-12-21 14965
1136 정동영은 전주에나 출마하시라 image 김동렬 2004-03-09 14967
1135 추미애는 트로이의 목마다 image 김동렬 2004-04-03 14969
1134 노무현의 생가를 방문하다 image 김동렬 2003-02-26 14973
1133 구조론의 가는 길 김동렬 2008-09-26 14975
1132 박정희의 개 이재오 image 김동렬 2004-07-16 14978
1131 르네상스적 인간 5 김동렬 2009-10-20 149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