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이금재.
read 2167 vote 0 2020.09.09 (00:10:51)

like 미국·영국 [laɪk]  영국식  중요
1. …와 비슷한
2. <무엇에 대해 남의 의견을 물을 때 씀>
3. <어떤 사람의 보통전형적인 측면을 말할 때 씀>
like1 미국·영국 [láik]  영국식  중요
1. <형태·외견·종류·성질이> 같은, 동일한(equal); 비슷한, 유사한(similar)
2. <두 개 (이상)의 것이> 닮은; (…와) 같은
3. 아마 ((to dothat …))
like2 미국·영국 [láik]  영국식  중요
1. <물건·사람을> 좋아하다
2. (…하는 것을) 좋아하다
3. <남이> (…해 주기를) 바라다, 원하다 ((to dodoing))
likely (like) 미국·영국 [ˈlaɪkli]  영국식  중요
1. …할 공산이 있는, …할 것 같은
2. 그럴듯한, 그럴싸한
likewise (like) 미국식 [|laɪkwaɪz]  영국식  중요
1. 똑같이; 비슷하게
2. 또한
3. 마찬가지야


영어 단어 의미가 한국어와 1:1 매칭이 될 리가 없는데, "like"를 "좋아하다"로 번역하면 어색한 경우가 많죠. 그런데도 학교에서 "like"를 "좋아하다"로 가르치는데, 이것 땜시 중학교 때 개고생했던 기억이 납니다. 아무도 설명을 안 해줌시롱. 암기를 워낙에 싫어했는데, "좋아하다"가 갑자기 "비슷하다"? 라는 식으로 의미가 전혀 다르게 전개되어 혼란했습니다.


한국어로는 이런 해석에 대한 설명이 잘 나오질 않아서 like의 원 뜻을 대략 귀납적으로나마 추론해보자면 "matching"이나 "맞다, 좋다(좋아하다와는 다릅니다), 비슷하다, 같다" 정도로 생각해볼 수 있을듯합니다. 이걸 최초의 번역자가 "좋아하다"라고 상대적으로 의미를 갖다 붙인거 같네요. 


경우에 따라 "맞다"가 "좋아하다"로 해석될 수 있는 거죠. 물론 이걸 잘못 해석하면 한국인과 미국인은 like에 대해 전혀 다른 견해를 가질 수 있습니다. 한국어의 좋아하다는 좀 다르게 해석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time_continue=174&v=ZbnYKwHxNV8&feature=emb_logo

올리버쌤의 설명


올리버쌤도 제대로 이해한 거 같지는 않은데, 예시가 좋습니다. 영상에 나오지만, "I like your mom."이라고 하면 "나는 너희 엄마를 좋아해."가 아니라 "너희 엄마 맘에 들어(너희 엄마랑 나랑 잘 맞아)"라고 해석해야 바릅니다. 


혹시나 해서 어원 사전을 찾아보니 https://www.etymonline.com/word/like#etymonline_v_43433

like (n.)

"a similar thing" (to another), late Old English, from like (adj.). From c. 1300 as "an equal, a match." The like "something similar" is from 1550s; the likes of is from 1630s.


이렇게 나오는 것으로 보아, 제 생각이 아예 틀리진 않았네요. 혹시나 해서 예전 구조론 어원 연구를 찾아보니 있었군요. 

http://gujoron.com/xe/8426





Drop here!

프로필 이미지 [레벨:7]현강

2020.09.09 (00:42:46)

miss의 '그리워하다'가 생각나네요. 영어 처음 접했을 땐 '없어진'이라는 부정적 뉘앙스와 'I miss you' 할때의 반기는 긍정적 뉘앙스가 충돌된다고 나름 신경쓰였던 듯요.

miss.png

miss (n.1)

late 12c., "loss, lack; " c. 1200, "regret occasioned by loss or absence," from Old English miss "absence, loss," from source of missan "to miss" (see miss (v.)). Meaning "an act or fact of missing; a being without" is from late 15c.; meaning "a failure to hit or attain" is 1550s.


어원으로 보니 본래 있어야 할 게 손실되었다는 느낌인가 보네요. 'I miss you.'는 대략 '나에겐 너가 빠졌다.' -> '너 엄청 그립다.' 정도일런지.





첨부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7478
1777 뭘까요? image 17 김동렬 2013-08-16 5492
1776 글을 잘 쓰는 방법 image 김동렬 2013-12-15 5489
1775 생각해볼만한 거짓말 8 김동렬 2013-09-23 5468
1774 호부견자의 심리적 메커니즘 2 오세 2011-02-27 5466
1773 CEO의 동기부여 image 11 냥모 2014-02-10 5463
1772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image 오리 2023-03-22 5459
1771 유명한 UFO 사진 image 5 김동렬 2013-04-04 5459
1770 삶의 일관성을 일깨우는 교육 image 5 ahmoo 2009-06-10 5452
1769 노무현, 님의 설정을 권하오. ░담 2010-01-15 5439
1768 프로이드의 열 두 가지 거짓말 1 김동렬 2015-05-11 5425
1767 15개월 아기도 공정성 판단? 2 김동렬 2011-10-11 5419
1766 완전함에 의해서. LPET 2010-02-22 5419
1765 조경란과 주이란 1 엘보우 2008-10-25 5415
1764 가난한 사람들의 잘못된 결정 2 김동렬 2013-11-26 5413
1763 하늘 만지기 1 필부 2008-08-20 5413
1762 부바키키 언어 계통수 발견하기. ░담 2011-03-23 5409
1761 약자공격은 인간의 원초적 본능 image 9 김동렬 2018-07-19 5405
1760 <내남자> 1 하루 2009-02-08 5400
1759 흉노는 누구인가? image 3 김동렬 2016-10-07 5394
1758 구조론 질문 1 피갈회옥 2008-07-18 53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