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5]다음
read 1625 vote 0 2020.08.16 (03:40:32)

메타학문은 어떤 학문보다 한 단계 높은 것으로 생각되곤 한다. 그러나 곰곰히 생각해보니 우리가 메타- 라고 말하는 것은 한 단계 낮은 것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질의 메타는 입자이고 입자의 메타는 힘이다.

즉 인류가 그동안 잘못된 방향으로 보고 있었다는 의미이다. 이 오류가 학문이 서로 연결되지 않고 말이 통하지 않는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문과와 이과가 서로 자기가 더 높은 단계라면서 기싸움을 하고 이것이 막대한 혼란을 주고 있다.

물리학은 깊은 영역으로 들어가면 수학이 된다는 말이 있다. 또 사회학 역시 물리학으로 수렴된다는 말도 있다. 이것이 착각을 일으킨다. 물리학이 수학에 의존한다고 해서 수학이 물리학보다 더 높은 것은 아니다. 오히려 물리학이 수학보다 더 높은 차원의 것이라는 것을 확실히 해야 한다. 수학만으로는 절대 물리학을 완전히 설명할 수 없다. 마찬가지로 물리학만으로는 절대 철학을 완전히 설명할 수 없다.

그러나 물리학을 서술하는 데는 반드시 수학이 필요하다. 비록 불완전하지만 물리학을 설명하려면 반드시 수학을 사용해야 한다. 우리는 이것을 메타-라고 부르고 이는 한단계 내려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메타물리학은 수학이다. 또 메타수학은 논리학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175
433 상호작용설이 옳다는 결정적인 증거 image 1 김동렬 2012-04-11 4078
432 완벽보존’ 새끼 매머드 발견 image 1 김동렬 2012-04-05 11125
431 혈액형별 유명 운동선수 비율 image 4 김동렬 2012-04-03 9505
430 폭력에 대한 구조론적 접근: 폭력의 자궁은 바운더리의 침해. 1 오세 2012-03-22 4094
429 모듈진화의 증거 7 김동렬 2012-03-12 4540
428 최신 심리치료 ACT, 하지만 갈 길이 아직 멀다. 2 오세 2012-03-11 4744
427 원시 언어는 존재한다. 1 오세 2012-03-11 4621
426 척추동물의 탄생? 4 김동렬 2012-03-06 4303
425 김유신묘 관련 이야기 조금 더 김동렬 2012-03-04 4974
424 모티브교육으로 가야 한다. ahmoo 2012-02-26 3995
423 구조론적 육아법 2 김동렬 2012-02-20 5306
422 기술결정론 vs 도구주의 1 오세 2012-02-12 7566
421 몸속에는 항체의 유전자를 몇 개로도 나누어 부품화해서 가지고 있다. 4 오세 2012-02-02 3949
420 구조론으로 본 역사관 1. 현재주의 vs 역사주의 3 오세 2012-01-26 6210
419 뇌과학의 진화 3 오세 2012-01-22 3962
418 유전자가 결정한다. 7 김동렬 2012-01-16 4798
417 과학자들의 집단 정신병 image 2 김동렬 2012-01-05 4840
416 쫄지 말아야 진보다. 1 김동렬 2012-01-05 4290
415 두더지의 눈 image 1 김동렬 2012-01-04 8580
414 손톱 발톱 모래톱 image 3 김동렬 2012-01-03 5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