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7]현강
read 1283 vote 0 2020.07.26 (21:06:12)

라인은 관계이다. 그런데 과연 한 번 개설된 라인이 영원불멸할까? 그렇지 않다. 일단 이미 라인이 있어야 외력에 반응할 가능성이 있다. 이때 라인이 보다 긴밀할수록 외력에 대하여 반응성 혹은 효율성을 발휘할 확률이 달라진다.

예컨대 남녀 관계에서 평등한 커플은 불평등한 커플에 비하여 라인이 긴밀하다. 긴밀할수록 하나의 외력에 남녀 둘이 연동되는 확률이 보다 높으니 확률적으로 보면 보다 더 효율적이다. 긴밀함은 곧 질의 결합 확률과 닿는다.

불평등한 관계에선 커플에 외부환경이 가해질 때 이를 발견한 한 명이 다른 한 명에게 소식을 알리지 않을 수 있다. 이번 경우엔 1에 대한 2의 라인이 작동하지 않은 것이다. 계속 이런 식이다 보면 불평등한 커플은 뭐든지 합을 맞출 수 없다.

결국 할 수 있는 일이라고는 이미 있는 라인을 끊는 즉 결별이라는 의사결정 밖에는 없다. 반대로 평등하므로 긴밀한 커플은 외력에 반응할 때 마다 효율을 얻는다. 그리고 그것을 새로운 라인의 재료로서 사용한다.

외부환경을 잘 극복할 때 마다 얻어진 신뢰라는 잉여분은 썸에서 연인으로, 연인에서 부부로의 라인으로 신규개설된다. 외부환경은 심지어 불평등한 커플과 평등한 커플 서로 간의 2대2 팀 싸움일 수도 있다.

똑같이 팀 먹고 같이 싸웠더라도 평등했기에 보다 멋진 팀플레이를 일으켰던 평등한 커플 사이엔 이후 신뢰가 추가되지만 불평등한 커플 사이엔 불신이 기존의 라인을 갉아먹는다. 이렇듯 우주는 수많은 라인끼리의 경쟁이다.

무수한 비대칭적 관계는 흩어지다보니 서로 겹치기도 한다. 이때 보다 대칭에 가까운 관계일수록 다른 관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효율이 좋다. 전자가 후자와 충돌할 때마다 후자가 손실 본 구조값의 일부를 먹어치워 덩치를 보존하거나 키워나간다.


외부환경이 가해지지 않는면 라인은 점차 흐릿해지며 존재는 소멸한다. 따라서 둘은 핑퐁을 하며 지속적으로 외력을 조달해 라인을 유지해나간다. 조달되어 소모되는 외부환경 역시 라인이며 두 라인 즉, 두 공간의 겹침을 표현하는 말이 시간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833
475 좋은 축구란 무엇인가 chow 2024-01-21 2009
474 가케무샤 석렬 dksnow 2022-03-14 2009
473 이승만 ==> 박정희: 신분제사회와 향촌공동체의 대립 ==> 신군부 (전두환) 2 눈마 2018-04-07 2007
472 2022-02-01 구조론 설날 온 오프 모임 image 1 오리 2022-01-31 2004
471 인류의 언어감각 김동렬 2018-04-18 2000
470 양구군 해안면 vs 합천 초계분지 image 2 오리 2022-02-08 1993
469 땅값집값 23 - 땅값의 정체 image 1 수원나그네 2018-09-08 1993
468 구조론 : 구조의 일의성(질문에 대한 답변을 글로 써보기) image 4 아란도 2021-01-01 1988
467 '권력'의 탐구 1 - 가설 '권력학의 법칙' 4 수원나그네 2018-02-28 1988
466 비트코인을 통한 전기의 금융화 image mowl 2022-06-26 1981
465 같음이 먼저고 다름이 나중이다. 1 아제 2019-01-08 1978
464 대항해 시대 kamal 툴 dksnow 2022-11-21 1975
463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image 1 오리 2022-11-17 1973
462 아무님 사회주택 토크쇼 수원나그네 2019-05-09 1971
461 교육의 5단계 2 이상우 2017-10-22 1966
460 좋은 조건 다음 2020-08-18 1964
459 국어를 망쳐놓은 국립국어원 김동렬 2019-06-10 1962
458 이정우 "김수현은 경제 몰라서 정책실장 곤란" 6 수원나그네 2018-11-05 1962
457 요즘 들어 조선500년이~ 수원나그네 2018-05-08 1961
456 KBS 9시 뉴스에 출연하다 (4대강관련) image 4 수원나그네 2018-07-07 19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