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7]현강
read 1224 vote 0 2020.07.26 (21:06:12)

라인은 관계이다. 그런데 과연 한 번 개설된 라인이 영원불멸할까? 그렇지 않다. 일단 이미 라인이 있어야 외력에 반응할 가능성이 있다. 이때 라인이 보다 긴밀할수록 외력에 대하여 반응성 혹은 효율성을 발휘할 확률이 달라진다.

예컨대 남녀 관계에서 평등한 커플은 불평등한 커플에 비하여 라인이 긴밀하다. 긴밀할수록 하나의 외력에 남녀 둘이 연동되는 확률이 보다 높으니 확률적으로 보면 보다 더 효율적이다. 긴밀함은 곧 질의 결합 확률과 닿는다.

불평등한 관계에선 커플에 외부환경이 가해질 때 이를 발견한 한 명이 다른 한 명에게 소식을 알리지 않을 수 있다. 이번 경우엔 1에 대한 2의 라인이 작동하지 않은 것이다. 계속 이런 식이다 보면 불평등한 커플은 뭐든지 합을 맞출 수 없다.

결국 할 수 있는 일이라고는 이미 있는 라인을 끊는 즉 결별이라는 의사결정 밖에는 없다. 반대로 평등하므로 긴밀한 커플은 외력에 반응할 때 마다 효율을 얻는다. 그리고 그것을 새로운 라인의 재료로서 사용한다.

외부환경을 잘 극복할 때 마다 얻어진 신뢰라는 잉여분은 썸에서 연인으로, 연인에서 부부로의 라인으로 신규개설된다. 외부환경은 심지어 불평등한 커플과 평등한 커플 서로 간의 2대2 팀 싸움일 수도 있다.

똑같이 팀 먹고 같이 싸웠더라도 평등했기에 보다 멋진 팀플레이를 일으켰던 평등한 커플 사이엔 이후 신뢰가 추가되지만 불평등한 커플 사이엔 불신이 기존의 라인을 갉아먹는다. 이렇듯 우주는 수많은 라인끼리의 경쟁이다.

무수한 비대칭적 관계는 흩어지다보니 서로 겹치기도 한다. 이때 보다 대칭에 가까운 관계일수록 다른 관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효율이 좋다. 전자가 후자와 충돌할 때마다 후자가 손실 본 구조값의 일부를 먹어치워 덩치를 보존하거나 키워나간다.


외부환경이 가해지지 않는면 라인은 점차 흐릿해지며 존재는 소멸한다. 따라서 둘은 핑퐁을 하며 지속적으로 외력을 조달해 라인을 유지해나간다. 조달되어 소모되는 외부환경 역시 라인이며 두 라인 즉, 두 공간의 겹침을 표현하는 말이 시간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2461
106 거북선의 진실 image 3 김동렬 2015-10-17 8564
105 콜럼버스의 달걀 image 2 양을 쫓는 모험 2010-12-26 8576
104 범어와 한국어의 유사성 image 3 김동렬 2014-03-18 8593
103 에디슨의 명언 image 5 김동렬 2013-12-12 8598
102 흑인이 백인처럼 문명을 발달시키지 못한 이유 10 김동렬 2017-08-14 8612
101 [re] 질문있습니다 ^^ 2 김동렬 2006-05-06 8645
100 마루치 아라치의 기원 2 김동렬 2011-02-14 8654
99 조직 원리 image 4 눈내리는 마을 2010-08-04 8700
98 아해 오감도 이상 image 1 김동렬 2014-04-28 8711
97 질문있습니다 ^^ 강도 2006-05-06 8746
96 먼 미래에 백인이 멸종할수도 있지 않을까요?? image 5 가혹한너 2009-01-31 8752
95 세종대왕은 골프를 쳤을까? image 10 김동렬 2011-12-06 8784
94 사진 구조론 image 8 양을 쫓는 모험 2010-03-25 8796
93 올해 북극 빙하는 줄었나 늘었나? image 김동렬 2014-10-20 8904
92 동렬님께... 3 kkh 2006-01-24 8913
91 욕망을 혁명하기 6 강도 2006-06-05 8914
90 부(富)의 비교 -구조론적 관점- 5 오세 2010-09-10 8950
89 가족 혹은 우리의 결혼제도에 대한 의견... 1 강도 2006-01-17 8967
88 화투의 밸런스 image 4 양을 쫓는 모험 2010-09-27 9003
87 조선의 젖가슴 image 4 김동렬 2015-01-12 9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