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안녕하세요. 댓글로 질문하려다 그러기에는 시간이 많이 지난 것 같아 여기에 질문 드립니다.


http://gujoron.com/xe/column/1168538 <- 구조칼럼 '사회주의를 빙자한 정신병 행동' 링크

글 내용을 이야기하기 전에, 구조론의 전제부터 이야기해야 하겠습니다. 하부구조는 같은 층위에서 통제할 수 없고, 그것보다 상부구조인 것으로 통제할 수 있습니다. 오직 큰 것 안에 작은 것을 담을 수 있고 그 반대는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상부구조로 갈수록 커다란 하나가 되며, 하부구조로 갈수록 작은 여럿이 됩니다. 즉 상부구조에서는 일원화에 의한 절대성이, 하부구조에서는 다원화에 의한 상대성이 발생합니다.

링크해둔 칼럼은 '(질-전쟁) -> (입자-자본)'의 과정을 설명합니다. 전쟁으로 사회가 생겨나고, 그 이후에 자본이 생겨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구조론의 진행법칙(질-입자-힘-운동-량)에 의해, 자본은 사회 등장 이후로 필연적으로 나타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므로 자본주의를 부정할 수는 없으나, 그보다 상부구조인 사회주의로서 통제할 수 있습니다. 글을 다 읽기 전까지 저는 이렇게 이해했습니다.

그런데 뒷부분으로 가면 스스로 이해한 것이 맞는지 의심스러워지게 됩니다. 설명을 위해 한 단락을 가져오겠습니다.

    자본주의는 절대주의고 사회주의는 상대주의다. 절대가 앞서고 상대는 따른다. 입자의 절대주의와 힘의 상대주의는 층위가 다르다. 사람은 절대로 있고 그림자는 상대적으로 있다. 그림자가 나타났다가 사라지곤 하므로 사람도 있다가 사라지곤 한다? 미쳤나? 구조론으로 보면 어떤 하나가 있으면 그것은 반드시 둘로 전개한다.

보시다시피 여기서는 자본주의를 절대적인 것으로, 사회주의를 상대적인 것으로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사회주의를 절대적인 것으로 보던 제 이해하고는 180도 다른 것으로 느껴지는데, 어디를 잘못 짚은 것인지 설명해주실수 있겠습니까?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20.03.10 (10:58:59)

표현이 혼선을 빚을수 있겠군요.

그런데 제가 말하는 이념적 사회주의와 

자본주의체제를 부정하고 사회주의체제라는 

경제구조를 만들겠다는 사회주의자들은 다릅니다.

그 사람들은 저를 사회주의자라고 인정하지 않습니다.

전쟁을 통해 사회를 건설한다는 의미의 제가 말하는 절대적 사회주의와 

복지 노동 인권 여성, 성소수자, 환경문제 등의 상대적 사회주의 정책은 다른 것입니다.

자본주의를 통제한다는 의미를 가진 저의 사회주의와

자본주의를 타도하고 대안을 제시한다는 그 사람들의 사회주의는 다른 것입니다. 

이념은 절대적인 것이고 정책은 상대적인 것입니다. 

자칭 사회주의자들이 정책을 절대화 하기 때문에 문제가 되는 것입니다.

중국이나 일부 북유럽은 사회주의를 표방하므로 상속세가 없습니다.

이런 모순이 생기는 것입니다.

한국의 상속세는 자본주의를 긍정하므로 그 모순을 해소하려고 있는 것인데

사회주의 국가는 자본주의를 부정하므로 세금으로 모순을 해소하려고 하지 않습니다.


1) 원론적인 절대적 사회주의가 있다. 

2) 구체적인 여러 상대적 사회주의 정책이 있다.

3) 상대적 사회주의 정책을 절대화 하면 자본주의와 충돌한다.

4) 자본주의를 부정하고 다른 경제시스템을 주장하는 자들이 있다.

5) 상대적 정책을 절대적 이념화 하는 비뚤어진 자칭 사회주의자들이 문제다.


자본주의는 이념이 아니라 도구입니다.

사회주의자는 있어도 자본주의자는 없습니다.

진중권들이 조국을 미워하는 이유는 자본주의를 이념으로 여기고

조국이 사실은 자본주의자이면서 사회주의자인척 가장했다고 믿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구조론으로 보면 자본주의라는 이념은 없고 도구가 있을 뿐이며 

자본주의는 이념이 아니므로 부정할 수도 없는 것인데

자본주의냐 사회주의냐 양자택일 하라고 우기고 있는 것입니다.

여러 사회주의 정책은 자본주의를 긍정한다는 전제로 유의미합니다.

그런데 정책은 상대적이고 탄력적인 것인데 이것을 절대화 하는 자들이 있습니다.

복지 노동 인권 여성, 성소수자, 환경문제는 자본의 생산력에 의해서만 뒷받침 되는 것입니다.

자본의 생산력이 낙후하면 이 정책들은 실현할 수 없습니다.

그런데 자본을 타도해야만 이 정책들이 실행된다고 믿는 꼴통들이 있는 것입니다.

자본은 절대적으로 있는 것이고 이 사회주의 정책들은 자본의 발전에 종속되는 것이며

자본만 발전시키려 하고 사회주의 정책을 거부하는 자들은 사회를 깨뜨려 전쟁을 하려는 자들이며

자본에 종속된 정책을 절대적 이념으로 착각하는 꼴통들은 그냥 미친 겁니다.

상대적인 정책을 절대화 하면 안 됩니다.

[레벨:1]종달새

2020.03.10 (14:45:29)

아하 즉 순서를 따지면, '경제활동 단위로서의 사회->자본의 경제활동->경제활동의 입출력을 조절하는 사회정책' 순으로 나타나는 것이라고 이해하면 되겠네요.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20.03.10 (15:19:30)

맞습니다.

원래 사회주의가 있었는데

마르크스가 그것을 이데올로기 곧 개소리라고 비난하면서

이데올로기가 아닌 과학으로서의 사회주의를 주장하며 

상대적인 사회주의 정책을 절대화 해서 그 정책이 진짜 사회주의고 

원론적인 사회주의는 공상론적 사회주의라며 배격한 결과로 

이런 헷갈림이 발생한 것입니다. 

그들은 사회주의를 이념이 아닌 과학이라고 주장하는데

제가 보기에는 그게 망상입니다. 

대부분 비과학입니다.

마르크스가 부정한 이념적 사회주의가 진짜이고

과학이라고 주장되는 여러 사회주의 정책은 시대에 따라 상대적인 것이며 

자본의 발달에 따라 차차로 반영되는 것입니다.

원래 이념이라는 말은 마르크스가 개소리라는 뜻으로 썼는데

한국에서는 공산주의를 무서운 이념이라고 하므로 이중의 혼선이 발생한 거지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20.03.10 (14:21:41)

전에도 동렬님께서 비유적으로 말씀하셨듯이 자본주의는 <자동차>, 사회주의는 <운전기술>에 해당된다는...좋은(?) 운전기술만 있으면 자동차는 없어도 된다는 주장은 이상(?)한 생각이라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1532 구조론 목요 강론회 image ahmoo 2015-11-05 1723
1531 어긋나는 것이 정상이다 image 4 아란도 2015-11-05 2138
1530 구조론 광주 모임 탈춤 2015-11-06 1785
1529 당당하게 좀 삽시다 2 락에이지 2015-11-06 2390
1528 원작과 대중문화 image 3 아란도 2015-11-08 2288
1527 죽음의 공포? 13 아나키 2015-11-09 3128
1526 인간의 부도덕성 1 상동 2015-11-11 1926
1525 목요강론은 생각의정석 특집으로 대신합니다 image 2 ahmoo 2015-11-12 2044
1524 잠이오나요? 울산시민 여러분! 수원나그네 2015-11-13 1758
1523 [속보] 영덕주민투표, 핵발전소를 압도적으로 반대하다 수원나그네 2015-11-13 1973
1522 구조론 광주 모임 탈춤 2015-11-13 1800
1521 생각의 정석 100회 특집, 공개 유투브 생방송 후기 image 13 아란도 2015-11-14 3173
1520 송곳단상 6 아란도 2015-11-16 2728
1519 이야기를 쉽게 만들고 끝내는 방법 챠우 2015-11-17 2118
1518 혁신도시, 제대로 가고 있는가! 3 우리마을 2015-11-18 2392
1517 구조론 목요 강론회 image ahmoo 2015-11-19 1808
1516 우리학교에서 낼모래 상담&생활지도 컨퍼런스를 합니다. 1 이상우 2015-11-25 1914
1515 우리도 박근혜 위에서~ image 수원나그네 2015-11-26 1885
1514 구조론 목요 강론회 image ahmoo 2015-11-26 1724
1513 자녀교육 때문에 고민하는 분들께 드리는 글 1 이상우 2015-11-26 2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