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829 vote 0 2020.03.01 (18:24:23)

    위대한 도약

  
    우리는 관측된 정보를 통해 세상을 인식한다. 정보는 눈과 귀와 코와 혀와 피부로 지각된다. 그 정보는 관측대상을 거쳐온 간접적인 정보다. 과수원에서 붉은 사과를 하나 봤다면 그 정보는 태양의 빛이 사과를 거쳐온 것이다. 우리가 본 것은 상당부분 피사체인 사과의 사정이 아니라 광원인 태양의 사정이다. 그러므로 조명의 밝기에 따라 사과의 색깔이 다르게 보인다. 


    에너지의 작용과 수용이 있다. 보이는대로 반응한다면 에너지의 수용측에 선 것이다. 작용측에 서야 진실이 보인다. 사과를 거쳐온 빛에 수동적으로 반응할 것이 아니라 사과 안에서 어떤 의사결정이 일어나는지를 능동적으로 봐야 한다. 피사체를 거쳐온 간접 정보 말고 관측대상 그 자체의 내부사정을 직접 읽어내는 방법이 구조론이다. 내부에는 의사결정구조가 있다.


    사과가 내부에서 빛을 어떻게 처리하는지를 보는 것이다. 내부에 있는 것은 어떤 둘의 간격이다. 우리는 막연히 대상 그 자체의 고유한 속성이 있다고 믿지만 이는 어법에 맞지 않은 잘못된 언어사용이다. 고유하다는 말은 모르겠다는 말과 같다. 내부에 어떤 둘이 만나는 간격이 있어서 정보를 연출하면 인간은 그 정보를 읽는다. 그 내부의 간격이 구조다. 진실은 그곳에 있다.



[레벨:4]고향은

2020.03.02 (13:06:04)


우리가 과수원에서 붉은 사과를 봤다면. 우리의 입장이 아니라


붉은 사과의 사정과  입장 (心情) - (사과가 사람이라고 가정했을 경우에)

을 봐야 한다


붉은 사과 자체가 빛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처해진

사과 자체의 추진력을 봐야 한다


붉은 사과의  'being' 도 읽어내는 것이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귀타귀

2020.03.02 (14:37:34)

행렬은 연산자다
벡터는 행렬을 통과하면서 변환된다
연산자의 구조를 의식해야 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5827
1043 하루에 1초만 생각을 하자 김동렬 2021-09-13 2888
1042 속성이 아니라 관계다. 1 김동렬 2019-08-26 2888
1041 탈 사회주의 제언 1 김동렬 2020-08-02 2887
1040 시간은 없다 김동렬 2022-03-06 2886
1039 차원 김동렬 2021-11-20 2886
1038 차원의 이해 1 김동렬 2020-02-25 2886
1037 공간에서의 이동 1 김동렬 2019-10-04 2886
1036 세상은 변화다 1 김동렬 2019-09-24 2886
1035 대중의 권력화가 문제다 1 김동렬 2019-12-23 2884
1034 욕망과 구조론 1 김동렬 2020-08-19 2883
1033 창조보다 구조 김동렬 2021-11-21 2882
1032 자유에는 방향이 있다 김동렬 2021-01-10 2882
1031 인간의 이야기 3 김동렬 2020-03-07 2882
1030 사건과 게임 김동렬 2020-11-30 2881
1029 문명은 3이다 김동렬 2022-01-21 2880
1028 에서으로의 법칙 김동렬 2021-11-17 2880
1027 과학의 힘 김동렬 2021-03-21 2880
1026 다섯 번째 힘을 발견하라 김동렬 2020-11-02 2880
1025 신라가 흥한 이유 김동렬 2023-04-10 2878
1024 원자론과 진화론 1 김동렬 2020-11-25 28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