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181 vote 0 2019.11.02 (17:42:22)

abcde.jpg



인도영화 '지상의 별처럼'에서


명사는 이름을 나타내는 단어이고 

대명사는 명사 대신 사용된다. 

형용사는 명사를 설명하고 

동사는 명사의 행위를 설명하며

부사는 동사의 행위를 설명한다.

또 접속사는 두 문장을 이어주고 

전치사는 명사와 대명사의 관계를 설명하며

감탄사는 감정을 표현한다.


전체를 한 줄에 꿰어 관계 중심으로 구조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를 보자.


부사 : 동사, 형용사, 동사구, 문장 전체를 수식하는 역할을 맡는 품사. 

관형사 : 관형사는 체언을 수식하는 품사다.

동사 : 동작이나 작용을 나타내는 품사. 

형용사 : 사물의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품사. 


이따위로 써놓으면 알아먹을 사람이 몇이나 되겠는가?

용언이니 체언이니 수식이니 이런 일본어투 단어가 왜 나오는가?

나는 이 영화를 보고 부사가 무엇인지 비로소 이해했다.

영어와 우리말의 품사가 다르겠지만 본질은 같다.


[레벨:8]펄잼

2019.11.02 (19:07:05)

ㅋㅋㅋㅋㅋㅋㅋ
프로필 이미지 [레벨:11]슈에

2019.11.02 (19:16:35)

주시경 홀로 국어를 정리했다고 학교에서 배웠죠. https://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6387


‘기난갈’은 품사분류론을 의미하는데 ‘임·엇·움·겻·잇·언·억·놀·끗’의 아홉 기(품사)를 설정하고 있다. ‘임’은 우리 전통문법의 체언을, ‘엇’은 형용사를, ‘움’은 동사를, ‘겻’은 관형격조사 ‘의’를 제외한 모든 조사를, ‘잇’은 접속조사 ‘과’ 및 대등성과 종속성을 띤 연결어미와 보조적 연결어미 ‘-어’를, ‘언’은 관형사와 관형사형 어미가 붙은 말을, ‘억’은 부사와 부사형 어미 ‘-게’가 붙은 말을, ‘놀’은 감탄사를, ‘끗’은 종결어미를 가리킨다. 이들 아홉 품사의 분류기준은 분명하게 표현되어 있지는 않지만 대체로 그 기능과 의미에 기초를 둔 것으로 보인다.
단어 책정의 기준 또한 명백하게 제시되지 않았지만, 서술내용을 종합하면 기능변환의 특성을 표시하는 관형격 ‘의’, 관형사형 어미, 보조적 연결어미 ‘-게’와 선어말어미(先語末語尾) ‘-시-, -었-, -옵-’ 등은 단어의 자격을 주지 않고 있다. 이를 보면 단어 책정의 원리가 매우 종합적임을 알 수 있다.
‘짬듬갈’은 문장구성론을 의미한다. 이곳에서는 ‘기난갈’에서 베풀어진 품사에 대한 대체적 지식을 중심으로 문장을 ‘기(품사)’로 나누고, 그것이 문장구성의 요소로서 어떠한 자격을 가지고 하나의 문장으로 구성되는가를 차례로 보인 다음, 그 의미를 분명히 하기 위하여 그림을 그리는 방식으로 서술하고 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3036
2068 스타일에 구속당하는가? 스타일을 주도하는가? 1 양을 쫓는 모험 2009-06-10 4865
2067 삶의 일관성을 일깨우는 교육 image 5 ahmoo 2009-06-10 5392
2066 구조론이 생각하는 '조직관리'가 듣고 싶습니다 3 눈내리는 마을 2009-06-11 5157
2065 뿌듯한 느낌 6 ahmoo 2009-06-14 4554
2064 궁금한데요... 2 다원이 2009-06-15 4956
2063 지역주의의 구조론적 해결방안 질의 1 천왕성 편지 2009-06-15 7001
2062 징병제가 낫다. 1 양을 쫓는 모험 2009-06-16 8447
2061 낳는 일이 존재의 가장 고귀한 목적이다. 3 ahmoo 2009-06-29 4704
2060 무르팍에 나온 '안철수'를 보고 4 눈내리는 마을 2009-07-08 5840
2059 구조론으로 가짜 미네르바 증명하기. 9 양을 쫓는 모험 2009-07-12 4601
2058 중국의 소수민족 위구르 시위를 보며 1 눈내리는 마을 2009-07-12 4910
2057 에너지의 조달방법?? 4 천왕성 편지 2009-07-12 4528
2056 독배 혹은 독백 2 마법사 2009-07-13 4268
2055 질문입니다. 2 마법사 2009-07-13 4044
2054 <상상력>에 대한 질문입니다. 3 마법사 2009-07-13 4611
2053 '어떻게'를 어떻게 이해하면 좋을까요.(구조론291~300p 관련) 7 통나무 2009-07-13 4554
2052 토론의 차원 7 통나무 2009-07-14 4645
2051 선형분석에서 면적분석으로 (n차에서 n+1차로의 차원이동) 2 눈내리는 마을 2009-07-18 5609
2050 페미니즘 image 2 꾸이맨 2009-07-20 4807
2049 김동렬을 대신해서 씀 2 기준님하 2009-07-21 50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