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13]르네
read 1625 vote 0 2019.09.23 (14:09:31)

https://ko.wikipedia.org/wiki/%CE%9BCDM_%EB%AA%A8%ED%98%95


1. 인류외생명체

우주가 급팽창기에서 감속팽창으로 넘어갔다가 현재는 가속팽창중인데

한일관계 이상으로 은하간이 점점 더 소원해지고 있다.

고로 우주에 인류외생명체가 있다해도 만날수가 없다.

도저히 물리적으로 서로의 거리를 좁힐 수 없다.


2. 마리아나 해구

2013년에 플랑크위성에 의해 측정된 허블 상수는 약 67.80 km/(s · Mpc)이다.

말인즉, 1 Mpc (326만 광년) 떨어진 은하가 1초에 약 67.80km씩 멀어지고 있다는 것인데

그럼 가속팽창하는 우주는 무한히 커지고 있다는 말인가?

만약 우주 전체 크기를 1로 놓는다면 팽창은 축소라는 말로 바꿀수도 있겠다.
(↔ 밖으로의 팽창이 아닌 → ← 안으로의 팽창)

계속 안으로 팽창한다는 건 특이점을 향해서 가는 것이고

결국 곡률이 무한대인 마리아나 해구처럼 깊은 블랙홀을 연상시킨다.


3. 호라이즌

블랙홀에는 사건의 지평선이 있고

우주에는 우주의 지평선이 있다.

수평선 너머를 못 보듯이

사건의 지평 너머 블랙홀은 볼 수 없다.

관측 가능한 우주는 한계가 있다.

우주의 지평선이 가로막고 있기 때문이다.

우주나이 30만년(3000 ~ 4000°C) 이전은 현재의 망원경으로는 볼 수 없고

중력파 망원경으로만 관측할 수 있다.

허나 지평선 너머는 허블도 아인슈타인도 볼 수 없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832 구조론 목요모임 image ahmoo 2019-06-20 1389
4831 엔트로피 그림 몇 개 image 2 챠우 2019-06-18 2340
4830 기생충이 폭로한 세상 챠우 2019-06-14 1866
4829 구조론 목요모임 image 오리 2019-06-13 1411
4828 헬렌 켈러의 깨달음 4 챠우 2019-06-12 2315
4827 유대인, 그들은 누구인가? 8 김미욱 2019-06-11 2404
4826 간단하게 엔트로피 공부하는 영상 2 연역 2019-06-10 1598
4825 질문이 하나 있습니다. (구조론적 관점에서의 대답을 원합니다) 3 회사원 2019-06-07 2101
4824 거짓말 2 말시인 2019-06-06 1685
4823 구조론 목요모임 image ahmoo 2019-06-06 1459
4822 1대와 3대는 어떻게 구분합니까? 2 연역 2019-06-04 2038
4821 기생충 후기. 칸영화제의 수준 (수정) 덴마크달마 2019-06-03 2213
4820 원펀맨과 존윅, 제프쿤스의 단순함 image 2 챠우 2019-05-31 3294
4819 구조론 목요모임 image ahmoo 2019-05-30 1426
4818 사진에러 image 2 서단아 2019-05-29 1845
4817 세상에나 새가 바느질을 다하네 3 오리 2019-05-27 1984
4816 최낙언이란분 유튜브하고 있군요. 연역 2019-05-25 1992
4815 「 구조론 교과서 」 김미욱 2019-05-25 1710
4814 블랙홀! 왜 그런 모양인가? image 1 오리 2019-05-24 3117
4813 노무현 대통령 천도축원 병차 2 곱슬이 2019-05-23 1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