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선풍기
read 8298 vote 0 2010.09.02 (19:39:02)

아침 출근 시간쯤 되면 아이들 등쌀에 EBS를 보는데...
그 시간대에 아이들 상대로 과학실험을 진행하는 프로가 있소.

하루는 "부력"을 주제로 실험을 하더이다.
실험을 마치고 아이들 눈높이 맞춰 이론을 설명해 주는데...
설명을 듣고 있으니 짜증이 났소.

Q:"배가 왜 뜰까요?"
A:"부력 때문입니다"

부력은 쉽게 말해서 물에 뜨는 힘이니...
배가 뜨는 것은 부력 때문이라는 답변은...
질문과 똑같은 말을 답변이라고 내 놓는 꼴이 되오.
결국은 동어반복, 돌고 돌아 다시 제자리오.

그래서 출근길에 가만 생각을 해 보니...
부력의 힘은 결국 중력에서 나오더이다.

물을 담는 그릇이 축이고...
한쪽에는 중력, 한쪽에는 부력이 균형을 맞추는 꼴이 되오.
중력이 커지면 부력도 같이 커지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오.

하지만 그릇이 중력을 감당하지 못해서 깨지면...
시스템은 붕괴되고 부력은 존재하지 못하게 되오.

바다는 땅이라는 그릇에 갇힌 물이고...
그 바다에 배가 놓여 물을 밀어내면...
밀어낸만큼의 물이 받는 중력이 배에게는 부력으로 작용하오.

물 속으로 쳐박히려는 힘이 오히려 물에 뜨는 힘으로 작용하게 되오.
땅이 배의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쪼개지지 않는 한 그렇게 되오.

중력이 존재하지 않으면 부력 역시 존재할 수 없소.
부력의 정체가 사실은 중력이라니 참 묘하다는 생각이 들었소.
이 생각을 하니 자연스럽게 구조론이 생각나더이다.

----------------------------------------------------------------

몇 년째 구조론을 곁눈질 하고 있는데...
곁눈질만 해서 그런지 여전히 온전하게 이해할 수가 없소.

나에게 가장 어렵게 느껴지는 것은...
구조론이 관계를 우선시 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오.

내가 아는 한 구조론에서는 입자를 인정하지 않소.
관계가 균형을 맞춘 상태를 존재로 보는 것으로 알고 있소.
그래서 존재는 Balance가 있고 Balance를 유지하지 못하면 존재가 붕괴된다고 하오.
즉 Balance를 존재의 성립 조건으로 삼는 입장으로 읽히오.

먼저 존재가 있고 서로 다른 존재가 관계를 맺는다고 생각해 왔는데...
구조론은 이걸 완전히 뒤집어서 보는 입장 아니오?

내가 물리학은 잘 모르지만...
파동 방정식의 의미는 진동과 입자가 분리되지 않음을 나타낸다고 알고 있소.
이것 역시 나에게는 이해 불가한 이야기라오.

진동은 매질이 있어야 하는데...
그 매질 자체는 입자가 아닌 진동일 수도 있다는 것이...
그럼 대체 진동은 뭐가 진동인건가 하는 생각이 들고...
그러다 보니 도대체 뭔 소리인지 모르겠더이다.

관계는 서로 다른 두 개의 존재가 있어야 성립하는데...
구조론에서는 정반대로 관계가 먼저고 존재는 그 다음이라 말하는 듯 하니...
파동 방정식처럼 뭐가 뭔지 모르는 소리가 되고 말았소.

이런 기본적인 시선을 받아 들일 수 없어서 여전히 어려운 것이 되고 말았소.
동렬님이 쓰신 글 중 단편적인 것은 마음에 확 들어오는 것이 있지만...
한 줄로 꿰어 찰 수가 없으니 여전히 대략난감이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2600
626 쓰레드 후기 레인3 2023-07-10 2577
625 경주최부자 후손이 개천절에~ image 수원나그네 2018-09-19 2572
624 사건을 이해해야 전략을 이해한다. systema 2021-09-26 2571
623 미국에서 큰 사회문제가 되는 펜타닐 관련자료 1 mowl 2022-07-09 2568
622 [제민] 꿈꾸는 자여 주인이 되어라 image ahmoo 2017-06-22 2568
621 사이비가 창궐하는 세상 SimplyRed 2023-08-25 2567
620 아인슈타인의 절대성이 문제 chow 2022-09-19 2564
619 집을 사도 보수가 되지 않는 사람이나 조건이 있나요? 1 서단아 2023-07-19 2562
618 사유리의 무개념 image 1 김동렬 2018-01-16 2555
617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image 오리 2023-02-22 2551
616 얼룩말의 줄무늬 역할 김동렬 2018-09-13 2546
615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image 오리 2022-11-03 2544
614 지금 우리 교육은 모순의 시대 3 이상우 2022-10-12 2542
613 도박사의 오류의 오류 김동렬 2017-12-09 2541
612 < '소설'이라 이름 붙이고 직감이라고 읽어야 하리> 3 아란도 2021-10-07 2539
611 정의의 낙차 개념 2 다음 2021-10-14 2531
610 마술을 꿰뚫어보자. image 2 김동렬 2018-12-07 2525
609 거시세계의 불연속성 image 2 chow 2023-01-30 2522
608 [전달] 양승태 전 대법관 재판거래 파문 관련 문건 전체 공개합니다. image 수원나그네 2018-06-17 2519
607 오징어게임과 주식시장 - 고수가 이긴다 2 레인3 2021-10-04 2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