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8]아제
read 7453 vote 0 2010.08.31 (18:22:28)

 

진화를 두 가지 관점으로 보고 있는데..

하나는 성장..또 하나는 혁명..

 

즉, 점진적 진화와 비약적 혁명인데..

나는 혁명파이니 점진적 진화는 믿지 않는데..

 

그렇다고 점진적 진화를 부정하느냐..그게 아니고..

그 용어와 그 관점이 나와 맞지 않을 뿐..

 

영(0)과 일(1)

명멸..그것이 이 우주의 운행원리라 생각하는 바.

 

즉..수(數)라는 것에 영과 일 이 외의 것은 그냥 싹 지워야 한다는..

이런 과격한 말을 가끔씩 하는데..

 

우주는 명멸한다.

그 말은 연속적이지 않다는 것이고..또 한편으론 점진적이지 않다는 것.

 

뿅~

침묵..

 

뿅...침묵..뿅..침묵..뿅...침묵..뿅..침묵..뿅...침묵..뿅..침묵..

이게 우주의 호흡이고 섹스이며..삼라만상의 움직음은 이런 방식이리라..

 

이게 천천히 진행되고 스므쓰..하다고 생각하는 것은..마..성격좋은 사람 관점이고..

이걸 혁명적이다..빵빵 터지는 전쟁터고..기절초풍할 게임이다..이래 보는 것이 내 관점이고..

 

성장이냐..폭발이냐..는 이런 점에서 같은 내용에 다른 관점..그 차이란 것..

나는 폭발이라는 관점이 더 좋고 더 밀도있고 책임있는 자세라고 여긴다는 것..

 

세상의 변화는 점진적인 것이 아니라 혁명적이다.

점진적이라 보는 것은 자동차에 비유하자면 기름 게이지가 점점 내려가는 것을 보는 것이고..

폭발적이란 것은 피스톤 폭발의 그 활력을 말하는 관점인데..

 

둘다 맞지만..

기름 게이지의 움직임에도 나는 폭발과 명멸을 느끼니..

이 어쩌면 눈에 콩깍지라는 새로운 병일런지도 모른다.

 

나는 생각한다.

폭발이다.

 

점진적인..이라는 단어는..인간에게 해당되는 것이다.

즉..인간이 <제어>를 한다는 것이다.

실제 제어를 하든..관념의 제어이든..상관하지 않으련다.

 

그러나 폭발이든..제어든..진화든...혁명이든..

우리가 간과하고 있는 문제가 있다..

 

자동차가 진화하고 있다고 치자..

뭐 수레에서 롤스로이드까지..좋다..진화했다..

 

근데 진화의 주체는 뭐지?

자동차? 자동차가 스스로 진화했다고?

아니자나..인간의 자동차자나..

 

그럼 인간이 진화한 것이자나..

그것도 이상해..자동차가 진화했다고..인간도 진화한 것이다?

뭐 그렇게 말해도 되고..그럴 필요가 없기도 해..

 

아무튼..우리는 무엇이 진화했다고 해도..

그것이 스스로 진화했다고 말할 수는 없다는 것이지..

 

인간이 진화를 했다?

설사 그렇더라도 그건 인간이 주체가 되어 진화한 것이 아니란 것이지..

 

진화되어 버린 것이거나

아니면..인간이 인간의 역사를 유추하여..

마치 자동차를 보듯 인간이 인간을 대상화하여 하나의 <관점>을 만든 것이지..

 

역시 관점의 문제지..

어쩌면 관점의 진화..그것이 사람들이 말하는 진화일지 몰라..

 

존재는 뽕작이며 명멸하고 있고..

인간 역시 뽕작이면서..

이 폭발의 한가운데서 정신을 차리려고 무지 애쓰고 있지..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067
2171 이소룡과 이연걸 image 3 김동렬 2017-03-27 67586
2170 생명로드56 - 새 국회의 탄생과 주요행사안내 image 수원나그네 2020-04-16 50555
2169 남자들이 버섯머리를 싫어하는 이유 image 7 김동렬 2014-07-13 41697
2168 적정기술의 실패 4 김동렬 2016-07-24 26009
2167 흑인 부부가 백인 아기 낳아 image 15 김동렬 2010-07-20 25908
2166 쿠르베, 성기의 근원 image 16 김동렬 2014-06-09 23335
2165 625때 중공군 사상자 숫자 7 김동렬 2013-07-15 23136
2164 양직공도 신라사신 image 9 김동렬 2013-02-06 21892
2163 독수리 오형제의 실패 image 김동렬 2013-07-15 21409
2162 세잔의 사과 image 3 양을 쫓는 모험 2009-05-08 21087
2161 창의적 사고의 단계들 lpet 2011-02-27 19934
2160 이방인, 이정서가 틀렸다. image 8 김동렬 2014-04-29 19251
2159 뜨거운 물이 찬물보다 빨리 언다. 13 김동렬 2011-01-04 19024
2158 이영애는 백인 유전자를 가졌을까? image 2 김동렬 2016-08-30 16199
2157 개인용 컴을 만든다면, 이 정도가 기본. 4 ░담 2010-02-19 15815
2156 사람은 왜 눈썹이 있는가? image 2 김동렬 2018-04-19 15729
2155 진화의 오류? image 10 김동렬 2012-06-06 15524
2154 눈동자의 크기 image 18 김동렬 2014-04-11 15108
2153 김조광수 김승환 커플 image 5 김동렬 2013-10-02 150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