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챠우
read 2341 vote 0 2019.06.18 (18:15:46)

http://study.zum.com/book/14562


1. 무질서도가 큰 상태가 일어날 확률이 더 크기 때문에 무질서도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자발적인 변화가 일어남 → 무질서도가 클수록 엔트로피가 큼


2. 학생들이 운동장에 배열할 수 있는 경우의 수

▶ 학생들이 운동장에 모여 있는 경우 학생들이 한 줄로 서 있을 확률보다 제멋대로 무질서하게 서 있을 확률이 높음→ 질서 있는 경우보다 무질서한 경우 엔트로피가큼


이렇게 말하면 뭔 말인지 모르겠다. 하나로 하나를 설명하려고 하면 망하는 거. 하나를 말하려면 반드시 그것과 쌍지어있는 다른 것을 함께 말해야 한다. 우리는 보통 전제를 생략한다. 생략된 전제를 드러내야 메커니즘이 보인다. 그래야 에너지를 설명할 수 있다. 


얼음이 있다. 얼음이 녹으면 엔트로피가 증가한다고 한다. 그런데 얼음은 그냥 있을 수 있는가? 아니다. 얼음은 냉장고 안에서만 성립하는 개념이다. 얼음이 녹는 이유는 냉장고를 제거했기 때문이다. 


운동장에 아이들이 오와 열을 맞추어 서있다. 아이들은 원래 이렇게 줄을 잘 서는가? 아니다. 교감이 단상 위에서 째려보고 있기 때문이다. 교감이 사라지는 즉시 아이들은 개판을 친다. 


칸막이로 가려진 통에 공기 분자를 한쪽에만 넣었다가 칸막이를 제거하면 공기분자는 빈틈을 찾아 이동한다. 


물질이 있다. 그 물질은 그냥은 있을 수 없다. 무엇인가에 의해 엮여있다. 그 무엇인가가 사라지는 즉시 물질은 해체된다. 엔트로피의 증가다. 


운동장의 아이들도, 공기속의 분자들도 그 자체로는 성립하지 않는다. 그들은 항상 무언가에 엮여있다. 엮임의 대상이 변하는게 일이며 흐름이다. 우리는 더 높은(전체) 질서와 엮임에 의해 더 낮은(개별) 질서로 이동하지 않는다. 낮은 질서로 이동하는 이유는 높은 질서가 사라졌기 때문이다. 


이렇게 이해하면 헷갈리지 않네요. 아래는 제가 바꿔본 엔트로피 그림


엔트로피 6.JPG 엔트로피 5.JPG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9.06.18 (18:23:43)

상자 한쪽에만 기체가 있을 확률은 0입니다.

그러므로 이것은 애초에 확률의 영역이 아닌 것이지요.

확률개념이 이해를 도울 수 있지만 따지고 들면 오류입니다.

단 상자의 크기와 기체 분자의 숫자와 지속시간이 일정 수치를 넘어야 합니다.

아주 작은 상자에 기체분자 서너개를 넣어놓고 짧은 시간을 주면

분자가 한쪽에 몰려있을 수도 있지만 이것은 억지입니다.

에너지는 외력의 개입 없이 스스로 일한다는 전제를 깔고 있는데

스스로 일을 했다로 전제로 보면 그 일한 결과로 50 대 50 되어야 하며

만약 50 대 50이 아니면 일을 하지 않은 것이고 그 경우는 에너지가 아닙니다.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이유는 에너지가 주어진 조건에서 스스로 일을 하기 때문이고 

에너지가 일을 하는 이유는 원래 에너지를 그렇게 정의했기 때문이고

그렇게 정의한 이유는 빅뱅 때부터 우주가 그렇게 만들어졌기 때문이고

일의 결과가 엔트로피 증가로 나타나는 이유는 밸런스의 원리 때문이고

밸런스의 원리는 상대적으로 에너지가 많은 쪽이 적은 쪽에 작용할 뿐

에너지가 없는 쪽은 에너지가 많은 쪽에 작용할 수 없기 때문이고

에너지가 많은 쪽이 작용하는 이유는 스스로 일한다는 전제를 깔았기 때문입니다.

스스로 일하려면 이겨야 하는데 이기려면 더 효율적이어야 합니다.

에너지가 많은 쪽이 적은쪽에 비해 효율적인 구조입니다.

효율적인 이유는 구조의 중첩 때문이고 즉 구조압 때문이고

중첩은 둘이 하나를 공유하는 토대의 공유에 의한 효율성이 있습니다.

커플은 둘이 방 하나를 공유하므로 방세를 절약하여 남는 돈으로 밥을 사먹지만 

솔로는 방세 내다 남는 돈이 없어 밥을 굶으므로 비효율적이라서 집니다.

에너지가 높다는 것은 예컨대 분자가 공유결합을 하고 있다면

무거운 분자가 되어 작은 분자들을 밀어냅니다.

공유결합을 한 무거운 분자가 그렇지 않은 가벼운 분자를 지속적으로 밀어내서 

가벼운 분자의 공간을 빼앗으므로 균일하게 퍼져 버립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챠우

2019.06.18 (18:30:14)

사람들이 확률을 따지는 이유는 그들이 전제를 보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대상만 보고 배경을 보지 않으므로 "대상이 변할 확률"이라는 개념을 만든 거겠죠. 대상이 어떻게 변할지 모르니깐.

"상자 한쪽에만 기체들이 몰려있는 이유는 칸막이가 있기 때문입니다. 얼음이 얼어있는 이유는 냉장고 속에 있기 때문입니다"라는 걸 못보는듯 하네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632 구조론에 바탕한 새로운 역사해석 시도. 4 김미욱 2018-06-21 1917
4631 구조론 목요모임 image ahmoo 2018-06-21 1499
4630 교장과 교감의 부당한 권력 횡포를 막아야 교육이 바로섭니다. 2 이상우 2018-06-19 2263
4629 내일 학교폭력과 아동학대로 인한 갈등 중재 하러 갑니다. 이상우 2018-06-14 1681
4628 구조론 목요모임 image 1 ahmoo 2018-06-14 1547
4627 경남도지사 후보의 고군분투기! 1 달타(ㅡ) 2018-06-13 1944
4626 이런 영화 한편 만들고 싶다. 아제 2018-06-13 1669
4625 미국 군수업체 image 1 눈마 2018-06-13 2056
4624 안희정, 정봉주, 박수현, 이재명 건을 보면서... image 4 국궁진력 2018-06-11 3070
4623 벨기에 여행기 image 5 챠우 2018-06-08 2400
4622 구조론 목요모임 image ahmoo 2018-06-07 1583
4621 친구가 그대를 규정한다. 2 아제 2018-06-05 2180
4620 생명의 바운더리. 아제 2018-06-04 1810
4619 자한당 가고 다음은 조중동 보내기인데... 1 큰바위 2018-06-02 1882
4618 구조론 목요모임 image ahmoo 2018-05-31 1580
4617 <사람이 원하는 것 - 약한고리를 보호해야 한다> image 아란도 2018-05-25 1874
4616 트럼프에 대한 한 가지 일화 image 3 락에이지 2018-05-24 4044
4615 핸드폰에서 구조론 사이트 첫 화면을 열면... 4 다원이 2018-05-24 2111
4614 구조론 목요모임 image ahmoo 2018-05-24 1524
4613 대구 체험학습 휴게소 사건에 대한 생각의 변화 6 이상우 2018-05-22 25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