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챠우
read 2353 vote 0 2019.06.18 (18:15:46)

http://study.zum.com/book/14562


1. 무질서도가 큰 상태가 일어날 확률이 더 크기 때문에 무질서도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자발적인 변화가 일어남 → 무질서도가 클수록 엔트로피가 큼


2. 학생들이 운동장에 배열할 수 있는 경우의 수

▶ 학생들이 운동장에 모여 있는 경우 학생들이 한 줄로 서 있을 확률보다 제멋대로 무질서하게 서 있을 확률이 높음→ 질서 있는 경우보다 무질서한 경우 엔트로피가큼


이렇게 말하면 뭔 말인지 모르겠다. 하나로 하나를 설명하려고 하면 망하는 거. 하나를 말하려면 반드시 그것과 쌍지어있는 다른 것을 함께 말해야 한다. 우리는 보통 전제를 생략한다. 생략된 전제를 드러내야 메커니즘이 보인다. 그래야 에너지를 설명할 수 있다. 


얼음이 있다. 얼음이 녹으면 엔트로피가 증가한다고 한다. 그런데 얼음은 그냥 있을 수 있는가? 아니다. 얼음은 냉장고 안에서만 성립하는 개념이다. 얼음이 녹는 이유는 냉장고를 제거했기 때문이다. 


운동장에 아이들이 오와 열을 맞추어 서있다. 아이들은 원래 이렇게 줄을 잘 서는가? 아니다. 교감이 단상 위에서 째려보고 있기 때문이다. 교감이 사라지는 즉시 아이들은 개판을 친다. 


칸막이로 가려진 통에 공기 분자를 한쪽에만 넣었다가 칸막이를 제거하면 공기분자는 빈틈을 찾아 이동한다. 


물질이 있다. 그 물질은 그냥은 있을 수 없다. 무엇인가에 의해 엮여있다. 그 무엇인가가 사라지는 즉시 물질은 해체된다. 엔트로피의 증가다. 


운동장의 아이들도, 공기속의 분자들도 그 자체로는 성립하지 않는다. 그들은 항상 무언가에 엮여있다. 엮임의 대상이 변하는게 일이며 흐름이다. 우리는 더 높은(전체) 질서와 엮임에 의해 더 낮은(개별) 질서로 이동하지 않는다. 낮은 질서로 이동하는 이유는 높은 질서가 사라졌기 때문이다. 


이렇게 이해하면 헷갈리지 않네요. 아래는 제가 바꿔본 엔트로피 그림


엔트로피 6.JPG 엔트로피 5.JPG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9.06.18 (18:23:43)

상자 한쪽에만 기체가 있을 확률은 0입니다.

그러므로 이것은 애초에 확률의 영역이 아닌 것이지요.

확률개념이 이해를 도울 수 있지만 따지고 들면 오류입니다.

단 상자의 크기와 기체 분자의 숫자와 지속시간이 일정 수치를 넘어야 합니다.

아주 작은 상자에 기체분자 서너개를 넣어놓고 짧은 시간을 주면

분자가 한쪽에 몰려있을 수도 있지만 이것은 억지입니다.

에너지는 외력의 개입 없이 스스로 일한다는 전제를 깔고 있는데

스스로 일을 했다로 전제로 보면 그 일한 결과로 50 대 50 되어야 하며

만약 50 대 50이 아니면 일을 하지 않은 것이고 그 경우는 에너지가 아닙니다.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이유는 에너지가 주어진 조건에서 스스로 일을 하기 때문이고 

에너지가 일을 하는 이유는 원래 에너지를 그렇게 정의했기 때문이고

그렇게 정의한 이유는 빅뱅 때부터 우주가 그렇게 만들어졌기 때문이고

일의 결과가 엔트로피 증가로 나타나는 이유는 밸런스의 원리 때문이고

밸런스의 원리는 상대적으로 에너지가 많은 쪽이 적은 쪽에 작용할 뿐

에너지가 없는 쪽은 에너지가 많은 쪽에 작용할 수 없기 때문이고

에너지가 많은 쪽이 작용하는 이유는 스스로 일한다는 전제를 깔았기 때문입니다.

스스로 일하려면 이겨야 하는데 이기려면 더 효율적이어야 합니다.

에너지가 많은 쪽이 적은쪽에 비해 효율적인 구조입니다.

효율적인 이유는 구조의 중첩 때문이고 즉 구조압 때문이고

중첩은 둘이 하나를 공유하는 토대의 공유에 의한 효율성이 있습니다.

커플은 둘이 방 하나를 공유하므로 방세를 절약하여 남는 돈으로 밥을 사먹지만 

솔로는 방세 내다 남는 돈이 없어 밥을 굶으므로 비효율적이라서 집니다.

에너지가 높다는 것은 예컨대 분자가 공유결합을 하고 있다면

무거운 분자가 되어 작은 분자들을 밀어냅니다.

공유결합을 한 무거운 분자가 그렇지 않은 가벼운 분자를 지속적으로 밀어내서 

가벼운 분자의 공간을 빼앗으므로 균일하게 퍼져 버립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챠우

2019.06.18 (18:30:14)

사람들이 확률을 따지는 이유는 그들이 전제를 보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대상만 보고 배경을 보지 않으므로 "대상이 변할 확률"이라는 개념을 만든 거겠죠. 대상이 어떻게 변할지 모르니깐.

"상자 한쪽에만 기체들이 몰려있는 이유는 칸막이가 있기 때문입니다. 얼음이 얼어있는 이유는 냉장고 속에 있기 때문입니다"라는 걸 못보는듯 하네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4432 오랜만에 기도한다. 29 오세 2010-06-02 2818
4431 내게온 투표독려문자 곱슬이 2010-06-02 3365
4430 북풍의 위력이 약화되어 이겼다고? 4 노매드 2010-06-03 3060
4429 선거전 예상과 결과. 1 육각수 2010-06-03 3021
4428 시도지사에 당선된 후보들을 살펴 보니 공통점이 있다. 노매드 2010-06-03 3223
4427 삼인행님 강동구위원 당선 2 곱슬이 2010-06-03 3384
4426 유시민이 무사하기만을 바랄 뿐 4 양을 쫓는 모험 2010-06-03 3678
4425 다이기면 진다. 3 곱슬이 2010-06-04 3169
4424 쿨박, 오해풀고 보기 2 ░담 2010-06-04 3738
4423 다시 획득한 말할 자유 아란도 2010-06-07 3508
4422 천안함은 반드시 진실을 말 할것이다. 4 육각수 2010-06-07 3347
4421 복지는 승자의 전리품- 스웨덴 약자 1 ░담 2010-06-08 3959
4420 한번 알면 보인다 4 곱슬이 2010-06-09 3298
4419 진보신당과 노회찬 비난에 부쳐... 8 아란도 2010-06-10 3334
4418 이명박 낚시 확인 3 김동렬 2010-06-10 4413
4417 부적절한 글 집중 삭제합니다. 김동렬 2010-06-11 4189
4416 군대와 명박 2 곱슬이 2010-06-11 3621
4415 진짜세력은 투표에 연연하지 않는다 2 ░담 2010-06-11 3554
4414 아까 올려보려고 했던 글.. 독소 2010-06-11 4261
4413 월드컵, 흥이 안 난다. 6 오세 2010-06-11 50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