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챠우
read 2393 vote 0 2019.06.18 (18:15:46)

http://study.zum.com/book/14562


1. 무질서도가 큰 상태가 일어날 확률이 더 크기 때문에 무질서도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자발적인 변화가 일어남 → 무질서도가 클수록 엔트로피가 큼


2. 학생들이 운동장에 배열할 수 있는 경우의 수

▶ 학생들이 운동장에 모여 있는 경우 학생들이 한 줄로 서 있을 확률보다 제멋대로 무질서하게 서 있을 확률이 높음→ 질서 있는 경우보다 무질서한 경우 엔트로피가큼


이렇게 말하면 뭔 말인지 모르겠다. 하나로 하나를 설명하려고 하면 망하는 거. 하나를 말하려면 반드시 그것과 쌍지어있는 다른 것을 함께 말해야 한다. 우리는 보통 전제를 생략한다. 생략된 전제를 드러내야 메커니즘이 보인다. 그래야 에너지를 설명할 수 있다. 


얼음이 있다. 얼음이 녹으면 엔트로피가 증가한다고 한다. 그런데 얼음은 그냥 있을 수 있는가? 아니다. 얼음은 냉장고 안에서만 성립하는 개념이다. 얼음이 녹는 이유는 냉장고를 제거했기 때문이다. 


운동장에 아이들이 오와 열을 맞추어 서있다. 아이들은 원래 이렇게 줄을 잘 서는가? 아니다. 교감이 단상 위에서 째려보고 있기 때문이다. 교감이 사라지는 즉시 아이들은 개판을 친다. 


칸막이로 가려진 통에 공기 분자를 한쪽에만 넣었다가 칸막이를 제거하면 공기분자는 빈틈을 찾아 이동한다. 


물질이 있다. 그 물질은 그냥은 있을 수 없다. 무엇인가에 의해 엮여있다. 그 무엇인가가 사라지는 즉시 물질은 해체된다. 엔트로피의 증가다. 


운동장의 아이들도, 공기속의 분자들도 그 자체로는 성립하지 않는다. 그들은 항상 무언가에 엮여있다. 엮임의 대상이 변하는게 일이며 흐름이다. 우리는 더 높은(전체) 질서와 엮임에 의해 더 낮은(개별) 질서로 이동하지 않는다. 낮은 질서로 이동하는 이유는 높은 질서가 사라졌기 때문이다. 


이렇게 이해하면 헷갈리지 않네요. 아래는 제가 바꿔본 엔트로피 그림


엔트로피 6.JPG 엔트로피 5.JPG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9.06.18 (18:23:43)

상자 한쪽에만 기체가 있을 확률은 0입니다.

그러므로 이것은 애초에 확률의 영역이 아닌 것이지요.

확률개념이 이해를 도울 수 있지만 따지고 들면 오류입니다.

단 상자의 크기와 기체 분자의 숫자와 지속시간이 일정 수치를 넘어야 합니다.

아주 작은 상자에 기체분자 서너개를 넣어놓고 짧은 시간을 주면

분자가 한쪽에 몰려있을 수도 있지만 이것은 억지입니다.

에너지는 외력의 개입 없이 스스로 일한다는 전제를 깔고 있는데

스스로 일을 했다로 전제로 보면 그 일한 결과로 50 대 50 되어야 하며

만약 50 대 50이 아니면 일을 하지 않은 것이고 그 경우는 에너지가 아닙니다.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이유는 에너지가 주어진 조건에서 스스로 일을 하기 때문이고 

에너지가 일을 하는 이유는 원래 에너지를 그렇게 정의했기 때문이고

그렇게 정의한 이유는 빅뱅 때부터 우주가 그렇게 만들어졌기 때문이고

일의 결과가 엔트로피 증가로 나타나는 이유는 밸런스의 원리 때문이고

밸런스의 원리는 상대적으로 에너지가 많은 쪽이 적은 쪽에 작용할 뿐

에너지가 없는 쪽은 에너지가 많은 쪽에 작용할 수 없기 때문이고

에너지가 많은 쪽이 작용하는 이유는 스스로 일한다는 전제를 깔았기 때문입니다.

스스로 일하려면 이겨야 하는데 이기려면 더 효율적이어야 합니다.

에너지가 많은 쪽이 적은쪽에 비해 효율적인 구조입니다.

효율적인 이유는 구조의 중첩 때문이고 즉 구조압 때문이고

중첩은 둘이 하나를 공유하는 토대의 공유에 의한 효율성이 있습니다.

커플은 둘이 방 하나를 공유하므로 방세를 절약하여 남는 돈으로 밥을 사먹지만 

솔로는 방세 내다 남는 돈이 없어 밥을 굶으므로 비효율적이라서 집니다.

에너지가 높다는 것은 예컨대 분자가 공유결합을 하고 있다면

무거운 분자가 되어 작은 분자들을 밀어냅니다.

공유결합을 한 무거운 분자가 그렇지 않은 가벼운 분자를 지속적으로 밀어내서 

가벼운 분자의 공간을 빼앗으므로 균일하게 퍼져 버립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챠우

2019.06.18 (18:30:14)

사람들이 확률을 따지는 이유는 그들이 전제를 보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대상만 보고 배경을 보지 않으므로 "대상이 변할 확률"이라는 개념을 만든 거겠죠. 대상이 어떻게 변할지 모르니깐.

"상자 한쪽에만 기체들이 몰려있는 이유는 칸막이가 있기 때문입니다. 얼음이 얼어있는 이유는 냉장고 속에 있기 때문입니다"라는 걸 못보는듯 하네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4612 아직은 알수없지만 2 동동 2009-08-27 4239
4611 로그인 2 자유 2009-08-27 3658
4610 책 잘 받았고, 입급하였습니다. 갈대꽃 2009-08-27 4070
4609 알쏭달쏭 역대 성별 논란 선수들 image 1 이상우 2009-09-03 9383
4608 제 94차 세계 에스페란토대회 image 20 풀꽃 2009-09-04 8445
4607 재범군과 관계된 일이 과연 배타적 민족주의라고 할 수 있는 것인가...? 1 아란도 2009-09-09 4562
4606 대체 문화라는 것이 무엇입니까? 2 bttb 2009-09-12 4314
4605 원더걸스의 굴욕 image 5 LPET 2009-09-14 7097
4604 김동렬님께 1 ccolong 2009-09-17 4069
4603 책을 주문했습니다 2 아상세현 2009-09-17 3684
4602 책을 주문했습니다. 2 써니와조나단 2009-09-18 3851
4601 아시겠지만 image 꼬레아 2009-09-21 4011
4600 주말 아카데미 모임에 초대합니다. image 2 김동렬 2009-09-24 5489
4599 박찬호의 발차기 image 3 양을 쫓는 모험 2009-09-25 7408
4598 책을주문했습니다 2 샬라딘 2009-09-25 3740
4597 구글 어스와 국내 것의 결정적 차이. image 1 노매드 2009-09-25 5689
4596 발도장 4 Ra.D 2009-09-26 4685
4595 구조론 닷컴도 2 Ra.D 2009-09-29 7448
4594 김동렬님의 천재론의 교육방법을 읽다가. image 5 눈내리는 마을 2009-09-30 5378
4593 조두순이 목사 맞을까요? image 4 노매드 2009-10-01 14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