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챠우
read 2125 vote 0 2019.01.28 (22:59:59)


맥락과 관련된 내용은 8분여부터입니다. 동영상의 원래 내용은 '지각하지 않는 법'인데, 저는 좀 다른 것을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인간은 사건 전체를 한 번에 볼 수 없습니다. 

물론 나누어 볼 수는 있습니다. 


모든 사건의 구조는 2중입니다. 그런데 인간의 뇌는 1중의 구조만 볼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관측 행위가 2중의 구조이기 때문입니다. 관측, 즉 복제가 2중입니다. 

그러므로 당신은 자연스럽게 구조를 볼 수 없습니다. 


그런데 그걸 보는 사람이 있습니다. 어떻게 가능할까? 연습하면 됩니다. 

상위급 선수들은 언제나 멀티태스킹이 가능합니다. 드리블 하면서도 패스할 곳을 둘러보는 겁니다.

동시에 두가지를 보는 멀티태스킹을 말하는 게 아닙니다. 그건 원리적으로 불가능하다니깐요. 


대신에 전체와 부분을 번갈아 보면 됩니다. 

연습을 열심히 하면 뇌가 구조를 세팅합니다. 

구체적인 행동의 포지션을 미리 깔아놓고 현재 상황을 대입하는 겁니다. 


일 잘하는 사람은 자신의 일이 삽질이 되지 않고자 반드시 주변을 둘러보는 게 습관이 되어 있습니다.

내 눈 앞에 있는 일이 하나라면 반드시 그 위에 하나 더 있음을 의식하고 두리번 거리는 거죠. 

이게 잘 훈련되면, 주변 정보를 수집하지 못할 때 불안해지게 됩니다. 위험을 느끼는 거죠. 오싹해집니다. 


자기 눈 앞에 일만 하려고 하면 반드시 맥락 변화를 못보고, 삽질을 합니다.

내가 하는 일이 동료와 보조를 잘 맞추고 있는지 의식적으로 긴장타야 내 눈앞에 일을 제대로 할 수 있습니다. 

부분만 볼 것 같은 엔지니어라도 최고급은 다릅니다. 모든 프로는 이유가 있는 겁니다.


마찬가지 이유로 인간은 자연상태에서는 '주어/ 목적어/ 동사'를 순서대로 말할 수 없습니다. 

원래 인간은 동사(형용사)만 말할 수 있습니다. 같은 일을 반복하면 동사만 말해도 됩니다. 

어차피 주어와 목적어가 바뀌지 않으니깐. 그래서 베이비토크를 하는 거죠. 

 

영어는 형식상 '주어/ 동사/ 목적어'의 순서를 강제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형식을 갖춥니다. 

그런데 한국인은 순서고 나발이고 조사만 쓰면 대강 말할 수 있기 때문에 

언제나 동사만 말합니다. 


마찬가지로 어떤 사람이 말을 한다면, '입력/ 과정/ 출력'이 갖추어졌는지, 2중의 구조가 있는지만 보면,

개소리인지 2초만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나는 단번에 개소리 파악에 실패한다? 

코드를 돌려봐야 프로그램이 작동하는지 안다? 당신은 구조를 못보는 겁니다.


특별히 바보가 아니라면 가두리 생각법으로 당신은 일을 성공시킬 수 있습니다. 

당신이 하는 일이 실패했다면 그것은 부분이 틀린게 아닙니다.

전체가 틀렸기 때문에 부분에서 반드시 실패한 겁니다.


하나만 알면 모르는 겁니다. 둘을 알아야 아는 겁니다.

허드렛일을 해도 눈치밥이 있어야 먹고사는 겁니다.


PS. 학교에 지각하는 1차 이유는 '가기 싫어서'입니다. 그리고는 스스로를 지각하는 사람으로 만들어놓은 겁니다.



[레벨:5]국궁진력

2019.01.29 (03:48:21)

잘 읽었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글 부탁드립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알타(ㅡ)

2019.01.29 (09:37:24)

가설  > 회사에서 잘리는 사람은 회사에 다니기 싫어서 잘릴만한 행동을 한다. 

결과  > 결국 잘린다. 

===========

맞는 이야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11]수피아

2019.01.29 (17:36:41)

https://www.youtube.com/watch?v=_oMDyxgE9iQ

행복한 일터의 황금비율 | 유현준 건축가

//
마침 유현준 건축가의 영상이 생각나서요. 근대화가 되면서 밖에서 바이오 리듬에 맞춰 일을 하던 사람들이 실내에 일을 하기 시작하면서 '시간' '지각' 개념이 생겨난것에 대해 언급하네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1232 [ 내부자아와 외부자아 ] 덴마크달마 2016-12-17 2123
1231 구조론 연말 번개 공지 4 챠우 2015-12-23 2123
1230 ISD는 정부가 지는 형태로 진행될까요? 1 robs 2015-05-24 2123
1229 언어의 오해와 이해 3 호야 2014-07-10 2123
1228 예능프로 수준높이고 몇개빼고 다없애야. 1 배태현 2014-06-11 2123
1227 이공계 사람들이 좋았단 이유 1 눈내리는 마을 2012-03-30 2123
1226 1대와 3대는 어떻게 구분합니까? 2 연역 2019-06-04 2122
1225 진짜 나뿐 언론은 오마이 뉴스 1 까뮈 2016-11-13 2122
1224 원격작용 5 다원이 2014-03-02 2122
1223 구조론 총서 이제 e-book으로는 판매하지 않으시는 건가요? 4 윤민 2017-10-17 2121
1222 첫마음 꽃마음 image 1 생글방글 2017-03-31 2121
1221 이야기를 쉽게 만들고 끝내는 방법 챠우 2015-11-17 2121
1220 밸런스다. 2 배태현 2017-09-06 2120
1219 모퉁이를 돌아온 좋은 소식 image 1 수원나그네 2014-10-19 2120
1218 산행 번개 공지 5 ahmoo 2014-06-14 2119
1217 광주 구조모임 안내 1 탈춤 2013-06-11 2119
1216 YB - 1178 4 락에이지 2018-04-03 2119
1215 방콕(Bangkok)에 계시는 분들께 image 수원나그네 2017-10-05 2118
1214 집중(con·cen·tra·tion) 2 아나키 2015-12-15 2118
1213 한국인에겐 위안이 필요하다 2 눈내리는 마을 2014-09-03 2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