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206 vote 0 2018.11.20 (14:01:09)

qer.gif



해시계는 동경시로 인한 

30분 시차를 제외하고 언제라도 정확하지만 


달시계는 기대하는 만큼 정확하지 않다. 

숙련된 어부가 아닌 이상 달이 떠 있는 고도를 보고 


서해안의 물때를 맞추기는 어렵다.

여름 서해바다에 해수욕을 하러 갔을 때 


밀물이 들어올 때를 기다리기 마련이지만 

설사 밀물이 들어와도 그 시간이 새벽이나 오후 늦게가 아니면 


물이 충분히 들어오지 않아 

해수욕을 할 수 있는 시간이 거의 없다.


낮 12시에서 오후 3시 사이에 밀물이 들어오면 

서해안에서 해수욕을 즐길 계획을 세우는게 보통인데


그 시간에 밀물이 들어오면 조금이나 무시라서 물이 들어오다가 말아버리니

결국 인천부근 서해바다에서 대낮에 해수욕을 하겠다는 계획은 당연히 실패다.


만수위에 해수욕을 하려면 오후 6시 30분을 노려야 하는데

그때는 이미 해가 기울어서 날씨가 추우므로


백사장이 긴 대천해수욕장이나 서해안으로 상당히 진출해 있는 

태안반도와 안면도를 찾지 않는다면 보나마나 실패다.


남쪽으로 갈수록 물이 들어오는 시간이 빨라지므로

태안반도나 대천해수욕장은 운이 좋으면 오후 두시부터 물이 들어올 수 있다.


전라도로 가면 더 일찍 만수위가 되지만 

그곳은 간만의 차가 크지 않으므로 물때를 챙길 이유가 없다.


여름 서해안에서 해수욕을 하거나 

밀물이 들어올 때의 바다풍경을 보려는 사람에게는 


이 정보가 상당히 중요한데 

이 내용을 강조하여 기록해놓은 사이트를 발견하지 못했다.



1) 낮달은 항상 반달에 가깝다.

2) 완전한 보름달은 밤에만 볼 수 있다.

3) 인천부근 서해안에서 만수위에 해수욕을 하거나 바다풍경을 보려면 오후 3시에서 7시 사이를 노려야 한다.

4) 해수욕 하기 좋은 12시~03시 사이에 밀물이 들어와도 만수위가 되는 일은 절대로 없다.

5) 을왕리나 왕산해수욕장은 비키니 입고 가봤자 낮시간에는 물이 거의 들어오지 않아 실패다.

6) 대천해수욕장이나 안면도 태안반도 일대라면 낮시간이라도 상당히 기대할 수 있다.

7) 달과 지구가 정렬한 시간에 밀물이 들어오는게 아니라 인천기준 최대 8시간 이상 늦게 물이 들어온다. 

8) 서해안 물때는 달과 지구가 정렬한 시간이 아니라 물이 좁은 만으로 올라오면서 지체되는 시간을 가늠해야 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3259
2069 [re] 질문있습니다 ^^ 2 김동렬 2006-05-06 8670
2068 흑인이 백인처럼 문명을 발달시키지 못한 이유 10 김동렬 2017-08-14 8633
2067 에디슨의 명언 image 5 김동렬 2013-12-12 8610
2066 범어와 한국어의 유사성 image 3 김동렬 2014-03-18 8609
2065 콜럼버스의 달걀 image 2 양을 쫓는 모험 2010-12-26 8604
2064 거북선의 진실 image 3 김동렬 2015-10-17 8582
2063 [re] 문명과 대중 그리고 지식 1 김동렬 2006-03-01 8564
2062 문제란 무엇인가? image 6 양을 쫓는 모험 2010-07-16 8551
2061 두더지의 눈 image 1 김동렬 2012-01-04 8545
2060 나쁜감독, 김기덕 바이오그라피(1996-2009) image 11 양을 쫓는 모험 2009-11-28 8482
2059 결혼의 조건 image 5 양을 쫓는 모험 2010-06-12 8458
2058 징병제가 낫다. 1 양을 쫓는 모험 2009-06-16 8449
2057 팬택과 노키아가 망한 이유 3 챠우 2014-11-30 8425
2056 구조론으로 본 영어 어원(엑셀파일로 정리함) 1 오세 2010-05-16 8416
2055 6천년 전에 세워진 아일랜드 고인돌 image 2 김동렬 2011-05-25 8408
2054 스티브 잡스의 아이콘 image 4 양을 쫓는 모험 2010-06-22 8403
2053 구조론 문제.. 모하비의 그릴 image 44 김동렬 2012-12-25 8370
2052 혈액형과 인류구조관점 4 지여 2010-10-31 8345
2051 전치사 혼 안 내기 image 4 김동렬 2015-10-15 8341
2050 글 잘 쓰는 방법 7 김동렬 2013-10-11 8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