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필자가 대학생때 이야기이니 20년도 전 일이다.

대학에 가보니, 문과생들은 죄다 고시공부만 하고 있더라.

교양과목 교수들은 죄다 비겁해져있었고,

좌파교수라는 김수행 김진균은 아주 오래된 마르크스 고전만 이야기하더라.


아. 열심히 해서 왔던 대학의 모습은 정말 아니올시다였다.

팔뚝질을 해도, 군대에 다녀오니, 세상은 정말 많이도 변해있더란거다.


서울대 엘리트라고 자처하는 한동훈 윤석렬의 민낮은 너무도 부끄럽다.

서구사회에서는 중범죄중 중범죄인 논문 브로커....

아이들이 공부를 좀 못하는건 상관없지만, 거짓말로 키우면 자식들이 주눅들어서 멸망하기 쉽상이다.


서울대-연고대-카이스트 정도라면, 세상과 싸울 마음을 가져야한다.

룸싸롱에서 대기업 본부장들하고 양주 먹으니, 세상이 만만한가?


한동훈 자녀와 처가의 모습을 보니, 한국 엘리트들의 추한 민낮이 역겹다.

한국 엘리트 세대교체가 절실하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7]레인3

2022.05.09 (18:12:32)

S대 가면 들어가자마자 고시 공부만 한다는 거  유명한 이야기죠.

수업 시간에 질문도 안 하는데, 누가 하면 이상한 사람 쳐다보듯 한다는 이야기도 들었네요.


시간이 흘렀으니 요새는 모르겠네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21]chowchow

2022.05.10 (00:39:01)

서울대 나온 사람들이 욕을 먹는 이유는 한국에서 갑질을 하기 때문입니다.

반대로 해외에서 갑질하면 대환영이죠.

누군가가 갑질을 한다는 것은 내 권력을 뺏어간다는 건데,

반대로 해외에서 갑질을 하면 내 권력이 커지므로 대환영

손흥민이 20호 골로 갑질을 하면 내가 기분이 좋아지는 것과 마찬가지.

미국 엘리트엔 굽신거리고 한국 지방대엔 갑질하고 이런 건 아니잖아요.

밖에서 굽신거리다가 집에 들어와서 마누라 패는 놈들이랑 다를 게 뭐냐고요.

Drop here!
[레벨:30]스마일

2022.05.11 (11:52:15)

미국 대학에 나오는 사람들은 미국에서 취직했으면 좋겠다.

IVY리그 좋아하고 하버드 좋아하면

미국에 교육비 주고 미국경제를 돌아가게 했는 데

왜 이준석은 미국에서 취직 못하고 한국에서 와서 난리이냐?

이준석은 미국에서 취직할 실력은 안되나?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5880
1955 존재의 이유 image 13 양을 쫓는 모험 2010-03-18 6727
1954 솔로들은 못맞추는 문제 image 19 오세 2012-12-24 6704
1953 뜨거운 물이 찬물보다....? image 7 꼬치가리 2011-01-10 6692
1952 아빠 어디가, 사승봉도가 무인도? image 1 김동렬 2013-08-19 6688
1951 올드보이 원작만화 해설 김동렬 2017-02-18 6678
1950 모든 구조의 구조 (서점리뷰) 6 lpet 2010-09-27 6676
1949 당신들이 밉습니다. 10 가혹한너 2008-08-28 6660
1948 김동렬님 제가 구조론에 입각하여 쓴 글입니다 4 가혹한너 2009-02-04 6651
1947 몸캠피싱의 문제 image 4 김동렬 2014-11-06 6638
1946 의미는 상황이다. 1 아제 2010-07-16 6637
1945 지구둘레길 6 지여 2011-01-24 6631
1944 바그다드 까페 image 11 김동렬 2013-10-20 6617
1943 한국인의 뿌리는 흉노다 image 3 김동렬 2016-03-30 6613
1942 구조론연구소 홍보동영상 12 기준님하 2010-03-22 6581
1941 선은 굵을수록 좋다 image 2 김동렬 2013-11-25 6573
1940 [업뎃] 영단어, 아기처럼 생각하라! image 8 조영민 2010-05-03 6567
1939 외계인은 없다. 9 김동렬 2015-07-21 6556
1938 사토시 나카모토 추정 인물 image 2 오리 2023-05-09 6547
1937 비분강개: 법륜의 노망에 답한다 15 오세 2013-02-09 6547
1936 맘에 드는 작품을 찾아보세요. image 10 김동렬 2013-10-27 65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