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498 vote 0 2016.05.09 (11:14:22)

     

    세상이 시끄러운 이유는 나팔을 부는 사람 때문이다. 그들은 결코 멈추지 않는다. 그러므로 당신도 함께 연주에 참여하는 수밖에 없다. 당신이 멋진 연주로 그들을 리드할 때 비로소 세상은 고요해진다. [생각의 정석 106회]


    세상은 동적 존재다. 머물러 있는 것은 없으며 변화함으로써 존재를 유지한다. 존재의 원초적 불완전성 때문이다. 우주 안에 완전한 것은 없으며 외부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아 부단히 호흡함으로써 겨우 존재하게 된다. 가수는 노래하지 않을 때 죽고, 댄서는 춤추지 못할 때 죽고, 작가는 글쓰지 않을 때 죽고, 문명은 진보하지 않을 때 죽고, 우주는 팽창을 멈출 때 죽고, 시간은 흐르지 않을 때 죽고, 인간은 소통하지 않을 때 죽는다. 상호작용하지 않을 때 죽는다.


  많은 것들은 이미 죽어 있다. 이명박은 이미 죽어 있고, 박근혜는 거진 죽어 있다. 이문열은 존재가 없고, 김훈은 티끌과 같다. 그들은 대역전문 연기자처럼 자기존재를 드러내지 못하고 잊혀진다. 혹은 히틀러처럼 오해된다. 우리가 아는 히틀러와 실재했던 어떤 덩어리는 다른 거다. 남의 인생을 거짓으로 연기하기 때문이다. 모든 것은 불완전하며 오직 진리의 팀에 가담했을 때만 빛나게 된다.


aDSC01523.JPG


    우주 안에 완전한 것은 없지만 존재의 원초적 불완전성을 받아들이면 완전해집니다. 스스로 완전한 전구는 없지만 누가 스위치를 눌러주면 전기가 들어와서 완전해집니다. 인간은 스스로 완전할 수 없는 존재지만 신의 마음을 얻어 신의 의사결정을 대표하는 방법으로 완전해집니다. 모든 드라마는 불완전하지만 누가 그 드라마를 보고 또다른 자기만의 드라마를 복제하여 진도나갈 때, 그러한 부단한 연결에 의해 비로소 생명성을 얻어 마침내 완전해집니다. 그 흐름이 끊기면 죽습니다. 생명은 불과 같습니다. 누가 계속해서 연료와 산소를 공급해주는 동안은 완전합니다. 호흡을 멈추면 죽습니다.   


[레벨:30]솔숲길

2016.05.09 (16:18:42)

[생각의 정석 106회] 이명박의 음모

http://gujoron.com/xe/652936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33810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24006
2926 구조론은 왜 5인가? 김동렬 2007-06-08 11060
2925 DJ, 노무현 그리고 서프라이즈 김동렬 2006-12-28 11062
2924 완전한 전쟁은 가능한가? image 김동렬 2012-02-02 11064
2923 왜 부조리인가? image 6 김동렬 2013-01-29 11066
2922 세상은 마이너스다. image 김동렬 2016-11-10 11068
2921 "황진이가 묻는다" 김동렬 2006-11-17 11074
2920 유시민은 솔직한가? 김동렬 2005-10-13 11077
2919 삶의 의미는 미학에 있다. image 1 김동렬 2018-05-18 11081
2918 영국차가 망해먹은 이유 image 17 김동렬 2014-07-13 11082
2917 자유의지란 무엇인가? image 9 김동렬 2013-12-31 11084
2916 학문과 예술 김동렬 2006-02-18 11088
2915 구조론으로 본 진화론 김동렬 2007-03-02 11093
2914 “황진이의 한계” 김동렬 2007-06-19 11095
2913 유태인이 뛰어난 이유 5 김동렬 2013-10-14 11095
2912 연역어와 귀납어 6 김동렬 2013-07-30 11105
2911 과학과 연금술(보강) image 4 김동렬 2011-05-06 11109
2910 K 팝의 가능성? image 5 김동렬 2011-11-22 11109
2909 문제제기와 문제해결 image 2 김동렬 2016-11-04 11110
2908 1분에 끝내는 구조론 image 김동렬 2016-11-08 11113
2907 한국 영화의 경쟁력 김동렬 2006-02-07 11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