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887 vote 0 2015.04.20 (23:11:01)

41.jpg


42.jpg



     

    노예냐 주인이냐?


    탈레스는 물이 만물의 근원이라 했고 노자는 부드러운 것이 굳센 것을 이긴다고 했다. 이는 창조자의 관점에서 바라본 것이다. 물처럼 부드러운 재료가 주어져야 무엇이라도 만들어낼 수 있다. 그런데 뉴턴이래 결정론적 사고가 유행하면서 딱딱한 것을 쳐주게 되었다. 원자론적 사고의 등장이다.


    원래 인류는 부드러운 것을 높이 쳐주었는데 갑자기 딱딱한 것으로 퇴행하였다. 두 가지 이유가 있다고 본다. 하나는 종교의 득세로 자신을 약자로 놓는 노예의 관점이 도입된 것이다. 또 하나는 수학에 대한 편견이다. 수학이라는게 원래 딱딱하다. 그런데 과연 그런가? 수학은 딱딱한 것인가?


    인류는 수학적 사유에 힘입어 근대과학을 열어젖히게 된 것이다. 그 수학이 딱딱하다보니 진리는 딱딱한 것이라고 믿게 된 것이다. 그런데 말이다. 수학도 깊이 들어가면 부드러운 것으로 되어 있다. 우선 무한대 개념이 그렇다. 무한대를 표시하는 ∞ 기호부터 부드러운 꽈배기 도너츠가 아닌가?


    수학의 깊은 곳에 부드러운 무한대가 도사리고 있다. 근대를 열어젖힌 미분적분도 무한대를 쓰는 극한개념에서 출발한다. ‘무한히 가까워진다’는 극한 개념은 어떻게 보면 반수학적이다. 수학은 똑부러져야 하는데 똑부러지지 않는다. 그런데 신은 이 방법으로 세상을 창조했다. 발상의 전환이다.


    무한은 한이 없다는 거다. 그런데 수라는 것은 한을 정한 것이다. 수는 유한이다. 그러나 구조론의 대칭개념으로 보면 한이 없는 한도 있을 수 있다. 0과 같다. 크기가 없는 크기도 있을 수 있다. 허수와 같다. 그런데 이게 없으면 세상이 만들어지지 않는다. 세상을 마이너스로 보면 답이 보인다.


    노예의 관점은 플러스로 보는 것이다. 노예의 자산은 제로다. 뭔가 플러스 되어야 한다. 노력하면 플러스 된다. 그러나 창조자의 관점에서 보라. 마이너스는 있어도 플러스는 없다. 있는 재료를 쓰는 것이다. 창조자의 마이너스 관점에서 보면 세상은 마땅히 부드러운 것으로 되어 있어야 한다.


   DSC.JPG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224 도덕경의 도생일 image 김동렬 2015-11-03 5641
3223 일층 위에 이층 있다 image 김동렬 2015-11-02 5414
3222 인간이 불행한 이유 image 2 김동렬 2015-10-28 7226
3221 구조는 이중구조다 image 김동렬 2015-10-26 5461
3220 짧지 않은 깨달음 image 2 김동렬 2015-10-25 5304
3219 짧은 깨달음 image 김동렬 2015-10-24 5805
3218 양자론과 구조론 image 2 김동렬 2015-10-23 5370
3217 신과 사탄이 싸우면 승자는? image 7 김동렬 2015-10-22 6196
3216 왜 엔트로피인가? image 2 김동렬 2015-10-21 5260
3215 엔트로피가 전부다 image 2 김동렬 2015-10-20 5428
3214 세상의 시작 image 김동렬 2015-10-20 5334
3213 구조론은 5로 해결한다 image 2 김동렬 2015-10-16 5289
3212 진리와 깨달음 image 2 김동렬 2015-10-10 6110
3211 인생의 의미 image 2 김동렬 2015-10-09 6382
3210 영화의 대칭과 비대칭 image 2 김동렬 2015-10-09 6406
3209 진리란 무엇인가? image 3 김동렬 2015-10-08 6458
3208 깨달음은 두 번 뒤통수를 친다 image 1 김동렬 2015-10-07 5769
3207 욕망은 없다 image 4 김동렬 2015-10-07 6007
3206 근대인의 사유 image 1 김동렬 2015-10-06 7523
3205 북극의 북쪽에 무엇이 있을까? image 1 김동렬 2015-10-05 63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