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장이라는 말은 원래 없고
대개 고래장이라고 했으며 기로장棄老이라고도 했습니다.
불교설화로 잡보장경의 기로국棄老國 설화가 있는데
영향을 미쳤을 수 있지만 기로장이 고려장으로 바뀌는 것도 이상합니다.
어원을 연구해 본 바에 따르면 그런 식의 변화패턴은 없습니다.
국어사전을 검색해 보면 고래가 굴에서 파생된 단어임을 알 수 있습니다.
1. 고래
명사 방언
‘고랑1(두둑한 땅과 땅 사이에 길고 좁게 들어간 곳을 ‘이랑1’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의 방언(함북).
2. 고래
명사 방언 ‘골짜기1(산과 산 사이에 움푹 패어 들어간 곳)’의 방언(함북).
3. 고래(래는 ㄹ+아래아 +ㅣ)
명사 옛말 ‘방고래(방의 구들장 밑으로 나 있는, 불길과 연기가 통하여 나가는 길)’의 옛말.
국어사전으로 알 수 있듯이 고래는 고랑, 골짜기, 골이며 굴에서 파생된 단어이고
온돌의 아궁이 안쪽을 고래라고 하는데 생긴 것이 고래장의 돌방무덤과 구조가 같습니다.
고려장의 진실은
1) 삼국시대 석실분의 인위적으로 만든 굴 모양의 돌방을 고래라고 불렀다.
2) 고래는 온돌에도 쓰이고 돌방무덤에도 쓰인다.
3) 굴+장=고래+장=고래장=고려장으로 변했다.
고려장은 고래장이며 고래는 돌방무덤 곧 석곽묘에 쓰이는 돌방의 본래말입니다.
고인돌시대부터 삼국시대까지 석실분은 흔했고 석실의 형태가 방고래와 같기 때문에
횡혈식 석실분의 돌방을 고래라고 말한 것이고
시골마을 어느 곳이나 뒷산에서 허물어진 석실분을 발견할 수 있고
그곳에는 껴묻거리로 들어간 밥그릇이 놓여있었기 때문에
그 밥그릇을 보고 불교설화의 기로장을 연상하여
조상들이 고래장을 하면서 죽기 전에 먹으라고
밥과 물을 넣어두었구나 하고 이야기를 지어낸 것이 와전된 것입니다.
요약하면,
강제징용 관련 피해자 개인들의 청구권에 대한 한국 대법원의 판결은
2007년 4월 일본 최고재판소의 판결과 일치한다는 주장입니다.
식민지 지배의 합법성을 인정한 1965년 한일협정 자체가 지닌 문제점은 거론하지않고 있지만
개별청구권조차 한일협정에 의해 해소됐다는 일본정부의 주장은 잘못 되었다는 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