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7489 vote 0 2015.08.18 (23:07:50)

8.jpg






9.jpg

 


    존재한다는 것은 복제한다는 것이다. 내가 대상에 작용을 가했을 때 대상도 내게 작용을 가하면 우리는 거기에 무엇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메아리와 같다. 내가 소리를 지르면 상대방도 소리를 저지른다. 눈은 빛의 반사로 판단하고, 잠수함은 소나의 음향으로 판단한다. 어떤 유형적인 존재는 이러한 다섯가지 의사결정 과정을 거쳐 인간에게 지각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8226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8200
3395 구조의 통제방법 4 김동렬 2014-04-12 7584
3394 질문하지 말고 반격하라 image 4 김동렬 2016-09-13 7577
3393 존재의 최종근거는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4-07-08 7566
3392 잘 사는 나라와 못 사는 나라 image 1 김동렬 2015-07-10 7558
3391 인간은 왜 공부하는가? image 김동렬 2016-08-18 7546
3390 깨달음은 1인칭이다 2 김동렬 2014-05-27 7535
3389 구조론의 정수 image 1 김동렬 2015-06-10 7530
3388 조직을 제어하는 방법 image 8 김동렬 2015-01-14 7529
3387 대중은 원래 비겁하다 image 김동렬 2016-09-22 7523
3386 거꾸로 생각하라. image 김동렬 2015-03-06 7506
3385 깨진 유리창 이론[추가됨] image 1 김동렬 2015-02-02 7505
3384 철학에서 미학으로 image 2 김동렬 2016-08-31 7504
3383 지식의 출발 image 1 김동렬 2015-01-28 7499
3382 에너지의 탄생 image 1 김동렬 2016-08-29 7495
3381 석가는 무엇을 깨달았는가? image 김동렬 2016-08-30 7491
» 미시세계와 거시세계 image 김동렬 2015-08-18 7489
3379 너희는 진리를 사랑하라 image 김동렬 2016-09-06 7479
3378 구조론은 정답이 있다 image 1 김동렬 2014-04-10 7477
3377 구조론이 좋은 이유 6 김동렬 2014-03-23 7474
3376 자본은 왜 발전하는가? image 김동렬 2016-09-10 74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