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인트:71746point (23%), 레벨:28/30 [레벨:28]](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8.gif)
축하 드립니다.
나중에 모임에 나오셔서 그동안의 이야기를 듣기를 기대 하겠습니다.

![포인트:37653point (44%), 레벨:20/30 [레벨:2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0.gif)
그러지요~
아마 다음주에 가능할듯~

![포인트:37653point (44%), 레벨:20/30 [레벨:2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0.gif)
http://m.bulkyo21.com/news/articleView.html?idxno=42061

![포인트:10773point (93%), 레벨:10/30 [레벨:1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0.gif)
달라이 라마가 뭔 대단한 사람이라고
뵙다는 존칭을 쓰는지.
그리고 절하지 말라고 구조론연구소 늘 하는 말인데
예법이라면 어쩔 수 없지만.
좀 씁쓸하네요.
교수라는분이 좀 비굴해보여 엘리트라는 생각이 안드네요.
남 따라하지 말고 자신만의 그 무엇을 보여 주세요.
뵙다는 존칭을 쓰는지.
그리고 절하지 말라고 구조론연구소 늘 하는 말인데
예법이라면 어쩔 수 없지만.
좀 씁쓸하네요.
교수라는분이 좀 비굴해보여 엘리트라는 생각이 안드네요.
남 따라하지 말고 자신만의 그 무엇을 보여 주세요.

![포인트:27657point (52%), 레벨:17/30 [레벨:17]](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7.gif)
차관의 마지막 말을 의역하면,
'자료구조론 이나 컴퓨팅이론'을 익히는게 좋다는 말이 나옵니다.
제 개인적으로는, 간단한 함수를 구현해보고, 그를 복제응용하는건 중요합니다.
그리고, 천재들이 날고 뛰는 공간에 진입할수 있는 매력을 갖추는게 중요합니다.
21세기에는 천재가 될 필요보다는, missing piece를 맞춰가고 끝까지 밀고가는게 중요합니다.

![포인트:2744point (49%), 레벨:5/30 [레벨:5]](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5.gif)
프로그래밍 언어의 문법을 배운다는 협의로써의 코딩 교육이라면 지양되어야 하지만
요새 나오는 교육용 언어들은 논리적 사고를 배양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