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인트:52771point (21%), 레벨:24/30 [레벨:24]](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4.gif)
주진우 기자는 기자 중의 기자입니다.
기자는 이래야 하는긴데.
조중동 사원님들은 어디서 뭘 배웠는지.
밤피들!

![포인트:119924point, 레벨:30/30 [레벨:3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30.gif)
한 주기자 백만 좃선기자 안부럽다.

![포인트:18892point (47%), 레벨:14/30 [레벨:14]](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4.gif)
바다오염

![포인트:21046point (28%), 레벨:15/30 [레벨:15]](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5.gif)
ㅋㅋ 얘들은 뚕툥이 바다로 보인다네~
아침에 뉴스들으면서 낄낄 웃었다네~
정화조당~~~

![포인트:38337point (63%), 레벨:20/30 [레벨:2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0.gif)
영등포갑에 출마를 안한단다...안한것이 아니라 못하는 거겠지...찍힐대로 찍혀서...후배라 다투기 실어서라...핑계도 좋으셔.

![포인트:21407point (41%), 레벨:15/30 [레벨:15]](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5.gif)
원래 범죄자 정도 되면 자신의 행동을 선악, 진위, 미추 같은 걸로 파악하지 못하고 타인에게 피해를 입혀서 양심에 가책을 느끼는 것도 안 되고, 자신의 행동을 반성하고 뉘우치는 것도 불가능하오. 애당초 그게 가능하면 범죄를 저지르지도 않으니까. 그들이 고개를 숙이고 죄송한 표정을 짓는건 다 시켜서 혹은 주위에서 가하는 무언의 압력으로 그런거고, 원래 범죄를 저지른 사람의 표정은 해맑을 수 밖에 없소. 그들은 공동체의 명령에 충실했소. 그들은 몸소 공동체의 모순과 불안을 직접 드러내보였고, 이로 인해 사람들의 주목을 받았으니 나름 성공한 거요. 그러니 원래대로라면 자신의 범죄로 사람들의 시선이 쫘악 몰렸을 때 자동으로 희희낙락해지오. 공동체의 미션에 성공했기 때문이오.
하지만 보통 그렇게 쪼개면 형사가 뒤통수를 갈기기 때문에 걍 고개 푹 숙이고 가는 거고.

![포인트:21407point (41%), 레벨:15/30 [레벨:15]](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5.gif)
음, 이 주제에 대해 좀 더 자세히 듣고 싶구려. 일진은 보통 누가 더 싸움을 잘하는가? 누가 더 잘생겼는가 혹은 이쁜가, 누가 더 돈을 잘 쓰는가, 누가 더 선생님이나 부모에게 반항을 잘하는가 등의 룰이 작동하면서 생기는 거고, 거기에서 악착같이 더 높은 지위에 도달하려 아이들은 더 센 폭력, 금력을 동원하는 것이고, 일단 그런 룰이 만들어지면 그 다음부터 학교폭력은 자동으로 발생하게 되고, 그러한 시스템은 이제 대물림되어서 선배가 후배, 그 후배가 또 다른 후배에게 관습을 물려주는데...
암튼, 이러한 관습, 룰, 시스템이 왜, 그리고 어떻게 만들어지는지에 대한 인류학적 이유를 좀 더 자세히 듣고 싶구려.

![포인트:736269point, 레벨:30/30 [레벨:3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30.gif)

일진이 되려는게 아니라, 쌈을 잘하려는게 아니라
더 높은 지위를 바라는데 아니라
기가 되려는 것이오.
동기와 목적을 얻으려 하는 것.
그 동기와 목적은 공간의 나와바리 의식에서 나오는 것.
자기영역을 확인하려는 본능이 있소.
영역을 장악 못하면 불안해지오.
상하관계의 수직구조에 낑기려는 본능도 있소.
자기 영역에서 어떤일이 일어나는지 다 챙겨야 맘이 편해지오.
자기영역이 아니면 남의집에 온 손님처럼 불안해지는 것이오.

![포인트:6815point (68%), 레벨:8/30 [레벨:8]](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8.gif)
흠..

![포인트:21184point (33%), 레벨:15/30 [레벨:15]](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5.gif)
막걸리가 세계화되려면 막걸리에 대한 연구도 중요하지만
안주, 막걸리병과 술잔, 테이블, 조명, 배경음악, 점원복장을
하나의 컨셉으로 묶어내야하지 않을까요? 와인이나 위스키처럼..
플라스틱 병과 양은 주전자, 막사발, 들쭉날쭉 안주로는 어려울 듯..

![포인트:3399point (13%), 레벨:6/30 [레벨:6]](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6.gif)

![포인트:1955point (63%), 레벨:4/30 [레벨:4]](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4.gif)
막걸리보다 훨씬 저급한 술이며 뒤끝도 안좋은 와인이 세계화가 된 것을 감안하여 마케팅을 잘 해야 할 것입니다.

![포인트:736269point, 레벨:30/30 [레벨:3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30.gif)

뒤끝 이야기 하면 좋은 막걸리 못 마셔본 분.
위에 열거한 것 중에는 월향이 최고.
근데 구하기 힘듬.
국순당이 그나마 괜찮음.
그러나 구린내 좋아하는 영감들이 장수막걸리 애호해서 망함.
장수막걸리 타도해야 세계화 가능.

![포인트:1955point (63%), 레벨:4/30 [레벨:4]](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4.gif)
장수막걸리 타도해야 세계하 가능에 강력히 한표.
수입쌀로 만들고 밀가루 섞던 살균막거리인 장수막걸리가 우리나라 대표막걸리인 것이 부끄러운 일이지요.
국내쌀 100%로 만드는 발효막걸리가 요즘 여기저기서 많이 나오는데 아직도 장수막걸리가 제일 많이 팔리는 걸
보면 잘못된 고정관념 바꾸는데 얼마나 힘든지 알 수 있습니다. 막걸리가 뒤끝안좋다는 편견에 사로잡히는 것도
그렇고.

![포인트:2911point (66%), 레벨:5/30 [레벨:5]](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5.gif)

막걸리 세계화 되기 위해서도 역시 마이너스! 이것저것 부가첨가물 쓰면 망함.
고급 일본 사케로 갈수록 부가 첨가물이 적어지고 싸구려 사케 일수록 부가 첨가물이 많음.
맥주도 고급으로 갈수록 홉의 %만 올라갈뿐 나머지는 마이너스
국내 맥주가 맛없는 이유도 옥수수같은 부원료를 넣는다고 하오(단가를 낮추기 위해) 미친거요
막걸리도 주원료를 최대한 살리는 길이 세계화의 지름길

![포인트:44451point (22%), 레벨:22/30 [레벨:22]](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2.gif)
동의합니다. 그 아스파탐산인가 뭔가.. 추가적인 단맛내는 합성 감밀좀 안넣었으면..

![포인트:52771point (21%), 레벨:24/30 [레벨:24]](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4.gif)
우물쭈물하다가 또?
일본애들이 자포니카 막걸리로 세계화!
80년대 초 언젠가 미국에서 처음으로 선뵈인 포장감치가 made in Japan이었다.

![포인트:736269point, 레벨:30/30 [레벨:3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30.gif)

최면술보다 더 신기한건 아니지요.
뇌의 특정부위가 어떤 이유로 과도하게 활성화되면
뇌와 신경으로 연결된 몸이 아픈 것도 충분히 있을 수 있지요.
인디언 남자 주술사는 신체의 살점을 50군데 정도 떼어내는데
극도의 물리적인 고통을 가하면 환영을 볼 수 있습니다.
대마초 피우고 환영을 보는 것과 다르지 않은데
뇌 혈관이 차단되어 환영을 보는 것은 흔히 있는 일입니다.
임사체험은 뇌 혈류 차단인데 당사자는 천국을 다녀왔다고 굳게 믿지요.
육체의 고통으로 뇌를 비정상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겠지요.

![포인트:726point (81%), 레벨:2/30 [레벨:2]](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gif)
뇌의 과잉활성화증 같은게 있다고 들은 것 같아요...뇌작동의 오류로 신병이라는 것이 날 수 있겠다..이해할수도 있는데... 대개 내림굿을 받으면 고통이 사라지거나 사라진다고 느낀다....이게...참 과학적으로 이해하기 더 힘든 듯 해요. 뇌의 과잉증이 어떤 의학적 처방없이 내림굿같은 장치를 통해 심리적 위안이나 최면술 같은 효과를 얻어 고통이 사라지거나 사라졌다고 믿는 것일까? 하는 점에서요...

![포인트:736269point, 레벨:30/30 [레벨:3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30.gif)

환영을 볼 수 있다면 환통을 느낄 수도 있는 것이고
환영이 사라질 수 있다면 환통도 사라질 수 있는 것이고
그게 이상하다고 볼 수는 없는 거죠.
육체가 고통을 느낀다는건 착각이고 모든 고통은 뇌가 느끼는 겁니다.

![포인트:2911point (66%), 레벨:5/30 [레벨:5]](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5.gif)

일본에 요리공부 한다고 4년동안 있었는데(제가 잠시 한국 들어온 사이 대지진이 났네요..)
일본인들에게 많은 도움을 받은 기억이 있어서 그런지는 몰라도 이런 댓글 보면 참 가슴이 아프오.
만약 산청에 일본인 마을이 들어선다면 소바가게 하나 차려서 일본인들의 향수를 달래주고 싶소.
저들도 죄가 있다면 정치에 무지하고 방관한 죄..

![포인트:7934point (37%), 레벨:9/30 [레벨:9]](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9.gif)
공감 댓글
"한국에서는 고소득층과 '고자산계급'이 다르니까.. 당연히 이런 결과가 나올 수밖에"

![포인트:23329point (9%), 레벨:16/30 [레벨:16]](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6.gif)
최용식 선생님이 예전에 지적한 바 있는데.
가진 자와 버는 자를 구분해야 한다고.
이 중 버는 자는 우대를 해야 한다고.
(즉 보유세는 늘리고 소득세는 줄이고 뭐 대충 이런 이야기)
고소득층 = 버는 자, 가진자 = 고자산 계급
여태까지 우리 사회에 이 둘을 제대로 구분해서 담론을 형성한 적이 거의 없지요.
이제 좀 되려나.

![포인트:52771point (21%), 레벨:24/30 [레벨:24]](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4.gif)
많이 버는 자에게는 격례와 포상을!
많이 가진 자에게는 고통과 세금폭탄을!

![포인트:7934point (37%), 레벨:9/30 [레벨:9]](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9.gif)
고소득에 대해서도 적정수준으로 세금을 올려야 겠지만, 불로소득에 대한 세금을 강화하는데 더 방점을 줘야하는데...

![포인트:38337point (63%), 레벨:20/30 [레벨:2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0.gif)
많이 벌어도 부모가 물려준 자산이 없는 사람들 많음.
그러니 고소득층 = 버는 자, 가진자 = 고자산 계급을 일단 분리해야 하고,
그 다음 고소득층의 세금 탈루를 방지해야 하고, 고자산층은 상속세 재산세를 많이 내야 한다고 보임.
설명이 오글오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