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118/006/6118.jpg)
![포인트:733892point, 레벨:30/30 [레벨:3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30.gif)
![id : 김동렬 id: 김동렬](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image_mark/118/006/6118.gif)
구조론 파들은 찌개가 끓기도 전에 이미 숟가락을 갖다댐다.
앞접시고 국자고 다 필요없음. 아니 나만 그런가? 지송.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061/006/6061.jpg)
![포인트:44446point (21%), 레벨:22/30 [레벨:22]](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2.gif)
그런데 참 이상한게 저도 구조론에서는 그냥 편하게 먹다가도 다른데 가면 좀 문제가 있다고 인식하게 되네요.
돌이켜보니 구조론 모임에서는 그냥 편하게 했던 행동이었다는 걸 이제야 인식...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017/302/302017.jpg)
![포인트:13283point (14%), 레벨:12/30 [레벨:12]](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2.gif)
찌개 같이 떠먹는게 이상하다고 생각하기 시작하면 사실 한 그릇에 있는 반찬을 같이 먹는것도 좀 이상하죠.
저도 옛날엔 찌개 뿐만아니라 원래 각상으로 먹었다고 어디선가 들은적이 있는거 같네요.
일제에 영향을 받아서 겸상문화가 생겼다는거 같기도 하고..
근데 찌개는 같이 떠먹는데 국은 또 따로 떠먹는것도 생각해보면 좀 이상하죠.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118/006/6118.jpg)
![포인트:733892point, 레벨:30/30 [레벨:3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30.gif)
![id : 김동렬 id: 김동렬](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image_mark/118/006/6118.gif)
조선시대 그림을 참고하고 보면
어른들은 각자 독상을 받아 자기 상에 있는 것만 먹고
애들은 그냥 우르르 몰려서 양재기에 있는 것을 막 퍼먹고
하인들은 상도 없이 부엌바닥에 놓고 먹고 이랬던게 아닌가 싶소.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004/289/289004.jpg)
![포인트:31529point (71%), 레벨:18/30 [레벨:18]](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8.gif)
구조파는 야생인들. 고기가 안익어도, 타도, 땅바닥에 떨어져도 강물에 씻어서 먹음(씻는게 어디야).
예상컨데 카드뮴에 빠져도 먹을듯.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056/006/6056.gif)
![포인트:48558point (22%), 레벨:23/30 [레벨:23]](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3.gif)
믿음을 깔고 앉기 때문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828/219/219828.jpg)
![포인트:41605point (49%), 레벨:21/30 [레벨:21]](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1.gif)
핵을 던지려면 6.25때 만주에 있던 중공군에게 던졌어야지.
맥아더원수가 주장했던대로...
그랬다면 어쩌면 통일이 되었을지도....
소련의 개입을 두려워했던 트루만이 맥아더원수를 해임한 것이라고 알고 있었는데 말입니다.
김선생님 말씀대로 스탈린의 참전의사가 없었다면 이거야 원....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004/289/289004.jpg)
![포인트:31529point (71%), 레벨:18/30 [레벨:18]](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8.gif)
돈이 있는데도 그렇다면,
남자측에서 보면
1. 거절당할까봐
2. 경험이 없어서
어쨌건 남자측에서 선제적인 의사결정을 하지 못한거
그 이전에 여자가 남자의 의사결정을 끌어내는 신호를 주지 않은거.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118/006/6118.jpg)
![포인트:733892point, 레벨:30/30 [레벨:3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30.gif)
![id : 김동렬 id: 김동렬](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image_mark/118/006/6118.gif)
돈이 있는데도 그렇다면?
돈이 있어서입니다. 내가 갑이라고 과시하는 것이겠죠.
물론 이 법칙은 30대 이상에게만 해당될 거.
20대는 너나 나나 다 돈이 없으니 논외.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004/289/289004.jpg)
![포인트:31529point (71%), 레벨:18/30 [레벨:18]](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8.gif)
아픈 기억이 새록새록 떠오르기 시작합니다(으흑...그랬구나...)
역시 적절한 밀당의 균형감각으로 51대 49를 해야하는데,
선수는 못되나 봅니다. (담부터는 잘해야지.)
고3 교실 급훈으로 잘 활용되고 있습니다. 아니면 정신교육이란 미명 아래 설교 한시간.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