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필 이미지](/xe/./modules/board/skins/retweetCrom_sisabang/avatar.gif)
![포인트:19734point (80%), 레벨:14/30 [레벨:14]](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4.gif)
![프로필 이미지](/xe/./modules/board/skins/retweetCrom_sisabang/avatar.gif)
![포인트:27657point (52%), 레벨:17/30 [레벨:17]](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7.gif)
구조적인 이유...가 궁금하네요. 육아의 고비용구조에 민감해서. 막연하게는, 여성의 육아노동자체가 값어치가 너무 하향되어있는게 아닌가 하는데요. 꼭 돈으로 지불하는것이 아니더라도.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004/289/289004.jpg)
![포인트:31529point (71%), 레벨:18/30 [레벨:18]](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8.gif)
애들이 외부와 연계된 끈이 없으니깐 그렇죠.
학교에서 쌤이 이상하면 엄마한테 쪼로로 달려가서 썰을 풀면 엄마가 학교로 찾아가서 교장 멱살을 잡아야 하는데 그게 없음.
사회복지사가 애들을 케어할 수 있도록 공먼을 대량으로 뽑으면 해결. 상반되는 권력이 대립하되 한쪽으로 번갈아 약간 기울어진 이중 시스템을 만드는게 중요합니다.
물론 둘 사이를 함께 통제하는 상부까지 만들면 완벽.
학교에서 쌤이 이상하면 엄마한테 쪼로로 달려가서 썰을 풀면 엄마가 학교로 찾아가서 교장 멱살을 잡아야 하는데 그게 없음.
사회복지사가 애들을 케어할 수 있도록 공먼을 대량으로 뽑으면 해결. 상반되는 권력이 대립하되 한쪽으로 번갈아 약간 기울어진 이중 시스템을 만드는게 중요합니다.
물론 둘 사이를 함께 통제하는 상부까지 만들면 완벽.
![프로필 이미지](/xe/./modules/board/skins/retweetCrom_sisabang/avatar.gif)
![포인트:27657point (52%), 레벨:17/30 [레벨:17]](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7.gif)
육아가 사회적 고비용구조라는걸 알아야. 대량 복지공무원도 가능. 특히 여기서 복지는 경제 차원.
여성의 취업율이 올라서, 사회가 고밀도화됨.
![프로필 이미지](/xe/./modules/board/skins/retweetCrom_sisabang/avatar.gif)
![포인트:19734point (80%), 레벨:14/30 [레벨:14]](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4.gif)
유상급식 - 미스터 오
대통에 나오긴 나 올 모양이다---
대통 후보--얼매나 없으면 네를 다 찾냐마는????
어쨋든
온 나라 집구석이 여야로 갈라지는 구낭!!
하긴 , 민주주의 인데---
할매/할배 對 놀고 있는 젊은 층[?]
할매/할배요
손자들 앞길 좀 봐주소!!
박정희에게 배워 먹은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