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래의 플러스적 세계관 - 세상은 O꼴의 원자로 되어 있다. 최초의 O에서 ◎●★☆◇◆□△■로 증가되면서 세상이 만들어졌다. ◎●★☆◇◆□△■는 많을수록 좋다. 점점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개념은 엔트로피의 법칙과 맞지 않는다. 기본적으로 아닌건 아닌거다. 이런거 확실히 짚고 넘어가야 한다. 종래의 플러스적 세계관은 위험하다. 뭔가 점점 늘어나서 통제불능에 빠지기 때문이다. 주역의 음양사상과 같다. 처음 음양에서 4괘 8괘, 16괘, 64괘로 늘어나서 무한대가 되어버린다. 통제불능이다.
마이너스적 세계관은 다시 원점으로 회귀한다. 마이너스 곱하기 마이너스는 플러스가 되기 때문이다. 마이너스는 줄이는 것이며 계속 줄이다보면 0에 도달한다. 더 이상 줄일 수 없는 어떤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정답이 딱 나와준다. 황금률처럼 더 이상 뺄 수 없는 상태가 있으며 그 상태는 주로 비례로 나타난다.
마이너스 세계관은 그 정확한 비례에 도달했을 때 작동을 정지한다. 정답 찍어주는 것이다. 무한이라는 허무의 바다에 빠지지 않는다. 유한의 세계, 정답 나와주는 세계, 비례식의 세계. 네가 이렇게 하면 나는 이렇게 한다는 대칭성의 세계(비례가 대칭이다.), 입자 알갱이가 탁 튀어나와 주는 세계다. 마이너스는 서로 대칭을 이루고 교착되기 때문이다. 세상이 설명된다.
예컨대 밥을 먹을수록 위장의 빈 공간이 마이너스 되어 사라진다. 더 이상 밥을 먹을 수 없다. 위장의 빈공간과 밥은 대칭을 이루며 일정한 조건에서 서로 교착되는 것이다. 그것이 입자이며 그 입자가 물질을 이루고 그 물질이 세상을 이룬다.
구조론의 마이너스적 세계관 - 세상은 모듈로 되어 있다. 마이너스로 가려면 처음부터 완성된 무언가가 있어야 한다. 그것은 모듈이다. 모듈은 주사위에 비유할 수 있다. 그림의 이 큐브는 6면 54포지션을 가지지만 구조론은 5단위 3125포지션을 가진다. 처음부터 정답이 찍어져 있으며 이 포지션에 도달할 때 까지 마이너스를 하는 것이다.
더 이상 더하고 뺄 수 없는 극한이 제시된다. 거기서 교착되어 대칭이 완성되면 에너지가 전달되어 세상이 작동하는 것이다.
구조론은 점점 플러스 되는 것이 아니라 한 순간에 복제되며 복제는 무한히 전개된다. 그 무한 중에서 확률에 의해 비례가 탄생하고 그 비례는 대칭에 의해 1로 환원된다. 무한의 바다에서 다시 1을 건져내는 것이다. 포지션의 조합에 따라 다양한 경우의 수가 나와주지만 문제는 너무 일찍 조합이 완성되어 버려도 곤란하다는 것이다.
이 큐브의 54포지션 중에 몇 개의 포지션은 미리 막아놔야 한다. 전부 링크되어 버리면 더 이상 포지션이 나와주지 않기 때문이다. 항상 예비 포지션이 있어야 하며 일부는 뒤로 빼놔야 한다. 그러므로 방해자가 필요한 것이다. 방해자가 외부링크를 막아 예비포지션을 보존한다.
구조론의 모듈은 확률에 의해 작동한다. 그런데 확률을 높이면 방해자가 등장할 확률도 같이 높아진다. 진화의 속도를 빠르게 하려고 하면 진화방해자의 등장도 빨라져서 전혀 진화가 안 된다. 그러므로 방법은 일부 포지션을 미리 막아두는 수 밖에 없다. 그것은 서열이다.
◎다음엔 ■만 올 수 있고 다른건 올 수 없다는 식으로 서열이 정해져 있어서 외부링크의 무한연결이 제한된다. 이러한 서열의 원리에 의해 무한링크는 제한되고, 방해자가 등장하며 방해자가 진화의 속도를 늦추게 되고, 적절한 시점에 방해자가 제거되어야 진화가 가능하다. 말하자면 시계의 태엽이 한 순간에 풀리지 않도록 속도조절을 하는 것이다.
방해자가 필요하며 일정한 시점에 그 방해자의 활동을 다시 방해해야 하는 것이다. 마이너스에 다시 마이너스를 곱해서 제거하는 것이다.
만약 당신이 서울에서 부산까지 가는 도중에 우연히 철수를, 혹은 영희를 만나기를 기대하고 있다면 서두르지 말아야 한다. 천천히 가야 확률이 높다. 즉 당신의 급박한 진행을 방해하는 방해자가 필요한 것이다. 만약 스티브 잡스가 빠르게 갔다면 의대나 법대를 갔을 것인데 천천히 가느라고 인도 가서 뻘짓하다가 어쩔 수 없이 돈을 벌게 된 것이다.
돈벌이는 리스크가 큰 사업이므로 현명한 사람이 선택하지 않는다. 즉 현명함은 인생에 그다지 도움이 안 되는 것이다.
마이너스의 세계관을 가져야 한다. 마이너스는 속도조절이며 시간조절이다. 마이너스는 단기적으로 확률을 낮추고 장기적으로 확률을 높인다. 예컨대 당신의 집에 물건을 잔뜩 사들이면 빈공간이 없어지고 손님이 왔을 때 당황하게 된다. 비워놓아야 누군가 올 수 있다. 당신이 원하는 사람을 만나려면 당신이 원하지 않는 사람을 만나지 말아야 한다.
마이너스를 열심히 해야 성공할 수 있다. 열심히 공부하고 열심히 노력하고 열심히 일하면 확률이 떨어진다. 그것은 당신에게서 예비포지션을 빼앗는 결과로 되기 때문이다.
* 종래의 플러스적 세계관 - 열심히 해야 성공할 확률이 높아진다.
* 구조론 마이너스적 세계관 - 열심히 하면 오버히트 되어 당신의 잠재력 중 99퍼센트는 사장된다.
당신의 잠재력은 찬스가 왔을 때 사용해야 하고 찬스가 왔을때 까지는 묵혀두어야 한다. 찬스는 외부에서 확률적으로 오고 그것이 올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내가 최선을 다하여 공격하면 상대방은 최선을 다해서 수비하므로 노력이 수포로 돌아간다. 내가 슬슬 공격하면 상대방도 헛점을 보일 것이고 이때 찬스를 잡는다.
두 손에 물건을 쥐지 말아야 한다. 한 손은 비워두어야 찬스가 눈앞을 빠르게 지나갈 때 그것을 움켜쥘 수 있다.
구조론은 모듈이론이고 모듈은 처음부터 일정한 밑천을 가지고 시작한다. 0에서 시작하지 않는다. 처음부터 5단위 3125포지션이 주어져 있다. 이 포지션들을 되도록 아껴야 한다. 뭔가 플러스 하는 것은 이 포지션들을 소모하는 것이다. 물론 아끼다가 똥 되는 수도 있으므로 찬스가 왔을 때는 포지션을 소모하여 그 찬스를 잡아채야 한다. 마이너스로 가다가 플러스로 전환하는 것이다. 그러나 전체적으로는 마이너스 포지션에 가서 서 있어야 한다. 즉 자신을 예비전력으로 두어야 하는 것이다. 최후에 투입되는 자, 히든 카드가 되어야 한다.
**결정적으로 마이너스 안에는 플러스가 있지만 플러스 안에는 마이너스가 없다. 그러므로 마이너스가 플러스보다 크다. 더 넓은 영역을 커버한다. 플러스는 포지션 추가, 마이너스는 포지션 변경이다. 마이너스는 플러스의 반대가 아니다. 차원이 다르다. 플러스의 반대는 마이너스플러스다.
- 플러스 : 진행.
- 마이너스 : 방향전환.
- 마이너스 플러스 : 방향전환후 진행.
기업은 마이너스 세계관을 '군살 빼기'로 이해를 하게 될 것 같습니다.
항상 조직에 신선감을 주기 위하여 일정(10?)%정도는 계속 '자르고 고용하고'를 하는가 본데...
이와중에 사오정, 오륙도 양산될 것이고요...
바람직한 것은 '비정규직이 정규직보다 못할 것 없다, 또는 더 낫다'는 정도로 만들수 는 없는 것일까
하는 것인데... 기업들이 이런 역설이 가능토록 생각을 바꿀수는 없을까요? 덴마크 같은 나라는 정말
그런가 보던데... 이것을 이루기 위해서 "마이너스 세계관"을 제대로 이해하면 되지 않을까 합니다.
내것을 다 비워내면 누군가는 가만있어도 채워줄 것이라는...바로 신 이신가?^^
기업이 덩치키우기에 혈안이 되어 있기 때문에..
덩치 키우기가 곧 신용과 돈으로 연결되는 현상은 사람들이 큰 것에 의존하고 싶어하는 심리들이 많기에 그렇기도 하다고 생각됩니다. 어떤 크다는 것이 곧 안정감과 동시에 굴복하게 하는 보여지는 위력도 있지만,
무엇보다 많은 것이 모여 있다라는 것에서 서로가 서로를 보증해주게 되는 이차적인 신뢰를 만들어 낸다는 것에 있는 것이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기업이라면 저 회사는 계속 성장하지 망하지 않는다.라는 불문률을 인식시키는 효과도 갖는다고 생각되구요. 즉 맹신을 만들어 내고, 그 맹신이 지켜지기 위해서 계속 성장해야하거나 커져야 한다는 딜레마가 있다라고 생각된다는 것이지요.
비정규직 문제라면..오히려 기업이 쪼개질때 확실하게 쪼개진다면 한 조직이 유지되기 위해서는 필요한 것들은 다 있어야 함으로 오히려 채용은 더 늘어날 것이라고 생각은 되는데... 기업이 겉으로만 쪼개지고 속으로 쪽개지지 않으면 일을 한 사람이 여러가지를 맡아서 할 수 있기 때문에 오히려 채용은 늘지 않는다고 생각도 되고... 그러므로 회사가 일만하는 기계들을 만들어 내는 사회에 일조하게 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해보게 되네요.^^;
기업이 세상을 보고 세상속에서 세상과 사람들과 발을 맞추고 눈을 맞추고 함께 가려는 태도가 마음에 듭니다.
사람이 행복해져야 한다는, 인간이 행복해지는 미래를 구상하는 손정의...
어쩌면 우리가 바라는 기업인들의 태도와 철학이 아닐까? 생각되네요.
마음먹기 나름인데..... 쩝.... ^^;
큰 충격이나 어찌할 수 없는 재앙들이 인간을 변화(진보) 시키는 부분에서 그 변화해야 한다는 것을 빠르게 감지하는 사람과 감지하는 못하는 사람의 차이...
교실에 한 명이 더 올 경우.
-빈 책걸상을 가져와야 한다.
-자리배치를 정해야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교실을 늘려야 한다.
등의 잡다한 구조론적 문제 발생
교실에서 한 명이 나갈 경우.
- 나가면 된다.
자연은 현실성을 따라가므로 현실적으로 가능한 것을 선택하오.
구조의 문제는 제어의 문제고 제어가 가능한 방향으로 작동하오.
마이너스를 하면 에너지가 남으므로 그 잉여에너지를 활용하여 마이너스 제어를 계속하는 것이오.
플러스를 하면 굉장히 곤란한 여러 구조적 문제와 에너지난에 직면하므로 불능이오.
애초에 플러스 되어 있어야 마이너스 할 수 있다는 문제는 외부에서 해결하오.
계 내부에서 자가발전으로는 죽어도 플러스 되지 않소.
플러스로 보인다면 밑돌 빼서 위에 고이는 눈가림식 속임수요.
플러스는 외부에서 들여오며 모듈이 대량복제되어 무한히 쏟아지오.
지구에서 작동하는 에너지의 대부분은 태양에서 무한히 공급된 것이오.
동식물 화석연료 다 외부에서 온 거고 지열도 중력에 의하므로 역시 외부에서 온 것.
원자력 정도가 내부에서 빼먹은 것.
한가지 생각해보았는데요
이게 정확히 맞는지는 모르겠으나....
사타구니에 털이나는 것은 마이너스적 관점으로 보았을때
사타구니에만 털이 안없어진것이 아닐까요??
예전에 생각해봤던것이 생각나서 이렇게 질문올려요
^^ 기업들이 일단은 마이너스세계관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되네요. 무한정 키워나가고 무한성장을 해야하는 딜레마에 빠져있는 기업들이 마이너스세계관을 갖는다면 많은 문제들이 풀릴수도 있을 것 같기도 한데...
우리나라 재벌기업들에게 마이너스세계관을 가져라.. 이러면 죽으라고 하는 것과 같은 것일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