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핑계 권력서열 변동사항 확인행사
엣날에는 명절증후군이라는게 없었습니다.
큰 며느리와 작은 며느리가 서로 시부모에게 점수 따려고
두 팔 걷어붙이고 경쟁하다보면
명절증후군은커녕 힘이 솟구치는 거지요.
남편이 설거지를 도와주지 않아서 힘들다는건 개소리입니다.
얼굴도 잘 모르는 사람이 권력서열을 확인하려 들기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는 것입니다.
말은 가족인데 무의식은 가족이 아닌 거에요.
익숙하지 않은 시부모 앞에서 주눅이 들어서 그런 것입니다.
주눅이 드는 이유는 역할이 불분명하기 때문입니다.
며느리는 아들 낳았다고 자랑, 아들은 그랜저 뽑았다고 자랑.
이건 쌍팔년도 이야기고 지금은 명절차례를 지낼 이유가 소멸입니다.
일본인들은 5년에 한 번 정도 얼굴을 본다는데.
유럽은 부모 장례식 때 한 번 고향을 간다는 말도 있고.
갈 이유가 없으면 안 가는게 맞다는 거지요.
가더라도 초대하는 쪽이 음식을 준비하는게 맞습니다.
손님이 요리하는 풍속은 지구촌 어디에도 없는 외계인의 관습입니다.
부엌살림은 다 임자가 있는 건데
인도라면 아들이든 며느리든 어머니 물건에 손대면 귀싸대기 맞습니다.
아들 - 설거지 도와드릴까요?
엄마 - 부엌은 내 공간이야. 썩 꺼져.
남의 물건에 손대면 귀퉁배기를 맞아야 합니다.
손님이 주인의 부엌에 들어가는건 굉장한 실례입니다.
옛날에는 16살에 시집을 갔으므로
며느리가 귀머거리 3년 봉사 3년 벙어리 3년을 해도 25살입니다.
스무 살 넘어가면 자식이 커서 시어머니가 며느리를 구박할 수 없습니다.
다 큰 아들이 '할매야 니 미쳤나' 하고 덤비게 됩니다.
그때는 아홉 살만 넘어가면 꼬마신랑 장가가던 시절이라
며느리가 스물다섯이면 손자가 상투 틀고 갓을 쓰고 에헴 하며 시어머니를 견제합니다.
자식을 낳으면 세력을 획득하므로 아무도 못 건드리는 거지요.
지금은 30살에 시집가는 판인데 옛날이면 손주 볼 나이.
병장이 이등병 노릇하려니까 당연히 힘든 겁니다.
무의식 깊은 곳에서 이건 아니야 이건 아니야 하고 외치는 것입니다.
나이 20을 넘으면 다 같은 성인인데
옛날에는 젊은이는 다섯 살까지 말 놓고
40살 넘어가면 열 살까지는 말 놓았습니다.
다 같은 성인들끼리 위아래를 따지는건 미친 거지요.
지금은 혁명의 시기이고
이것조금 저것조금 손 댔다가
개혁이 후퇴되는 일이 없어야한다.
개혁은 불가역적으로 해야 한다.
민주주의가 권력이 민주당이 못하면 국민의 힘으로 가고
국민의 힘으로 못하면 민주당으로 온다는 것은 듣기좋은 말이나
그 과정은 참으로 참담하다.
김대중노무현 10년과 이명박근혜 10년을 비교해보라.
다시 이명박근혜 시절로 돌아가고 싶은 국민이 있을까?
TK만 빼고 말이다.
그리고 정치인은 국민의 눈치를 봐야지
기득권의 눈치본다면
우리는 그 정치인이 그 기득권 손잡았다고 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