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인트:113469point, 레벨:30/30 [레벨:3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30.gif)
범죄가 드러날수록 뻔뻔해지는 것은 봤어도
범죄가 드러날수록 다시는 되를 짓지 말아야지하는 정치인을 본 적이 없다.
지금까지 없었는 데 앞으로도 있을 수 없다.
범죄가 드러날수록 다시는 되를 짓지 말아야지하는 정치인을 본 적이 없다.
지금까지 없었는 데 앞으로도 있을 수 없다.

![포인트:868point (9%), 레벨:3/30 [레벨:3]](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3.gif)
언더독효과라서 궁금한게, 영화나 소설작자들의 필수 룰이, 가난한이가 성공하는스토리 혹은 귀족이 몰락하는 스토리로가야 흥행한다는겁니다(아리스토텔레스가말했었씀)..현실은 양극화인데 이런 스토리를 추구하는건 뇌의 호르몬작용인지 이유가있씁니까?

![포인트:735197point, 레벨:30/30 [레벨:3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30.gif)

그냥 말하기 편한대로 말하는 거지요. 집단과의 결속을 요구하는 호르몬의 작용이기도 하고.
독자가 약자이기 때문에 약자를 선호하는 것은 당연. 무의식은 끊임없이 집단에 소속되라고 요구합니다.
약자가 패배하면 집단으로부터 밀려나고 그 결과는 집단붕괴=멸망
인간의 본능 중에 가장 강력한 본능은 무리를 보호하려는 본능입니다.
https://www.thenationalnews.com/gulf-news/oman/2021/09/21/well-of-hell-meet-the-omani-caver-who-explored-yemens-strange-sinkho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