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173 vote 0 2024.05.14 (16:28:35)

    시사리트윗의 질문에 대한 답입니다.


    인간이 어떤 목적과 동기와 야망에 의해 움직인다는 생각이야말로 가장 어리석은 생각이다. 위하여(for)가 아니라 의해서(by)가 중요하다..고 말해왔는데..


    이런 생각을 한 사람이 나 말고도 있었다. '바가바드 기타'에 나오는 '크리슈나의 노래'가 그러하다. 여기서 중요하게 제시되는게 '다르마'다. 인도인의 삶의 규칙 네 가지 중에서 으뜸이 다르마다. 부를 추구하는 '아르타', 쾌락을 추구하는 '까마', 해탈을 뜻하는 '목샤'가 있다.


    '달마'라고도 하고 법法이라고도 한다. 달마대사는 실존 인물이 아니고 다르마의 아바타라는 설이 있다. 다르마의 실천이 까르마 곧 업業이다. 다르마는 플라톤의 이데아와 비슷하다. 그것을 그것이게 하는 그것이다. 대승불교의 공空 사상도 다르마의 해석으로 봐야 한다.


    목적과 동기와 야망은 동물의 본능을 자신이 주관적으로 해석한 것이다. 그게 흥분한 거다. 다르마는 집단 속에서 주어진 역할이므로 주관이 배제된다. 흥분이 가라앉은 것이다. 예컨대 병사는 총을 쏴야 한다. 옳고 그름은 따지지 않는다. 왜? 위에서 명령이 내려왔으므로.


    사형집행인이 죄수가 유죄인지 무죄인지 관심을 가질 이유가 없다. 의사가 자신이 살인자를 살리고 있는건 아닌지 생각할 이유가 없다. 의사는 살인범 체포에 필요하다고 해도 의료상 획득한 비밀을 누설할 수 없어 경찰이 볼 수 있는 위치에 자료를 놔두고 화장실에 간다.

 

    의무가 축구 심판인데 동기가 애국이면 한국에 유리하게 판정한다. 헌재 재판관이 보수라면? 의무를 따르는가, 동기나 목적을 따르는가? 의무를 따르면 미국 대법관이 교과서에 창조론을 실을 수 없다고 판결하고 동기를 따라가면 창조론을 교과서에 실으라고 판결한다. 


    미국 대법관은 보수 판사였지만 진보적인 판결을 했다. 그것은 의무 때문이다. 의무는 의하여다. 법관이 무언가를 위하여 판결하면 곤란하다. 법률에 의하여 판결해야지 국가와 민족을 위하여 판결하면 나라가 망한다. 잘못되면 국회가 법을 고쳐야지 판결을 고치면 안 된다. 


    본에서 잘못된 것을 말에서 바로잡으면 안 된다. 그게 보상판정이다. 날아가는 비둘기에 맞아서 홈런이 2루타로 둔갑해도 어쩔 수 없다. 사실 홈런이 될 공이었다며 심판이 공을 구장 밖으로 던져버리면? 다르마는 기계장치의 부속품처럼 자신에게 주어진 일을 하는 것이다. 


    동기는 별도로 애국심, 민족주의, 이데올로기가 개입하여 왜곡하는 것이다. 물론 인도인들은 다르마를 잘못 해석해서 카스트를 강요하고 있다. 


   의하여.. 다르마(의무).. 집단과의 관계 속에서 이미 결정되어 있는 것.

   위하여.. 동기, 야망, 목적.. 동물적 본능에 의해 개인이 흥분한 것.  


    말이 본을 뒤집으면 안 된다. 본이 잘못되었다면 본을 고쳐서 해결해야 한다. 옛날에 삼성 직원들이 하청업체가 잘못 만들어서 납품한 부품을 칼로 깎아서 조립하는 것을 보고 이건희가 라인스톱을 지시했다고 했는데. 


[레벨:3]jaco

2024.05.14 (17:03:19)

평소에 헷갈렸던 부분이었는데, 이제 좀 정리가 된 것 같습니다. 우문현답. 감사합니다. ^^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3921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3534
6888 구조론 동영상 1 김동렬 2010-03-22 197098
6887 LK99 과학 사기단 image 김동렬 2023-08-07 71605
6886 진보와 보수 2 김동렬 2013-07-18 58714
6885 진화에서 진보로 3 김동렬 2013-12-03 58597
6884 '돈오'와 구조론 image 2 김동렬 2013-01-17 56550
6883 소통의 이유 image 4 김동렬 2012-01-19 55964
6882 신은 쿨한 스타일이다 image 13 김동렬 2013-08-15 55506
6881 관계를 창의하라 image 1 김동렬 2012-10-29 49168
6880 답 - 이태리가구와 북유럽가구 image 8 김동렬 2013-01-04 46040
6879 독자 제위께 - 사람이 다르다. image 17 김동렬 2012-03-28 45268
6878 청포도가 길쭉한 이유 image 3 김동렬 2012-02-21 42715
6877 인간은 무엇으로 사는가? image 3 김동렬 2012-11-27 42564
6876 구조론교과서를 펴내며 image 3 김동렬 2017-01-08 42431
6875 아줌마패션의 문제 image 12 김동렬 2009-06-10 42296
6874 포지션의 겹침 image 김동렬 2011-07-08 41749
6873 정의와 평등 image 김동렬 2013-08-22 41345
6872 비대칭의 제어 김동렬 2013-07-17 39390
6871 구조론의 이해 image 6 김동렬 2012-05-03 39369
6870 비판적 긍정주의 image 6 김동렬 2013-05-16 38482
6869 세상은 철학과 비철학의 투쟁이다. 7 김동렬 2014-03-18 37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