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319 vote 0 2022.11.25 (11:58:56)

    물질은 성질이 없다. 존재는 변화의 존재다. 변화는 관계의 변화다. 관계는 둘의 관계다. 수학은 관계를 추적한다. 


    생각은 상수를 단서로 그 변화인 미지수를 추적한다. 미지수는 스칼라, 벡터, 매트릭스, 텐서 순으로 변화의 복잡도가 높아진다. 이는 기하의 점, 선, 각, 체, 계와 대응된다. 대칭이 연결고리가 되고 비대칭이 추론방향이 된다. 질 입자 힘 운동 량과 같다. 단계적으로 범위를 좁혀간다.


    질 - 계 - 텐서
    입자 - 체 - 매트릭스
    힘 - 각 - 백터
    운동 - 선 - 스칼라
    량 - 점 - 상수


    선은 두 점의 대칭이다. 곧 나란함이다. 수평선처럼 간격을 두고 떨어져서 나란한 것이 아니라 한 점에 모이는 것이다. 각은 두 선이 한 점에 모인다. 체는 두 각이 한 점에 모인다. 계는 두 체가 한 점에 모인다. 에너지적으로 작용힘과 반작용힘이 코어에서 만난다.


    수학은 집합이라고 한다. 집합이 아니라 두 점의 만남이다. 방향이 문제다. 컴퓨터를 뻗게 만드는 무한대를 피해야 한다. 집합이라고 하면 무한대가 등장한다. 문제가 생기면 모두의 잘못이기도 하고 한 사람의 잘못이기도 하다. 


    모두의 잘못이라는 말은 그게 틀린 말은 아닌데 당장 문제를 해결할 의지가 없는 것이다. 운전기사 한 명을 지목해야 문제가 해결된다. 지식인들은 자신의 권위를 돋보이게 하려고 모두의 책임이라고 말하기 좋아한다. 모두를 제압하려는 것이다.  


    두 선의 만남이 힘, 두 각의 만남이 입자, 두 체의 만남이 질이다. 만남은 공유다.


    계는 두 체가 한 점을 공유한다. 에너지적으로 그러하다. 에너지가 걸려 있는 모든 존재는 계다. 굴러다니는 돌도 지구의 중력이 걸려 있다. 돌의 형태는 중력에 버티는 형태다. 두 에너지의 방향이 겹쳐 있는 것이다.


    체는 두 각이 한 점을 공유한다. 손가락으로 플레밍의 왼손법칙과 오른손법칙을 만들면 입체의 모서리가 만들어진다. 두 각이 만나서 하나의 체를 이룬다. 구조론의 체는 꼭짓점을 의미한다. 


    각은 두 선이 한 점을 공유한다. 

    선은 두 점이 서로를 공유한다.

    점은 자기 자신을 관측자와 공유한다.


    유도탄과 같다. 화살에 눈이 달려 과녁을 찾아간다. 단계적으로 공유를 하나씩 벗겨서 범위를 좁히는 방향으로 목표에 도달한다. 


[레벨:2]김괴테

2022.11.25 (15:54:44)

만남은 공유다.
만남의 시작은 고착된 대칭이고, 공유는 만남을 통해 호응되는 비대칭으로 이해해도 될까요.
만남은 공유다 라는 의미가 자주 비유하신 "ㅜ" 같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22.11.25 (18:47:35)

같은 것이 변화의 시작은 대칭 2고 끝은 비대칭 1입니다.

비대칭 1은 외부의 또다른 비대칭 1과 만나 역시 또다른 대칭을 이룹니다.

나무의 트리구조처럼 Y자로 계속 이어집니다.

의사결정은 2가 1이 되는 것입니다.

그냥 당구공이 쿠션을 여러번 부딪히는 것은 의사결정이 아닙니다. 

야구공과 배트 2가 궤적 1을 만드는 것이 의사결정입니다.

하긴 당구공도 쿠션의 각에 따라서 궤적이 변하므로

공+쿠션=궤적이라고 할 수 있지요.

모든 결정은 2->1이라는 거지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2611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1830
6146 실존이란 무엇인가? 2 김동렬 2009-03-22 15825
6145 정동영바람이 분다 김동렬 2004-01-13 15825
6144 노무현의 리더십 image 김동렬 2005-01-12 15822
6143 아돌프 아이히만과 한나 아렌트 image 1 김동렬 2017-09-25 15821
6142 김근태의 아햏햏정치 image 김동렬 2003-07-25 15813
6141 코리안시리즈의 명암 김동렬 2002-11-03 15813
6140 합리적 관점과 미학적 관점 8 김동렬 2010-04-28 15812
6139 김근태 배신의 계절 김동렬 2002-10-15 15810
6138 LG 이겼음 스피릿은 노무현에 만원 낼것 김동렬 2002-11-01 15807
6137 탈DJ는 하되 DJ 전면 공격은 절대 안된다. skynomad 2002-10-31 15807
6136 왜 철학하는가? 김동렬 2007-12-21 15805
6135 Re..아름다움은 본성...! 김동렬 2002-10-07 15805
6134 중반 전투는 난타전이다. 김동렬 2003-10-27 15804
6133 조선일보만 죽인다면 악마에게 영혼을 파는 심정으로 아다리 2002-09-27 15804
6132 프랑스 깰 비책 있다. 김동렬 2006-06-14 15803
6131 위험인물 강준만 김동렬 2005-06-24 15802
6130 결국 이렇게 되는구나. 탱글이 2002-11-19 15801
6129 쿨하다는 것 2 김동렬 2008-03-02 15798
6128 인간의 한계 3 김동렬 2010-06-01 15793
6127 노무현이 정말 계산해서 낸 결론일까? 과자 2002-11-03 157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