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476 vote 0 2023.04.11 (21:39:50)

    세상은 구조다. 구조가 모두 결정한다. 어떤 것은 어떤 성질이 있다. 금과 은과 구리를 가르는 것은 성질이다. 성질을 결정하는 것은? 구조다. 구조는 간격이다. 간격은 둘 사이에 있다. 혼자서는 간격을 만들 수 없다.


    합체했다면 부부다. 키스했다면 커플이다. 악수했다면 동료다. 인사했다면 이웃이다. 가장 깊은 관계는 유전자를 공유하는 부모와 자식의 관계다. 그 외에는 관계가 없다. 관계의 종류는 다섯이다. 다섯 가지 관계만으로 우주 안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을 설명할 수 있다면 멋진 것이다.


    관계는 붙었거나 떨어졌거나 둘 중에 하나다. 연결 아니면 단절이다. 떨어진 채로 닿아있는 것은? 고리처럼 걸려 있는 것은? 서로 공유하는 것은? 에너지로 보면 모두 구분이 된다.


    완전히 포함된 경우.. 가족의 일원과 가족의 관계
    중심을 공유한 경우.. 부모를 공유하는 형제관계
    걸려 있는 경우.. 이해관계가 일치하는 협력관계
    닿아 있는 경우.. 특정한 경우만 협력하는 동료관계
    떨어진 경우.. 외부의 작용에 의해서 연결되는 관계


    수학은 어렵다. 그러나 꼬아놔서 어려운 것이다. 어렵게 만들어서 어려울 뿐 본질은 쉽다. 곱셈은 덧셈을 빠르게 하는 치트키다. 100개를 세어야 한다면 10명이 각자 10개씩 센 다음 더하면 된다. 그것이 곱셈이다. 나눗셈은 분수를 곱한 것이다. 뺄셈은 음수를 더한 것이다. 결국 모든 셈은 덧셈이다. 쉽잖아. 모든 수를 덧셈으로 환원하여 쉽게 만들면 좋잖아. 그것이 구조다.


    수학은 결과측을 보고 원인측을 보면 구조론이다. 이쪽에 더하려면 저쪽에 빼야 한다. 원인의 마이너스가 결과의 플러스다. 원인을 보면 마이너스고 마이너스는 0에 도달하고 0보다 작은 수는 없으므로 거기서 끝난다. 그러므로 간단하다.


    실타래가 아무리 복잡하게 꼬여도 실마리를 찾으면 간단하다. 복잡한 것은 단순한 것으로 환원시키면 된다. 구조다. 하나의 원인이 여러 결과로 나타난다. 하나의 빛이 프리즘을 통과하면 100만 가지 색깔로 나누어진다. 중간에 간섭되어 복잡할 뿐 최초 출발점은 단순하다. 최초 출발점을 보는 것이 구조론이다.


    인간이 궁지에 몰리면 선택은 단순하다. 정상에서는 하산하는 선택만 가능하다. 의사결정의 지점에는 단순하다. 단순화시켜서 단순한 결론을 끌어내는 것이 구조론이다.


    그것은 할 수 있는 것을 한다는 것이다. 미드필더는 전진패스든 백패스든 가능하다. 그러나 골대 앞에서는 슛을 때리는 수밖에 없다. 단순해지는 것이다. 극단에 몰아놓으면 구조가 작동한다.


    인간은 여러 가지 선택을 할 수 있다. 그러나 보통은 권력이 없다. 내가 주도권을 쥐는 선택을 하면 선택지는 감소한다. 극단에 몰리는 것이다. 이때는 내시균형을 따른다. 자극과 반응의 균형점을 따라가는 선택을 한다. 그것은 그저 할 수 있는 것을 하는 것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7900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7865
6335 문명의 탄생 김동렬 2022-10-20 2467
6334 생각을 하는 방법 2 김동렬 2022-05-26 2469
6333 이성이냐 본능이냐. 김동렬 2022-12-25 2469
6332 스티브 잡스와 일론 머스크의 기행 김동렬 2022-12-18 2471
6331 모나리자의 진실 image 김동렬 2023-05-07 2474
6330 영화 타이타닉에 대해서 김동렬 2023-03-08 2475
» 초보자용 구조론 김동렬 2023-04-11 2476
6328 사랑과 운명 1 김동렬 2023-03-18 2481
6327 진리 김동렬 2022-10-12 2482
6326 문어와 인간 김동렬 2022-12-05 2482
6325 궁예와 견훤의 진실 김동렬 2023-07-14 2483
6324 전쟁은 장난이 아니다 김동렬 2022-04-11 2486
6323 환원주의와 엔트로피 2 김동렬 2020-08-18 2488
6322 평등권력과 차별권력 김동렬 2020-10-14 2488
6321 구조론의 5단계 김동렬 2021-12-07 2488
6320 우러전쟁의 교훈 1 김동렬 2022-04-09 2489
6319 게임이론의 의미 김동렬 2023-04-26 2489
6318 언어로 사람을 결박하는 지식인 김동렬 2022-04-04 2490
6317 구조론 3분 요약 김동렬 2023-04-29 2490
6316 확률과 게임 김동렬 2021-12-11 24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