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론아포리즘
깨달음/종교/삶
2013.03.23 14:07

자기계발이 아니라 철학이다

댓글 2 조회 수 4656 추천 수 0
원문 링크 http://gujoron.com/xe/334951

철학은 인간에게 살아가는 힘을 줍니다. 노력해야 한다는 식의 자기계발서는 힘을 주지 않습니다. 노력해야 한다는 말은 힘이 있어야 한다는 말과 같습니다. 힘을 달라니까요? 왜 힘을 주지 않고 힘이 있어야 한다는 말만 반복하지요? 진정한 힘은 팀플레이에서 나옵니다. 나의 성공이 아니라 세상의 성공을 욕망할 때 힘은 얻어집니다.


Comment '2'
  • profile
    [레벨:12]wisemo 2013.03.23 14:29
    '공동체의 성공안에서만이 내 성공이 의미가 있다'는 얘기는 정말 구조론에 일관되는 "질" 같기도 합니다. 이 이치는 도대체 보이질 않으나, 이것을 깨달을때 세상은 이미 달라져 있겠지요...
  • ?
    [레벨:30]솔숲길 2013.03.24 12:44
    인생은 ( ? → ! )다. 철학이 물음표면 미학은 느낌표다.

  1. 20
    Mar 2013
    18:50

    사랑과 완성

    인간은 사랑할 때 완성된다. 사랑하고 난 다음에 완성되는 것이 아니라 사랑하는 과정 그 자체로서 완성된다. 그 완성은 오직 추억으로만 증명된다. 만약 당신이 그 사실을 잊었다면 미완성이다. 만약 당신이 여전히 추억하고 있다면 완성된 것이다. 왜냐하면 추억은 또다른 추억을 잉태하기 때문이다. 하나의 강렬한 추억이 그 추억을 닮아있는 또다른 추억들을 무수히 낳는다. 그렇게 낳아내는 것이 완성이다. 모든 완성된 것은 낳음이 있다. 낳지 않으면, 생산하지 못하면 미완성이다. 그대 낳기에 성공하고 있는가? 창조적인 그 무언가를. 가슴 깊숙한 곳에 자리한 추억과 닮아 있는 것을.
    Category깨달음/종교/삶 Byahmoo Reply1
    Read More
  2. 22
    Mar 2013
    21:27

    학교에서 알려주지 않는 지식

    다른 사람은 누구도 개입할 수 없는, 오직 나만이 바르게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부분의 크기가 그 사람의 인생의 규모를 결정한다. 그것을 계속 확장시켜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그것이 인생의 본질적인 게임이다.
    Category깨달음/종교/삶 By스마일 Reply2
    Read More
  3. 22
    Mar 2013
    10:36

    진정한 믿음

    가장 완전한 것은 쌍방향 소통을 통해 점점 성장하는 것이다.
    Category깨달음/종교/삶 By큰바위 Reply0
    Read More
  4. 22
    Mar 2013
    09:59

    노랑제비꽃 한 송이를 피우기 위해

    자네가 무언가를 간절히 원할 때 온 우주는 자네의 소망이 실현되도록 도와준다네." 파울로 코엘료의 ‘연금술사’에 나오는 대사 한 토막이다. “노랑제비꽃 하나가 피기 위해 숲이 통째로 필요하다. 우주가 통째로 필요하다. 지구는 통째로 노랑제비꽃 화분이다.” 반칠환 시인의 ‘노랑제비꽃’이다. “원각이 보조하니 적과 멸이 둘이 아니라, 보이는 만물은 관음이요, 들리는 소리는 묘음이라, 보고 듣는 이 밖에 진리가 따로 없으니 시회대중은 알겠는가? 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로다.” 유명한 성철스님의 법어다. “조사가 서쪽에서 온 뜻은 무엇이오?(祖師西來意)” “뜰 앞의 잣나무로다(庭前栢樹子) 당나라 때 조주스님의 유명한 공안이다. 이들은 모두 같은 것을 이야기하고 있다. 그것은 무엇인가? ‘완전의 경지’다. ‘우주와의 합일의 경지’로 표현할 수도 있겠다! 누구든 한번 쯤은 그런 경험이 있을 것이다. 나와 세상이 온통 하나가 된 느낌 말이다.
    Category깨달음/종교/삶 By스마일 Reply0
    Read More
  5. 21
    Mar 2013
    12:33

    수준

    연예인들은 겸손해야 한다고 말하는 사람과 연예인은 튀어야 제맛이라고 말하는 사람은 세상을 바라보는 각도가 다르다. 문제해결지향과 문제생산지향은 애초에 다른 방향을 보고있는 것이다.
    Category깨달음/종교/삶 By솔숲길 Reply0
    Read More
  6. 21
    Mar 2013
    11:20

    인생에서 중요한 것

    인생에서 중요한 것은 첫째 자기규정, 둘째 이에 따른 타자규정, 셋째 그 둘의 사이에 대한 규정, 곧 관계규정이다. 그것은 삶이라는 무대에서 자기 포지션을 정하는 일이다.
    Category깨달음/종교/삶 By솔숲길 Reply1
    Read More
  7. 20
    Mar 2013
    19:11

    신과 친하기

    ‘신을 믿는다’고 말하는 사람이 있다. 못마땅하다. 왜 ‘믿는다’는 표현을 쓰지? 믿음과 불신은 동전의 양면이다. 그것이 되려 신 앞에서 불경스런 표현이 될 수 있다. ‘믿는다’는 것은 ‘가치판단과 의사결정에 있어서의 권한을 위임한다’는 말이다. ‘너 나를 믿지?’ 하는 말은 내게 맡기고 더 알아보려고 하지 말라는 거다. ‘내가 알아서 할테니까 너는 몰라도 된다’는 말이다. 그러므로 신을 믿는 사람은 신에 대해서 더 알아보려고 하지 않는다. 신의 참모습을 알아보려고 하는 행동은 불신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들은 신을 모른다. 그들은 신과 친하지 않다. '너는 빠져도 돼!' 이게 인간소외다.
    Category깨달음/종교/삶 By길옆 Reply0
    Read More
  8. 20
    Mar 2013
    18:44

    존재란 무엇인가?

    당신이 간절히 원하는 답변을 해 줄 때 그 답변은 진정 당신의 영혼이 원하는 답변이 아니다.
    Category깨달음/종교/삶 By스마일 Reply0
    Read More
  9. 20
    Mar 2013
    18:28

    인생의 화살

    그러므로 나 한 사람, 한 개인 차원에서는 근원의 질문에 대한 답이 나오지 않는다. 왜 사는지, 왜 오늘 하루를 사서 고생하는지 답할 수 없다.
    Category깨달음/종교/삶 By오리 Reply1
    Read More
Board Pagination ‹ Prev 1 ... 3 4 5 6 7 8 Next ›
/ 8
Designed by hikaru10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스케치북5

SketchBook5,스케치북5

SketchBook5,스케치북5

SketchBook5,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