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545 vote 0 2016.06.16 (11:07:28)

    

    문제는 대칭이고 답은 호응이다. 그러나 상대방의 말에 호응하지 말고 자기 언어 안에서 호응시켜야 한다. 상대방의 말에 호응한다면 책임을 떠넘기고 의사결정을 회피하는 것이다. 이유를 댄다 해도 자기 자신의 비전에서 이유를 대야지 상대방이 어떻게 했으니까 내가 어떻게 응수한다는 식은 온당치 않다. 내가 천하통일의 비전을 세웠으므로 이렇게 한다고 말해야 한다. 무엇보다 자기 언어가 완전하지 않으면 안 된다. [생각의 정석 117회]


    대칭이 아니면 호응이다. 대칭은 받아치는 것이고 호응은 다음 단계로 연결하는 것이다. ‘산이 높다’고 하면 ‘물은 깊은데?’ 하고 반대편에서 받아치는 것이 대칭이다. ‘산이 높다’고 하면 ‘골도 깊다’고 같은 편에서 다음 단계로 진도 나가는 것이 호응이다. 기승전결이다. 기를 받아서 승으로 전으로 결로 이어가는 것이 호응이다. 호응이 정답이다. 그러나 그 호응은 자기 안에서 조달되어야 한다.


    영화를 보고 감동한다면 감독의 제안에 호응하는 것이다. 그러나 낚인 것이다. 감독의 제안에 호응하면 안 된다. 정답은? 호응해주는 방법으로 감독을 낚는 것이다. 어린이가 노래를 잘 부르면 어른들이 박수를 쳐준다. 그것은 어린이의 제안에 어른이 호응하는 것이 아니라 어른이 어린이를 낚는 것이다. 감독이 관객을 낚듯이 관객 또한 의도를 가지고 자신이 설계한 판으로 끌어들여 감독을 낚아야 한다. 박찬욱 감독의 ‘아가씨’를 비판적으로 보는 것은 다른 많은 감독들을 낚는 방법이다.


[레벨:30]솔숲길

2016.06.16 (18:41:47)

[생각의 정석 117회] [인공지능 특집] 알파고 1학년 바둑부

http://gujoron.com/xe/686238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7655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updateimage 7 김동렬 2024-06-12 929
3579 주최측의 의도를 헤아려라 image 1 김동렬 2016-07-31 6412
3578 인생의 비애가 그곳에 있다 image 1 김동렬 2016-07-29 6872
3577 신간 ‘공자 대 노자’를 내면서 image 7 김동렬 2016-07-28 22104
3576 사랑 125, 빛과 그림자 image 1 김동렬 2016-07-26 5490
3575 왜 공자이고 또 노자인가? image 5 김동렬 2016-07-25 5787
3574 진리의 매개체는 무엇인가? 1 김동렬 2016-07-25 5419
3573 사랑 124, 진격은 쾌속이 정답 1 김동렬 2016-07-21 5362
3572 존재론과 인식론 1 김동렬 2016-07-20 6165
3571 구조론 총정리 4 김동렬 2016-07-19 6007
3570 모든 것의 근원 김동렬 2016-07-18 5555
3569 사랑 123, 화수분 인생 1 김동렬 2016-07-18 5152
3568 완전성으로 출발하라 image 1 김동렬 2016-07-17 5178
3567 언어의 족보를 찾아라 1 김동렬 2016-07-15 5686
3566 계속 가는 자가 승리자다 1 김동렬 2016-07-13 5725
3565 나머지의 나머지 6 김동렬 2016-07-13 5481
3564 나머지 이야기 2 김동렬 2016-07-12 5316
3563 진짜 이야기 마지막 6 김동렬 2016-07-11 5903
3562 진짜 이야기는 이런 거다 김동렬 2016-07-09 6057
3561 평론하는 비겁자는 되지 마라 김동렬 2016-07-09 5147
3560 진짜 이야기를 하자 4 김동렬 2016-07-08 5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