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942 vote 0 2015.12.30 (11:36:18)

 

   
    복제능력은 인간의 언어감각 속에 있다.


    무에서 유가 생겨날 수 없다.
    이미 존재하는 것을 복제하여 조합하고 연출한다.
    깨달음은 자연의 패턴을 복제한다.
    조합하고 연출하는 과정에서 두 번 뒤집어진다는 사실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복제능력은 인간의 언어감각 속에 있다.
    한국어를 말할 수 있는 모든 사람은 깨달음의 능력을 갖추고 있다.
    조수석에 앉아 있으면 같은 길을 백날 가도 길을 익히지 못한다.
    한 번 운전대를 잡느니만 못하다.
    눈으로 본 사실을 언어로 표현하려고 하므로 잘못되고 만다.
    눈으로 본 표식으로 길을 찾으려고 하므로 잘못되고 만다.
    길이 길을 찾고, 언어가 언어를 불러들이게 해야 한다.
    그대가 눈으로 본 사실이 그대 안의 언어를 자른다.
    그대가 눈으로 본 사실이 깨달음의 언어를 죽인다.
    그대가 눈으로 본 표식이 자연의 길을 자른다.
    그대의 눈에 띈 표식이 자연의 길을 죽인다.
    두 번 뒤집어 원래로 되돌리면 보인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4]펭귄

2015.12.31 (04:00:42)

동렬님은 언어가 언어를 불러들이는 방법으로 우주의 비밀을 밝혀낸 최초의 인간이라는 데에 각별함이 있지요. 그 일이 이루어지기까지 137억년이 걸린 거고..건강이 어떠신지 궁금합니다. 오래 오래 필력을 유지하셨으면하고 간절히 바래봅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5.12.31 (13:25:26)

감사요. 


지구에 70억이 바글거리고 사는데

그래도 답을 아는 넘이 한 명은 있어야 정상이겠죠. 


그러나 사람들이 원하는 답은 그게 아니라는게 함정.

"내가 원하는 떡은 그게 아냐. 내 입에 맞는 떡을 줘야지. 꿀 안발랐잖아. 난 꿀없으면 떡 안 먹어."


그 떡이 어떤 떡이든 주고 받으면 이미 실패입니다.

길이 스스로 길을 찾아가고 언어가 스스로 언어를 찾아갑니다.


대화하면 오히려 막힙니다.

언어에 의지하지 않고 사실에 의지하므로 막힙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0423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8410
2744 사랑의 정석 26, 창의는 훔친다. 2 김동렬 2016-01-05 4985
2743 깨달음 스무고개 image 1 김동렬 2015-12-16 4985
2742 노자 6, 자갈처럼 구르다 image 김동렬 2016-02-09 4984
2741 균일 불균일 다시 균일 김동렬 2015-11-25 4983
2740 믿음이란 무엇인가? 김동렬 2023-10-27 4979
2739 우주의 절대원리 2 김동렬 2020-01-24 4978
2738 공자 19, 어울리되 묶이지 않는다 image 김동렬 2016-02-23 4976
2737 사랑의 정석 47, 인생의 팀플레이 image 1 김동렬 2016-02-03 4976
2736 사랑의 정석 54, 죄는 영원하다 image 1 김동렬 2016-02-16 4975
2735 사랑의 정석 50, 여행자의 얼굴 image 1 김동렬 2016-02-06 4975
2734 사랑의 정석 24회, 철학이란? 1 김동렬 2016-01-01 4972
2733 사랑의 정석 57, 이상주의자가 되라. image 1 김동렬 2016-02-19 4970
2732 고쳐쓴 세상의 단위는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5-09-20 4970
2731 솔로의 비애 1 김동렬 2019-07-29 4969
2730 어린 여자에게 끌리는 진짜 이유 1 김동렬 2021-01-16 4965
2729 양자화와 구조론 image 1 김동렬 2015-12-24 4965
2728 완전하면 예측할 수 있다 image 김동렬 2016-03-28 4963
2727 에너지의 핵심 2 김동렬 2020-01-26 4960
2726 역사는 불연속이다 1 김동렬 2019-06-21 4959
2725 구조론은 5로 해결한다 image 2 김동렬 2015-10-16 49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