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빛의 아들님의 글에서 발췌합니다.

성경은  창조 - 언약 - 타락 - 새언약 - 재창조의 순서로 해석해야합니다


구조를 제시하셨으니 구조로 답할 수 있어서 좋습니다. 님이 제시한 구조는 엉터리 구조입니다. 상부구조는 망가졌는데 하부구조는 망가지지 않는다고 주장하거든요. 윗물이 드러워도 아랫물만 깨끗할 수 있다는 주장이지요. 창조-언약-타락 이라는 상부구조의 결과가 타락으로 귀결되었는데 타락-새언약-재창 라는 하부구조가 재창조로 성공한다고요?


 이게 다 뭐든 가능하다고 보는 창조라는 개념때문입니다.  인과론을 부정하는 야만인의 태도이죠 세상에 뜬끔없는 관계는 없습니다. 그러니 찾아보면 다 이유가 있고 범인이 있고 주관자가 있는 거여요. 세상의 주관자가 있으니 신도 있는 것이지. 신이 괜히 있는 것도 아닙니다.


상부구조의 결과가 타락으로 종결되면 하부구조는 멸망이라는 결과로 종결됩니다. 그래서 상부구조가 중요한 것이고 구조를 보는 자는 상부구조의 결과를 보고 하부구조의 결과를 예측할 수 있습니다.


존엄자리에 창조를 놓으면 원인을 알지말자. 원인을 감추자는 뜻이 되어버립니다. 창조는 남의 것이니까요. 거기서부터 잘못 되어버린 겁니다. 그러니 언약이라는 다음단계를 제시하게 되는데 언약은 위태위태합니다. 깨지기 직전이죠. 아니 시간을 장기적으로 두고 보면 깨지는 것이 필연이죠. 그럼 타락은 당연한 거고..결국 망하자는 주장입니다.


그럼 하부구조에서 재창조는 없느냐? 불가능하냐? 아닙니다. 가능하지요. 모든 성인들이 하려던 것이 그것입니다. 바로 상부구조로 올라서라는 것입니다. 언약(받기본능)을 부정하고 자유(거부훈련)로 대체하여 올라서고 자유를 넘어 창조(타자화)가 아닌 존엄(주체화)으로 올라서야 합니다. 그렇게 최초의 자리를 제대로 세팅하고 내려보내면 타락은 사랑으로 바뀌고 예수님이 원했던 세상으로 바뀌는 것이죠. 그럼 하부구조에서 복제의 완성이 일어납니다. 복제가 성공하는 한 멸망은 지연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락을 인정하고 새언약에 기대어 신의 사랑을 구걸하고 숭배하고 자신을 학대하는 자들은 결국은 신을 모독하고 신의 얼굴에 똥칠하고 세상을 빠르게 멸망으로 인도하는 자들입니다. 예수가 서기관과 바리새인들에게 독사의 자식들이라고 폭언을 한 이유가 이것입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1452 맞짱<北국방위 “천안함 발표는 날조… 南에 검열단 파견할 것”> Rou 2010-05-20 3493
1451 독서메모 "이기는 패러다임" 조지 소로스 지음 image 이기준 2012-06-19 3495
1450 홍준표가 장인을 26년간 개무시하는 패륜 행위를 할 수 있었던 이유. 16 노매드 2017-05-08 3496
1449 책 잘 받았습니다... 1 길리안 2009-02-13 3498
1448 구조론연구소 공사감독 인터뷰 12 냥모 2013-04-03 3499
1447 모든 것이 제 책임입니다. 무위 2009-05-23 3500
1446 말안장과 도마뱀이 합쳐 진다면? image 1 노매드 2011-07-16 3500
1445 안철수 주가 대폭락 image 9 김동렬 2012-04-09 3502
1444 P2P 환전/송금 서비스 TransferWise 7 오리 2015-01-27 3502
1443 먹방보다 재미있는 컴퓨터 폐기영상 image 락에이지 2017-02-08 3502
1442 굿 대박 2 곱슬이 2012-12-16 3503
1441 공중길 image 3 김동렬 2013-11-10 3504
1440 심기불편. 7 아제 2014-04-01 3504
1439 '파워 블로그 만들기' 책 리뷰 image 3 아란도 2011-07-17 3505
1438 A journey through asia 1 양을 쫓는 모험 2010-04-28 3507
1437 오늘 촛불 집회... 바라 2013-08-04 3507
1436 아기장수....... 1 폴라리스 2009-05-24 3508
1435 미국의 농업, 그리고 중부지방 백인들 이야기? [잡설--] 1 해안 2016-11-14 3508
1434 다섯가지 키워드 나열법에 대한 건의사항 5 통나무 2009-06-26 3509
1433 교통과 카스트에 대한 질문.. 3 상동 2013-08-06 3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