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요즘 제 주변 사람들만 보아도 

우울증에 힘들어하는 경우가 참 많습니다. 

정말 국가에서 심리 상담 치료비를 의료보험으로 지원해줘야만 하는 시대가 온 것 같습니다. 

겉으로 보이는 질병은 별 것 아닌 것입니다. 

마음의 병은 눈으로도 엑스레이로도 확인할 수가 없기에. 

심지어 시간대에 따라서 없어진 듯 없어지지 않는 다는 것이 무시무시하죠. 



서점에서, 인터넷에서, 도서관에서

이렇게 마음의 질병에 대해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공부하는 사람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습니다. 

라디오 방송에 나와서 유명해진 정신과 전문의 김현철 씨,

본인만의 철학사조를 연구하고 제창하지 않았는데도 철학박사로 인정받고 있는 강신주 씨 등등,

제가 유년시절에는 김정일이라는 미남 정신과 의사가 한창 급부상하기도 했었습니다. 

환자와 스캔들이 생겨서 추락해버렸지만. 


마음에 대해 깊이 공부한 자들이 공통적으로 이야기하는 치유법은 딱 하나 더군요. 

바라보기, 인정하고 관찰하기



저는 의아했습니다. 

능동적이지 않은 태도로 그렇게 바라보고 그저 인정하는 것이, 대체 어떻게 치유가 되고 극복이 된다는 것인지 

오랜 시간 동안 궁금했습니다. 



이제 알 것 같습니다. 

2015년 1월 17일 오후 5시 50분 기준으로 확실하게 알았습니다. 

점 선 면 그리고 그 다음. 

1차원 2차원 3차원 그리고 그 다음 차원. 


비라보고 인정하고 관찰하는 건 물리학적으로 2차원에서 3차원으로 넘어가는 것이더군요.  

구조론 동영상 강좌와 김동렬 선생님 책이 크게 도움 되었습니다. 


 



1. 

과거의 좋지 않은 경험과 그에 대한 기억 때문에 힘들어한다. 

2차원 상태인 것입니다. 

컴퓨터 슈팅 게임처럼 내 감정과 내가 1:1로 대면합니다. 

얻어 터집니다. 


1인칭.jpg




3차원으로 넘어간다는 것은, 

CCTV관점에서 나와 내 감정을 한꺼번에 바라보겠다는 것.


시시.jpg



시시.jpg 시시티비2.jpg


 

여기서 나1과 나2로 나뉩니다. 나2가 생겨납니다. 

1은 감정과 싸우고 있는 나.

2는 인생이라는 옥타곤 안에서 감정과 싸우고 있는 나1을 관찰하는 나.

처음에는 무게중심이 CCTV속 나1에게 실려 있겠지만,

바라보기 신공을 연습하고 또 연습하면 점점 나2의 비중이 더욱 묵직해지고 든든해집니다. 


1-2.jpg



그리고 결국 나1의 문제와 감정은 스르르륵 휘발되어 버립니다. 

CCTV는 CCTV일 뿐이니까요. 

2만 남습니다. 

CCTV를 끄고 현재 할 일에 시선을 돌립니다.  



임상에서의 구체적 방법으로서 미술 치료, 음악치료, 사이코 드라마 등등 

온갖 대체 대안 치유 요법들이 동원되는 듯합니다. 

그리고 그렇게 다종다양한 치료 방법들의 요지는 하나일 것입니다. 


바라보기. 

인정하기. 

관찰하기. 



이렇게 현대인은 과거의 문제를 졸업하고,

묵은 기억을 극복하고,

트라우마를 치유해나가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저는 지금 위의 3차원이 전부가 아닐 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바라보기 신공이 끝이 아닐거라는 이상한 예감에 휩싸여 있습니다. 


바라보거나, 관찰하거나, 인정하거나, 

이게 전부가 아닐 것입니다.

왜냐하면 구조론을 알기 전에는 3인칭 관찰자 시점으로 인생을 살면 만사 오케이인줄 알았거든요.

그런데 3인칭 관찰자 시점이 전부가 아니었죠

신과 대면하는 1인칭 주체적 관점이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지금 심리학과 마음 명상 서적, 영성계 신비주의자들이 설명하는 

3인칭 관점 신공이 전부가 아니라는 뜻인데.

저는 그 답이 구조론에 있을 것만 같습니다.  




구조론의 1인칭 주체적 관점으로써

개인이 자신의 감정, 트라우마를 대하는 방법의 마지막 단계,

그리고 구체적 예가 어떤 것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저는 지금 마치, 

살빼러 핫요가에 다니다가, 

지방 제거하는 게 본질이 아니라는 것을 깨달은 것처럼, 

근육을 만들면 살은 저절로 빠진다는 것을 뒤늦게 깨달은 여대생마냥, 

설레이는 중입니다. 



17f56f74dedd91c1dbe0b107853871fd.jpg



구조론 분들의 조언 부탁드려 볼게요 +.+


[레벨:6]홍가레

2015.01.19 (19:27:51)

사실 우울증은 매우 어려운병입니다.  통증이 있는게 아니어서 단지 마음의 병이라고만 생각하기쉽죠. 우울증에 걸리면 나태해진다거나 의욕이떨어지고 죽고싶고 오만 잡생각이 다들고 난 왜이러나. 여긴어디 나는누구? 이런게 기본적인 증상이죠.    병이생기면 좋아지려고 노력을 많이 하는데.   좋아진다는건
착각이라고 생각됩니다.  우울증은 좋아지려고 애써봐야 헛수고입니다.    우울하지 않았을 때를 생각해보면
우울하지 않은 보통사람들은  우울증이 없지만 그렇다고 항상 좋은것도 아닙니다. 그냥  0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죠.     우울증이 있는 사람은  기준점 0에서 -100으로 떨어졌다고 봅니다. 
-100이라고 해서 0으로 만들기 위해 애쓸필요는 없습니다.  인정하기란 내가 지금 -100인걸 인정하는게 도움이
된다고 봅니다.  난 지금 몹시 우울하다는거죠.  우울한건 호르몬 영향입니다.    -100에서 0까지 도달하려면
아주 오랜시간이 걸립니다.     -100을  기준점 0까지 끌어올리는게 아니고 .    -100을 새로운 기준점으로 만들어서
살아야합니다.    우울증을 비롯한 정신병이 있는 사람들은  자신이 우울증에 걸렸다고 자각합니다.  
이게 가장 큰 문제입니다.    마치 자신이 뚱뚱하다고 생각해서 계속 살을 빼는 사람이나  못생겼다고 계속 성형을
하는 사람등등.  <이런것도 우울증의 원인중에 하나죠. 강박증같은거. 보통 우울증에 걸린사람들은 몇가지
증세가 동시에 옵니다. 강박증. 불안증. 건강염려증.등등      강박증이 있어서 우울증이 올수도 있고
현대인들은 성공에 대한 강박증이 많으니까 우울증도 증가하는거죠.   
제가 우울증 약을 먹어봤는데요.   우울증 약은 세로토닌재흡수억제제죠.  우울한 사람들은 세로토닌양이 적습니다.
약을 먹게되면 세로토닌이 정상분비되는데 안정감이 듭니다.   마치 진통제를 먹었을때와 비슷한 느낌이죠.
그러나 안정감이 왔다고 해서 마음대로 약을 끊어버리면  증상이 더 심해집니다.
 
진짜 우울증이어서 자살충동이 드는 상황이면 약을 먹는게 좋구요.  
약먹기 싫으면    위에 말한 난 -100인 인간이다.  이걸 자각하고  여러가지 활동을 하는게 좋습니다. 그러면 서서히
좋아지죠.   우울증약도 비슷한 원리입니다.   호르몬 조절로 환자가 우울감을 못느끼게 해줘서  0의 상태로 만들어
주는거죠.  그래서 우울증 약은 지켜보면서 몇달 먹어야합니다.  
[레벨:6]홍가레

2015.01.20 (01:20:46)

다시 읽어보니 우울증에 관한 내용이 아니었군요 ㅎㅎ

 

단지 마음의 병?     마음의 병은 없다고 생각하는데.

 

존엄을 획득하면.   한단계 위로 상승하면 저절로 치유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1892 점점 재미가 사라지는 정글의 법칙을 보다가 1 까뮈 2015-01-17 2174
1891 천지불인. 2 아제 2015-01-17 2281
1890 구조적 글쓰기 2 냥모 2015-01-18 3196
1889 애니메이션에 사실성을 추가하는 12가지 방법 image 오리 2015-01-18 3576
» 정신과 전문의들이 말하는 바라보기, 인정하기 효과에 대해서. image 2 파워구조 2015-01-18 3023
1887 사람들은 왜 80년대를 추억하지 않을까? 7 까뮈 2015-01-18 3029
1886 돈이란, 茶와 같다. 5 아란도 2015-01-19 2750
1885 <움직임과 공간> 3 아란도 2015-01-20 2489
1884 이상우님께 질문드립니다. 6 새벽이슬2 2015-01-21 2415
1883 구조론 정기 모임 알림 image 챠우 2015-01-22 1990
1882 구조론 광주 모임 탈춤 2015-01-23 1868
1881 <잉여는 잉여가 아니다> image 5 아란도 2015-01-23 3866
1880 새해에 다이어트를 하실분들께 추천하는 책 락에이지 2015-01-23 2505
1879 개그일번지 2 챠우 2015-01-25 2157
1878 It's My Life 3 락에이지 2015-01-25 2271
1877 보수? image 2 홍신 2015-01-25 2346
1876 P2P 환전/송금 서비스 TransferWise 7 오리 2015-01-27 3494
1875 [스크랩]강대국 싸움에 표적이 되는 한국 홍신 2015-01-27 2159
1874 구조론 정기 토론회 image ahmoo 2015-01-29 1847
1873 생각의 정석 파일 질문 2 락에이지 2015-01-30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