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718 vote 1 2015.01.02 (20:35:22)



이 동영상에 따르면 인류는 무려 6백만년 전부터 진작에 직립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300만년 전에 침팬지 무리에서 갈라져 나왔다는 기존의 학설은 틀린 것일 수 있다고 합니다.


예상과 달리 600만년 전의 직립은 이후 수백 만년간 뇌용적을 전혀 늘리지 않았다고 합니다.

200만년 전에 갑자기 영장류의 뇌용적이 늘어났다는 겁니다.


뇌용적의 증가는 당시 일어난 북아프리카의 주기적인 환경변화와 관련이 있다고 합니다.

환경과의 상호작용이 진화를 촉발했다는 점은 구조론과 가깝습니다


변화 그 자체가 인류의 진화를 촉발했다고

당시 환경이 호수에서 사막으로 다시 호수로 계속 바뀌었다는 거.


잦은 환경변화가 키질효과로 뇌용적이 작은 영장류를 제거한 거.

대진화는 대멸종과 관계가 있습니다.


대멸종은 불안정한 신종의 환경적응을 도우니까요.

진화는 모듈 단위로 일어나므로 불안정하며 진화한 종은 초기에 살아남기 어렵고


그 때문에 진화는 잘 일어나지 않으며

유전체계에서 관측되는 많은 부분은 진화가 아니라 반대로 진화의 방해입니다.


그 방해의 빗장이 풀릴 때 그러한 마이너스에 의해 진화가 일어나는 거.

즉 무에서 갑자기 진화가 플러스되는 것이 아니라 


미리 예비되어 잠복해 있던 진화가 어떤 계기로 방해자가 제거되어 빗장이 풀리는 형태로 

진화가 일어나며 자연의 많은 부분들은 그러한 빗장의 풀림을 막아 


진화가 잘 일어나지 않도록 세팅되어 있습니다.

이는 앞으로 더 많은 진화가 일어날 가능성이 없다는 뜻이며


반대로 인류가 멸종할 대재앙이 닥치면 대단한 진화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는 거.

지구는 작은 별이고 누가 뜨려면 누가 자리를 비켜주어야 한다는 거. 


진화가 모듈단위로 일어난다는 것은 기존의 집단 안에서 

갑자기 진화한 개체가 살아남을 수 없다는 것입니다.


먹이선택부터 걷는 방법, 도구사용 방법 등 모든 것이 다르니까.

진화한 개체는 소속한 집단을 떠나 완전히 다른 서식지로 옮겨가야 한다는 거죠.


그럴 가능성이 없으므로 반대로 환경이 다른 데로 옮겨가 버리면

기존의 무리는 먹이를 찾아 다른 곳으로 이동해 버리고


반면 진화한 개체는 무리를 따라가지 않고 거기에 남는다는 거죠.

진화한 개체는 변한 환경에 따라 달라진 먹이에 적응할 수 있으니까.


침팬지가 주로 풀이나 과일을 먹는데 비해 

인간이 지렁이나 올챙이 개구리 물고기 등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훨씬 다양한 먹이를 취식한다는 거.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8766
958 푹신한 거 찾지마라. image chowchow 2022-01-20 3305
957 의미를 버리고 에너지의 흐름에 올라타라 (제민 칼럼) 3 ahmoo 2013-01-08 3305
956 구조론 연구 운영 제안 7 앤디 2016-09-02 3303
955 아이의 거짓말 김동렬 2014-08-06 3303
954 혼자 가기로 했다 2005 05 26 image 3 눈내리는 마을 2012-11-04 3302
953 생각의 정석 90회 3 오세 2015-08-15 3301
952 구조론 캠핑. 4 아제 2011-01-31 3301
951 생각의 정석 92회 1 오세 2015-09-04 3300
950 2022년도 세계 상황 2 dksnow 2022-09-29 3299
949 [제민포럼] 문화가 답이다 3 ahmoo 2015-05-22 3297
948 생각의 정석 25회 image 오세 2014-02-06 3297
947 철학이란 무엇인가? 1 김동렬 2016-09-06 3296
946 개기월식을 찍어보세. image 4 김동렬 2014-10-09 3296
945 생각의 정석 69회 오세 2015-03-06 3293
944 생각의 정석 81회 오세 2015-06-08 3292
943 물때표의 진실 image 김동렬 2018-11-20 3288
942 영감을 주는 단편영화, Curve 2016 1 이금재. 2020-06-27 3287
941 핀란드로 볼때, 유목민 문화와 DNA 가 맞다 눈마 2016-04-10 3282
940 생각의 정석 98회 5 오세 2015-10-25 3277
939 생각의 정석 129회 오세 2016-05-28 32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