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2]기똥찬
read 3593 vote 0 2012.12.17 (17:25:12)

2012년 풀지 못한 생각 9가지

 

올 한 해 돌아봅니다.

올 한 해 마감하면서 허접하게 고민 좀 했던 거 생각해 보았어요.

혹시 참신한 조언 좀 들을 수 있으면 좋겠고.

기분 좋은 +3% 승리의 19일 밤 맞이해요.

 

1. 2000년대 최고 베스트셀러였던 자기계발서라면 ‘꿈꾸는 다락방’인데요, 이 책의 핵심은 vd=r 이라고, 뭐든 생생하게 그리면 자동으로 현실이 된다는 글이지요. 뭐든 간절하게 되고 싶은 것을 생생하게 그리면 현실이 될 수 있다는 논리가 사람들의 로또 욕망을 엄청나게 자극했는데요...

vd=r 라는 개념이 구조론의 연역방식과 좀 유사한 측면이 있는 듯 해서요.

 

2. 구조론의 매력은 공간이 해결할 수 없는 문제를 시간으로 풀어 해결할 수 있고 시간으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를 공간으로 해결할 수 있다.... 이런 생각이 바른지, 혹은 약점이 있는지?

 

3. 존엄은 ‘만날 사람을 만나는 것’이라고 정의돼 있네요. 내가 타인을 존엄하게 대하고 싶다면 어찌해야 할까요? 같은 토대를 공유하고 타인의 생각을 존중하고 판단의 자유의 주고 상호작용을 하는 걸까요? ‘타인’을 향한 존엄의 실천을 어떻게 해야 할까요?

 

4. 상호작용... 질의 상호작용, 양적인 상호작용에 대하여. (우리 회사는 양적인 측면에서 상호작용은 세계 넘버1일듯^^)

 

5. 젊은이들에게 창의성을 키우는 간단한 교육프로그램(30분에서 1시간정도)을 강의실에서 적용해 보는 미션을 하나 해보려 끙끙대 왔는데... 주어진 시간, 주어진 공간에게 주어진 젊은이들을 조금이나마 창의적인 사람들로 변화시킬 수 있는 아이디어 팁?

 

6. ‘열정’이란 단어의 포지션은? 상부구조의 만남을 이뤄내는 본드 아니면 만남 뒤에 나오는 하부구조의 에너지?

 

7. 단 하나의 전제를 포착하는 것이 질을 발견하는 것!

그러나 사람들은 저마다 자신의 프레임으로 각기 다른 전제를 포착할 수 있습니다. 커피의 전제가 자연일수도, 커피 잔일수도, 사랑의 마음일수도 있는 것! 그래서 사람은 다른 곳을 보지 않을까?

자연 -> 커피

커피잔 -> 커피

무역 -> 커피

카페 -> 커피

마음(배려) -> 커피

올바른 전제를 포착했다고 검증할 수 있는 방법은? 더 이상 전체가 없을 때?

 

8. 기능 -> 디자인.

기능이 단순하면서 심플

기능이 단순하면서 안 심플

기능이 다양하지만 심플

기능이 다양하지만 안 심플

질의 심플과 양의 심플이 있을까?

 

9. 새해 초딩인 아들, 딸녀석에게 들려주고 싶은 구조론 적인 인생의 덕담 한마디를 들려준다면?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2.12.17 (19:06:06)

강론게시판에 답을 써놨소.

프로필 이미지 [레벨:12]wisemo

2012.12.17 (20:26:02)

7번 '전제'에 관한 언급이신데 저도 '전제'와 '진술'의 일치라고 해야 할까 뭐 이런 것을 어렴풋이 이해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A면 B다' 라거나 

'이게 이렇게 되면 저게 저렇게 된다' 거나

'기승전결'이거나

'인과'거나

모두 전제면 진술이 있다로 볼 수있을 것 같습니다.


따라서 나라는 존재의 전제는 부모님의 만남인 것 같습니다.

전제가 맞지 않으면 1초만에 거짓이라는 말씀도 이래서 이해가 되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대(궁극의)전제는 '사건에서는 진리가 되고, 개인에게는 신'이 되는 가 봅니다.


근혜가 전열사 동상에 가는 것은 진술이고

이것이 1초만에 가짜인 것이 그 '전제'가 되어야할 진솔함이 한번도 표출된 적이 없었던 것이듯이

와락눈물쎈터에 한번이라도 들어 눈물을 한됫박이라도 쏟아낼 일이 없었듯이... 가짜가 그래서 가짜임을 봅니다.


이것 좀더 배우면 심봤다 나올 것 같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3272 대화법은 교사가 학급을 운영하는데 필수조건인가? 1 이상우 2013-01-29 3206
3271 2010년 가을 전시 작품 image 6 나무그리는이 2011-02-07 3206
3270 [공지] 구조론연구소 정기모임 image 냥모 2014-01-08 3205
3269 쇼생크 탈출에서 엿본 끽다거 스타일 2 15門 2013-02-03 3205
3268 삼성이냐 인텔이냐 애플의 선택 image 3 카르마 2012-02-03 3205
3267 메탄 하이드 레이트. 아제 2011-01-31 3203
3266 부모가 자녀를 대하는 태도가 자녀의 미래를 결정합니다. 1 이상우 2011-01-31 3202
3265 개천절 구조론 모임 image 1 ahmoo 2013-10-02 3201
3264 진보와 진보자유주의는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가? 아란도 2011-09-10 3201
3263 구조적 글쓰기 2 냥모 2015-01-18 3199
3262 독일의 Piraten(해적당) image 3 풀꽃 2011-09-21 3198
3261 구조론 잘받았습니다. 2 폴라리스 2009-01-23 3198
3260 축하합니다. 2 어울림 2008-12-30 3198
3259 직딩이야기 6 기똥찬 2013-01-08 3197
3258 산도 기력을 잃은 듯.... 14 표준 2014-02-24 3196
3257 안녕하세요 가입인사 드립니다 ^^ 4 Lynn 2012-12-25 3196
3256 공감의 시대 image 스마일 2013-10-29 3194
3255 구글의 놀라운 기술 image 2 오리 2011-04-04 3193
3254 블랙홀! 왜 그런 모양인가? image 1 오리 2019-05-24 3190
3253 진보에 방향, 예술과 기술. image 11 ░담 2012-02-12 3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