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상록
read 5050 vote 0 2006.10.11 (23:42:59)


깨달음은 이심전심의 깨달음이다. 이심전심은 소통(疏通)이다. 소통하기 위해서 깨닫는다. 그리고 창조하기 위해서 소통한다. 소통의 결실은 창조다.

창조의 의미는 완성이다. 완성의 가치는 미(美)다. 미는 닮음에 있다. 닮은 것은 친(親)하다. 친한 것은 끌어당긴다. 끌어당기는 것은 사랑이다.

깨달음의 완성은 창조다. 창조는 닮음의 창조이며 닮음은 끌어당기며 끌어당기는 것은 사랑이다. 그렇게 신의 완전성을 담아낸다.

소통은 고립된 한 개인의 인식에서 그치지 않는다. 깨달음은 인간에게 자유를 준다. 자유가 실천을 촉발한다. 널리 소통하는 것이 대승(大乘)의 정신이다.

혼자서 소리를 낼 수 있는 북은 없다. 혼자만의 소통은 가능하지 않다. 서로는 만나야 한다. 만나서 손을 잡고 통해야 한다. 그러므로 깨달음은 사랑이다.

소통은 상대적이다. 상대와 닮아야 소통할 수 있다. 소통은 능동적이고 실천적이다. 소통은 사회적이고 참여적이고 대중적이다.

소통은 상대방과의 관계에 따라 달라진다. 상대가 남편이냐 아내냐 성인이냐 어린이냐 윗사람이냐 아랫사람이냐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므로 관계맺기가 중요하다. 세상과 어떤 관계를 맺을 것인가? 주인이 될 것인가 노예가 될 것인가 친구가 될 것인가? 깨달음은 세상과의 관계맺기다.

세상 속에서 자신의 위치를 찾는다. 위치는 성별로도 혹은 신분으로도 결정된다. 인종으로도 혹은 장애자로도 혹은 소수자로도 결정된다.

위치는 자신이 스스로 정한다. 자신을 여자로 혹은 남자로 혹은 아버지로 혹은 남편으로 혹은 노예로 혹은 주인으로 혹은 친구로 규정한다.

인간은 만물의 영장이다. 스스로 자신을 규정할 수 있다. 그 스스로 규정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만큼 세상과 만날 수 있다.  

관계맺기는 만남이다. 깨달음은 세상과의 거룩한 만남이다. 만남의 완성은 사랑이다. 사랑은 소통의 완성이다. 깨달음의 완성은 사랑이다.

아래에서는 위를 바라본다. 기슭에서는 정상을 바라본다. 그러나 정상에서는 또다른 지평이 열린다. 그곳에 또다른 세계가 있다.

깨닫지 못한 사람은 고(苦)에서 벗어나기 위해 정상을 바라본다. 무지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깨달음을 구한다.

그러나 정상에서는 또다른 세계를 발견한다. 그것은 만남이며 만남에 의한 소통이며 소통에 의한 사랑이며 사랑에 의한 창조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331 어떤 글에 대한 글 2002-09-10 3610
330 새롬과 다음의 합병가능성에 대하여 2002-09-10 3611
329 인터넷 어디까지 가는가? 2002-09-10 3612
328 인간의 굴레 2002-09-10 3612
327 더하고 뺄 것을 말해조 2002-09-10 3614
326 2002-09-10 3615
325 상식이 전도된 시대를 살면서 2002-09-10 3617
324 웃음 2002-09-10 3617
323 왜 영화인가? 2002-09-14 3631
322 80 대 20의 법칙의 비밀 2 2002-09-10 3632
321 띵풀 아마고수들에게 사약을 내린다 2002-09-10 3635
320 모든 조직은 불필요하다 2002-09-10 3641
319 21세기경제학에 대하여 2002-09-10 3647
318 80 대 20의 법칙의 비밀 2002-09-10 3647
317 성소의 성공과 실패 1. 2002-09-22 3649
316 나는 자유가 그립다 2002-09-10 3650
315 야후와 네이버 - 누가 승자가 될 것인가? 2002-09-10 3653
314 경상도에서 투표하기 2002-09-10 3657
313 옳은 것은 옳은 것이 아니다 2002-09-10 3677
312 영화 성냥팔이 소녀의 재림을 어떻게 볼 것인가? 2002-09-10 36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