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9409 vote 0 2008.08.25 (20:03:49)


사이즈 문제로 그림이 깨지는데 원본은 구조론 까페에 있습니다.

 

 

모래시계의 잘록한 부분이 하는 역할이 저울의 계량과 같다는 점에 주목하기다.

 

 

 

우주는 거대한 하나의 모래시계다. 그러면서 작은 모래시계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시스템이다. 지구도 모래시계이고 원자도 모래시계이다. 세포가 쌓여 생물을 이루듯이 모래시계가 쌓여 우주라는 시스템을 건축한다.

 

 

 

한국의 전통 대저울은 천칭저울을 뒤집어서 한쪽 날개에 해시계의 긴 스크린을 준 것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update 2 김동렬 2024-05-27 2555
1941 클래식에 대한 관점 김동렬 2008-11-07 14592
1940 [초금] 지성이란 무엇인가? 김동렬 2008-11-06 16013
1939 깨달음 김동렬 2008-10-29 12615
1938 일단은 완성 이단은 계속 김동렬 2008-10-23 15320
1937 김기덕의 비몽 image 김동렬 2008-10-17 16714
1936 강마에의 호통이 필요한 이유 김동렬 2008-10-14 16404
1935 어떤 방문자 김동렬 2008-10-13 16824
1934 신과 나 김동렬 2008-10-05 15283
1933 스승과 제자 김동렬 2008-10-02 15113
1932 구조론의 세계로 들어가기 김동렬 2008-09-30 14723
1931 구조론의 가는 길 김동렬 2008-09-26 14823
1930 미국의 부도 김동렬 2008-09-22 16329
1929 신과 나 그리고 세계인격 김동렬 2008-09-20 12959
1928 사랑의 구조 김동렬 2008-09-12 15333
1927 기독교도는 왜 사랑하지 않을까? 김동렬 2008-09-09 16151
1926 깨달음은 의사소통 수단이다 김동렬 2008-09-08 15014
1925 권정생, 이오덕, 김용택의 진정성? 김동렬 2008-09-05 15820
1924 깨달음의 구조(수정) 김동렬 2008-09-03 14101
1923 개념의 구조 김동렬 2008-09-01 13822
1922 공룡의 멸종원인 2 김동렬 2008-09-01 15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