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925 vote 0 2023.10.24 (16:27:06)

      
    내게는 한 가지 의문이 있었다. 아무도 내 의문에 답해주지 않았다. 비슷하게 근처에 간 것도 없었다. 스스로 묻고 스스로 대답할 수밖에. 모든 것의 근원에 대해 이야기하지 않을 수 없다. 아무도 그것을 말하지 않았으므로 내가 말할 수밖에.


    물질은 단서다. 추론해야 한다. 마음은 비유다. 정신과 물질의 이항대립은 주인과 노예의 권력관계에 비유한 것이다. 유심론은 유물론이 앞세우는 물질이 추론의 단계를 거치지 않았으므로 답이 될 수 없다고 보고 대체재를 찾으려는 모색이다.


    인간은 있다. 우주도 있다. 둘은 연결되어 있다. 그것을 연결하는 것이 있다. 어떤 것이 있는 이유는 그것이 있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있는 것을 있게 하는 그 이전의 존재는 무엇인가? 그것은 신이다. 신의 존재를 알 뿐 자세한 내막은 모른다.


    판 구조론이 정립되기까지 베게너의 대륙이동설은 잘 설명되지 못했다. 뉴턴의 중력이론이 정립되기까지 지동설은 잘 설명되지 못했다. 설명이 매끄럽지 못하다고 존재를 부정할 수는 없다. 잃어버린 고리를 핑계로 진화를 부정할 수는 없다.


    뿌리를 거슬러 올라가면 모든 변화가 하나의 소실점에 모인다. 그것을 신이라고 말하면 어폐가 있지만 내가 임의로 다른 이름을 붙일 수도 없다. 신의 의미는 시대에 따라 변해왔다. 또 변해야 한다. 발명된 신은 우상이다. 신을 발견해야 한다.


    메커니즘


    우주는 액션이다. 액션은 방향전환이다. 추론의 근거는 방향전환의 단위가 되는 메커니즘이다. 메커니즘은 부름과 응답이 연결되어 의사결정의 단위를 이룬다.


    존재는 정靜이 아니라 동動이다. 물질은 정靜이다. 정은 인간의 관측에 붙잡힌 것이다. 물질은 인간이 관측할 수 있는 상태로 존재한다는 가정을 전제로 한다.


    자연이 인간을 위해 특별히 관측하기 좋은 상태로 존재할 리는 없다. 물질은 존재의 일부 성질을 반영할 뿐이다. 존재의 동動은 메커니즘의 추적으로 파악된다.


    존재는 메커니즘이다. 메커니즘은 부름과 응답의 연결이다. 유물론은 응답 측면에 주목한 것이며 유심론은 반대로 부름 측면에 주목한다. 한쪽만 보려고 한다.


    유물론은 부분적 진실이고 유심론은 유물론에 대한 의심이다. 우주에 방향전환이 있을 뿐이다. 액션과 그 액션을 결정하는 의사결정의 단위로 설명해야 한다.


    동動 정靜


    동動은 정靜이 될 수 있지만 정靜은 동動이 될 수 없다. 동은 움직이므로 충돌하여 나란해진다. 나란한 것이 멈춘 것이다. 정은 움직이지 않으므로 계속 정에 머물러 있다. 우주는 동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궁극적으로 우주에 액션이 있을 뿐이다.


    근대인의 물질중심적 사고, 원자론적 사고, 원소론적 사고는 정靜의 사유다. 존재가 제자리에 머물러 있다는 전제를 깔고 들어간다. 그 머무르는 자리를 물질이라고 하고, 원자라고 하고, 원소라고 한다. 그래야 인간이 관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막연히 자연은 인간이 관측하기 좋은 상태로 존재한다고 우긴다. 그 전제가 틀렸다. 물질은 존재가 공간에 붙잡힌 모습이다. 붙잡는 것은 매개다. 물질은 매개하는 형식이다. 매개는 공유다. 매개하는 것 중에 하나는 인간이다. 인간의 관측이다.


    인간에게 만져지면 물질이다. 만져지는 성질의 반은 인간의 사정이다. 인간의 관측은 왜곡된다. 존재가 존재를 관측해야 한다, 다이아몬드로 다이아몬드를 자르는 것과 같다. 만질 수 없는 부분을 알아내려면 자체 메커니즘으로 파악해야 한다.


    유물론, 원자론, 원소론은 인간 중심의 사고에 의한 왜곡이다. 자연이 인간을 위해 특별히 관측하기 좋은 형태로 서비스할 리가 없다. 사실 누구나 직관적으로 알고 있다. 그러므로 물질의 반대편을 보려고 한다. 유심론이 나온다. 역시 어거지다.


    물物 심心


    물질은 위치를 지키므로 외부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원자든 원소든 외부의 영향을 받지 않는 고유한 성질이 있다는 전제를 깔고 들어간다. 고립된다. 정신은 연결된다. 마음은 외부의 영향을 받는다. 마음은 갈대처럼 바람에 흔들린다.


    유물론은 물질의 고유한 성질에 의해 고립되고 유심론은 마음을 외부에서 붙잡아주므로 연결된다. 외부에서 붙잡는 것은 사회의 권력이다. 유심론은 자연의 존재를 인간 사회의 권력관계에 비유한다. 영혼이 주인이면 육체는 노예다.


    유심론은 특별히 주장하는 것이 없다. 고립되어 왜소해진 유물론을 못마땅해하고 의심할 뿐이다. 창조설이 진화론에 흠집내기를 시도할 뿐 자체 논리가 없는 것과 같다. 논리가 없으면 상대 실수에 반사이익을 얻는 정치술을 쓴다.


    상대편 주장에 부분적 오류가 발견되면 전체가 다 틀렸다고 우기는게 정치인의 흠집내기 기술이다. 과학을 정치로 하면 안 된다. 유심론은 유물론을 의심하고 오류의 가능성을 암시한다. 거기서 더 나아가려면 차원 도약이 필요하다.


    물질이 집합되면 크기가 있고, 정신이 연결되면 권력이 있고, 메커니즘이 완성되면 단위가 있다. 액션은 가장 높은 단위에서 격발된다. 최초 격발자는 신이다. 인간이 있고, 우주가 있고, 연결되어 있으므로 신은 있다. 그 이상은 모른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4293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3979
949 김마담 대 김마담 4 김동렬 2022-07-19 4155
948 원효의 화쟁사상 5 김동렬 2022-07-19 4282
947 조폭은 종교다 1 김동렬 2022-07-21 4149
946 구조론의 탄생 김동렬 2022-07-22 3267
945 윤석열의 살 길은? 3 김동렬 2022-07-23 3790
944 천부경 팔이 천공도사 image 김동렬 2022-07-23 3977
943 이해하기와 창의하기 1 김동렬 2022-07-24 3311
942 온난화의 위기와 고통의 방정식 김동렬 2022-07-24 3607
941 한국의 미래는 영국인가, 중국인가? 1 김동렬 2022-07-25 3514
940 돈 키호테의 의미 김동렬 2022-07-25 3984
939 이상은 이상하다 김동렬 2022-07-25 4369
938 인류 최고의 아이디어는 무엇인가? 김동렬 2022-07-26 3893
937 윤석열 폭탄이 터졌다 1 김동렬 2022-07-26 4699
936 구조와 권력 김동렬 2022-07-27 3288
935 윤석열이 까이는 이유 김동렬 2022-07-27 4457
934 이기는 힘 김동렬 2022-07-29 4372
933 국민이 잘못했다 1 김동렬 2022-07-30 3736
932 계급배반 투표? 지식배반 종교는? image 김동렬 2022-07-31 3900
931 이기는 방법 김동렬 2022-07-31 3737
930 구조론에 중독되기 김동렬 2022-08-01 40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