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우리 지구사회는 아직까지 상대성이론, 양자역학 등의 최신 과학?(1900년대임에도)의 도입이 안되고 있는 듯 하다. 과학이론이 진리의 임시적 정거장인 느낌은 있지만, 아직도 뉴턴역학, 유클리드기하학, 우리 세계에서만 통하는 오차가 있을 수 있는 과학체계에 기반되어 있는 듯 하다. 그이후의 발전은 사회의 앞단에서만 부분적으로만 적용되어 있는 것 같다. 단지 앞단과 뒷단(모든 사람들의 합의는 뒷단일까?)
의 딜레이는 100년이 넘는 과정이 되는가?

도대체 극우유튜브, 괴담유튜브등이 있을 이유가 무언가? 기술과학의 발전에도 그걸 쉽게 이용하는 인류는 아직도 예전의 종교를 버리지 못하고 있다.
종교가 문명의 발전 관점에서 사람들을 묶어 주는 초기도구였지만, 지금은 다른 ‘합리적 종교’가 있어야 하는데, 과학이 그 역할을 못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드론 무기 및 최신식 무기로 구시대의 종교전쟁을 벌이고 있다; 사실상 말은 붙이기 나름이고, 물리적 힘의 격돌이겠지만

프랑스의 수학자 에바리스트 갈루아에 대해 많이 알지는 못하지만, 어떤 전율을 느꼈다.
기술의 혁신, 과학, 그 앞단의 언어인 수학에 몸을 바치고 싶었지만, 여러 제도적, 정치적, 종교적? 장애물이 그의 삶을 덮쳤고, 그 자신도 사람들의 피로써 제도적 도구를 발전시켜야 하는 절차에 투신하고자 하다가 어처구니없게 죽어버렸다.

헌법, 법률 등도 붙이기 나름인 말인 것이 증명되고 있다.
인간은 사회적동물이다. 이말이 어렸을 적에는 멋있는 말이라고 생각했는데, 요새는 다르게 보인다. 사람들은 진리보다는 권력에 관심이 있다. 나 또한 경쟁자의 맞는 말을 수긍하는 데에는 스트레스를 받는다.
마이클 페러데이, 리제 마이트너, 소피 제르맹, 갈루아 등의 사례에서 보면 학계도 다르진 않더라.

사람은 일용할 권력이 있어야 살 수 있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젋음이 떠나고 있음에 따라 더욱 느끼고 있다.
권력의 디자인, 권력의 충돌 시 분쟁의 해결방법의 합의는 보이지 않는 손의 자연 상호작용에만 맡겨야 하는가? 법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게 요즘의 국면인듯 하다.

도구의 관점으로 본다면
기술, 과학의 혁신도 도구의 발전이고, 법과 제도, 사회합의, 종교 등도 도구의 발전이고, 이로 인해 과학적 도구의 개선 역시 촉발될 수도 있을 것인데, 제도적 도구의 변화는 왜이리 피가 많이 필요한 것인가..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9559
919 생각의 정석 93회 1 오세 2015-09-11 3246
918 인공지능이란 무엇인가? 이금재. 2021-05-17 3241
917 생각의 정석 15회 image 오세 2013-10-17 3241
916 생각의 정석 95회 오세 2015-10-06 3239
» 현 시대에 관한 개인적일 수 있는 생각들.. SimplyRed 2022-10-29 3236
914 오징어게임은 21세기 한미일 문학의 총결산 2 이금재. 2021-09-28 3234
913 아! 겸재 정선 -스마일 관리자* 2012-10-21 3233
912 지구는 추워요. image 1 김동렬 2017-01-08 3232
911 지성은 없다. -오세 관리자* 2012-10-21 3232
910 중간 점검 dksnow 2022-09-09 3231
909 제민일보 칼럼 - 방향을 이야기하는 교육 3 ahmoo 2012-05-30 3231
908 응답하라 대한민국 ahmoo 2014-01-20 3229
907 구조론과 강화학습 챠우 2016-12-16 3227
906 생각의 정석 101회 image 오세 2015-11-21 3223
905 생각의 정석 86회 오세 2015-07-11 3223
904 생각의 정석 9회 오세 2013-08-22 3219
903 생각의 정석 87회 1 오세 2015-07-18 3218
902 올 겨울 춥다? image 김동렬 2016-11-30 3210
901 생각의 정석 108회 3 오세 2016-01-09 3210
900 구조론이 옳다는 과학적 증거 4 김동렬 2014-03-27 3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