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172 vote 0 2022.07.22 (10:53:50)


    아스퍼거인은 연역으로 사고한다. 다 그렇지는 않겠지만 그런 경향이 있다. 꼬맹이 때부터 뭔가 다르다는 사실을 알았다. 부조화를 느낀 것이다. 어색하고 어긋난다. 겉돌게 된다. 끼면 불편하고 나가면 외롭다. 그게 뭔지 조사해 봤다. 구조론이 만들어졌다.


    저런 식으로 말하면 안 되는데? 일방적으로 선언하는 보통사람의 말하기 방법을 납득할 수 없었다. 그렇다고 내 말하기 방법이 좋은 것도 아니었다. 항상 전제를 깔고 말하게 되는데 일단 말이 길어진다. 그냥 ‘저 사람은 키가 크다’고 말하면 되는데 ‘저 사람의 영양상태가 좋은 것이 키로 나타났다는 사실을 우리는 포착할 수 있다.’고 복잡하게 말해야 뭔가 말을 한 듯이 느껴지는 것이었다.


    그렇게 말하면 왠지 기분이 좋다. 있어 보이잖아. 말에도 가오가 있다고. 폼이 있는 거야. 중국 고대 문헌은 꼭 부정어법으로 말한다. 그냥 좋다고 말하면 되는데 나쁘다고 말할 수는 없지 아니한가 하고 복잡하게 말한다. 그냥 먹겠다고 말하면 되는데 먹지 못할 이유가 무엇이란 말인가? 하고 쏘아붙인다. 문어체다.


    독특한 어법을 쓰다 보니 문장이 길어지고 문장이 길다 보니 대화에 끼어들 타이밍을 놓친다. 말해봤자 분위기를 깨뜨릴 뿐이다. 화기애애한 또래들의 대화 분위기에 잘 녹아들지 못하는 냉담한 관찰자가 되어버렸다.


    1. 말과 생각은 전제와 진술로 대칭을 지어 연역해야 한다.


    2. 전제와 진술을 통일하는 제 3의 것이 발견해야 할 조절장치다.


    3. 조절장치에는 권력이 있고 맥락이 있고 방향성이 있다.


    4. 계 안에서 한 방향으로 권력을 따라가고 맥락을 따라가는 것은 사건이다.


    5. 지식은 곧 분류다.


    6. 사건이 진행하는 질 입자 힘 운동 량 5단계로 모든 것을 분류할 수 있다.


    7. 시간과 공간과 물질은 없고 상호작용구조 안에서 에너지의 일방향성이 있다.


    8. 사건은 닫힌계 곧 상호작용구조 안에서 일어난다.


    9. 상호작용은 둘의 연결이 유지되는 방향으로만 진행된다.


    10. A의 변화와 B의 변화를 통일하는 C는 변하지 않지만 그 C가 변할 때는 연결상태를 유지하는 일방향이며 닫힌계 안에서 그 역은 상호작용이 끊어진다.


    11. 존재는 인간이 가리켜 지목하는 어떤 객체에 없고 어떤 둘의 관계에 있다.


    12. 존재는 없고 의사결정구조가 있을 뿐이며 같은 결정을 반복하는게 존재다.


    13. 어떤 A는 성질을 가질 수 없고 어떤 A와 B의 C에 대한 상대적인 거리가 성질을 가진다.


    15. 원자든 양자든 소립자든 지목되는 자는 성질이 없다.


    인간의 언어는 자연의 있는 그대로를 반영하지 못한다. 도가도 비상도이며 명가명 비상명이다. 작은 언어에 큰 자연을 때려넣으므로 에러가 발생한다. 반대로 큰 자연에 작은 언어를 종속시켜야 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1691
5986 거북선은 2층이다. image 김동렬 2022-08-23 3607
5985 원인은 결과를 이긴다 김동렬 2022-08-21 3797
5984 이기는 힘과 지렛대 김동렬 2022-08-18 4167
5983 차별과의 전쟁 김동렬 2022-08-18 4102
5982 이기는 힘과 합기술 image 김동렬 2022-08-17 4129
5981 간신 이준석 1 김동렬 2022-08-16 4723
5980 생즉사 사즉사 이준석 2 김동렬 2022-08-15 4762
5979 긍정어법 1 김동렬 2022-08-14 4498
5978 이준석의 몰락 김동렬 2022-08-13 4620
5977 깨달음이란 무엇인가? 김동렬 2022-08-12 4506
5976 이것이 윤석열 효과 image 1 김동렬 2022-08-12 4289
5975 질서도의 우위 김동렬 2022-08-11 3821
5974 폰트롤타워 윤석열 1 김동렬 2022-08-10 4431
5973 김건희 이준석 수수께끼는 풀렸다 김동렬 2022-08-10 4289
5972 자연과 권력 김동렬 2022-08-09 3642
5971 신은 누구인가? 3 김동렬 2022-08-08 4290
5970 구조론의 적 1 김동렬 2022-08-07 3968
5969 윤석열 죽음의 게임 김동렬 2022-08-07 4081
5968 이재명이 사는 법 2 김동렬 2022-08-06 4205
5967 이재명의 실책 1 김동렬 2022-08-06 4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