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262 vote 0 2022.07.22 (10:53:50)


    아스퍼거인은 연역으로 사고한다. 다 그렇지는 않겠지만 그런 경향이 있다. 꼬맹이 때부터 뭔가 다르다는 사실을 알았다. 부조화를 느낀 것이다. 어색하고 어긋난다. 겉돌게 된다. 끼면 불편하고 나가면 외롭다. 그게 뭔지 조사해 봤다. 구조론이 만들어졌다.


    저런 식으로 말하면 안 되는데? 일방적으로 선언하는 보통사람의 말하기 방법을 납득할 수 없었다. 그렇다고 내 말하기 방법이 좋은 것도 아니었다. 항상 전제를 깔고 말하게 되는데 일단 말이 길어진다. 그냥 ‘저 사람은 키가 크다’고 말하면 되는데 ‘저 사람의 영양상태가 좋은 것이 키로 나타났다는 사실을 우리는 포착할 수 있다.’고 복잡하게 말해야 뭔가 말을 한 듯이 느껴지는 것이었다.


    그렇게 말하면 왠지 기분이 좋다. 있어 보이잖아. 말에도 가오가 있다고. 폼이 있는 거야. 중국 고대 문헌은 꼭 부정어법으로 말한다. 그냥 좋다고 말하면 되는데 나쁘다고 말할 수는 없지 아니한가 하고 복잡하게 말한다. 그냥 먹겠다고 말하면 되는데 먹지 못할 이유가 무엇이란 말인가? 하고 쏘아붙인다. 문어체다.


    독특한 어법을 쓰다 보니 문장이 길어지고 문장이 길다 보니 대화에 끼어들 타이밍을 놓친다. 말해봤자 분위기를 깨뜨릴 뿐이다. 화기애애한 또래들의 대화 분위기에 잘 녹아들지 못하는 냉담한 관찰자가 되어버렸다.


    1. 말과 생각은 전제와 진술로 대칭을 지어 연역해야 한다.


    2. 전제와 진술을 통일하는 제 3의 것이 발견해야 할 조절장치다.


    3. 조절장치에는 권력이 있고 맥락이 있고 방향성이 있다.


    4. 계 안에서 한 방향으로 권력을 따라가고 맥락을 따라가는 것은 사건이다.


    5. 지식은 곧 분류다.


    6. 사건이 진행하는 질 입자 힘 운동 량 5단계로 모든 것을 분류할 수 있다.


    7. 시간과 공간과 물질은 없고 상호작용구조 안에서 에너지의 일방향성이 있다.


    8. 사건은 닫힌계 곧 상호작용구조 안에서 일어난다.


    9. 상호작용은 둘의 연결이 유지되는 방향으로만 진행된다.


    10. A의 변화와 B의 변화를 통일하는 C는 변하지 않지만 그 C가 변할 때는 연결상태를 유지하는 일방향이며 닫힌계 안에서 그 역은 상호작용이 끊어진다.


    11. 존재는 인간이 가리켜 지목하는 어떤 객체에 없고 어떤 둘의 관계에 있다.


    12. 존재는 없고 의사결정구조가 있을 뿐이며 같은 결정을 반복하는게 존재다.


    13. 어떤 A는 성질을 가질 수 없고 어떤 A와 B의 C에 대한 상대적인 거리가 성질을 가진다.


    15. 원자든 양자든 소립자든 지목되는 자는 성질이 없다.


    인간의 언어는 자연의 있는 그대로를 반영하지 못한다. 도가도 비상도이며 명가명 비상명이다. 작은 언어에 큰 자연을 때려넣으므로 에러가 발생한다. 반대로 큰 자연에 작은 언어를 종속시켜야 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3883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3483
5988 계의 마이너스 통제원리 1 김동렬 2020-03-17 2850
5987 이재명 문재인 그리고 1 김동렬 2023-03-02 2850
5986 한국의 생태적 지위 1 김동렬 2022-04-22 2852
5985 마광수와 화사 김동렬 2023-09-12 2854
5984 인간이냐, 짐승이냐? 1 김동렬 2022-02-13 2855
5983 공화주의와 자유주의 2 김동렬 2020-08-03 2857
5982 구조론은 무엇으로 사는가? 2 김동렬 2021-07-06 2860
5981 기득권 엘리트를 타격하라 김동렬 2020-09-06 2861
5980 우주의 방향은 셋이다 김동렬 2021-03-18 2862
5979 자극과 반응 김동렬 2022-01-18 2865
5978 어리석은 손혜원 황교익 김동렬 2022-06-03 2866
5977 예정설과 맞대응설 3 김동렬 2020-02-03 2870
5976 공간의 인과법칙 구조론 1 김동렬 2021-09-21 2871
5975 최적화 원리 1 김동렬 2019-08-12 2874
5974 기본으로 돌아가라 3 김동렬 2019-12-13 2876
5973 일원론의 사유 1 김동렬 2020-07-18 2880
5972 세상은 대칭으로 이루어져 있다 1 김동렬 2020-09-16 2881
5971 행복이 아니라 에너지다 1 김동렬 2019-07-24 2882
5970 검사 위에 국민 있다 김동렬 2021-03-13 2885
5969 존재론과 인식론 김동렬 2021-04-19 28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