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8]아제
read 4991 vote 0 2010.12.09 (23:57:41)

꽃이 있었단다.

아무 것도 아니었겠지..

 

그 꽃의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비로서 그 꽃과 나는 각별한 관계가  되었겠지..

 

그 각별함이 의미라고 하는 것이겠지..

의미..

 

보온상수라는 시인이 있었나 보다.

보온병일 수도 없는 아무 의미없는 그것을

 

상수가 이름을 불러 주었지..

보온병~

사랑해..

 

외로운 보온병은 상수의 품에 안겨 하나가 되었지..

포탄으로 거듭난 보온병은 상수의 각별한 의미가 되었지..

 

오래오래 서로 사랑하길 바래~

행복해야돼~ 빠이~

 

======

 

꽃을 모욕하면 안된다.

꽃은 저만치 혼자 피어 있다.

 

진달래 꽃..

그대가 그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그대가 그 꽃을 사랑한 것임에는 틀림없지만..

그 꽃이 고개를 돌려 그대를 바라봤다는 것은 그대 착각이다.

 

꽃은 그대가 이름을 불러주기 전에 이미 거기 있었다.

그대가 아름다운 이름으로 부르나 저주의 욕을 퍼붓거나

 

꽃은 항상 저만치 그렇게 피어있다 

저만치는 <이미>이고 그렇게 피어있는 것은 <존재>이다.

 

이미 존재하고 있다.

그대는 그 존재에 어떤 영향도 끼칠 수 없다.

 

존재론과 인식론.

 

=======

 

인식은 존재를 건드릴 수 없다.

이건 외워야 한다.

 

그대가 사랑하든 미워하든

그대는 존재의 꽃을 건드릴 수 없다.

 

인식은 다른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는 있으나

인식이 존재를 어떻게 하지는 못한다.

 

내가 그 꽃의 이름을 불러주었을 때

그 꽃이 나에게로 와서 하나의 의미가 되었다?

 

천만에~

그대가 영향을 끼친 것은 그 꽃이 아니라

그대 옆에 있는 어떤 여인이다.

 

그대가 그렇게 이름을 불렀을 때..

그대 품에 안긴 것은 꽃의 존재가 아니라

또 다른 인식의 여인인 것이다.

 

인식은 존재를 건드릴 수 없다.

인식은 인식에게만 가닿는다. 

 

그것이 인식론과 존재론이다.

아니, 인식과 존재의 관계다.

 

인식은 존재 때문에 존재하지만..

존재는 인식과 행불상수의 관계다.

 

=========

 

강물은 존재론이다.

그래서 강은 굽이굽이 흘러간다고 한다.

 

그렇다면 인식은 무엇인가.

그 흐르는 강물을 찍은 사진이거나 혹은 동영상이다.

 

인식은 찍은 것이다.

강물은 그 인식의 카메라가 잘 찍었든 못 찍었든 전혀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래서 굽이굽이 흐른다고 하는 것이다.

설사 굽이굽이 흐르는 동영상을 찍는다 해도

 

강물이 잠시 포즈를 취한다거나 연출한다거나 하지 않는다.

존재는 인식과는 전혀 상관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혹은 존재가 냉정하다고 한다.

웃기는 소리다.

 

자동차 기름 게이지와 같다.

그대가 아무리 애를 써도 기름 게이지는 자꾸만 내려갈 뿐이다.

 

존재는 그대가 애를 쓰든 아니든..한방향으로 만 진행할 뿐이다.

존재에 화를 내면 안된다.

 

왜?

불경스러우니깐?

 

천만에..

존재는 그대가 불경하다하든 아니면 칭송을 하든..그냥 간다.

 

인식은 존재를 어쩌지 못한다.

인식은 인식에게만 영향를 줄 수 있을 뿐이다.

 

귀신은..

귀신에게만 영향을 미친다.

 

가짜는 가짜끼리 노는 것이다.

딴나라는 딴나라끼리 통하지 진짜 나라에서는 허사다.

 

=======

 

꽃.

그대는 꽃이다.

 

꽃은 존재다.

그대는 존재다.

 

누가 그대에게 "장미야~"라고 부른다면

그대는 고개를 돌려 그 부르는 소리를 바라 보겠지만..

 

그대는 장미가 아니다. 그것보다 더 크다.

그대는 꽃이다. 그대는 존재다.

 

누가 그대를 "아들아" 하고 부른다면..

그대는 "네"라고 대답 하겠지만..그대는 그 실상을 안다.

 

그대가 아들이 아닌 것을 그대는 안다.

아들은 인식이지만..꽃은 존재다.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동시에..

꽃에게는 의미가 발생하지만..그건 찰나에 불과하다.

 

인식의 이름에 인식의 대답을 했을 뿐이다.

그 꽃의 진짜 이름은 부를 수도 없고 대답할 수도 없다.

 

존재는 부를 수도 없고 대답할 수도 없다.

인식만 서로 부르고 답할 뿐이다.

 

인식이 서로 부르고 답한다..고 말하지만..

만약 존재없이 인식끼리 서로 대화한다면 그건 귀신놀음이다.

 

======

 

꽃은 저만치 피어있다.

인식으로 그 꽃의 이름을 부르지 말라.

 

존재로 그 꽃을 불러라.

강물의 그 깊은 언어로 굽이굽이 꽃을 불러라.

 

그대 역시 존재다.

존재가 존재에게 하는 방식으로

 

꽃을 불러라.

..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520
1875 우리 몸의 6가지 미스터리 4 김동렬 2012-11-23 6025
1874 짜증나는 그림 image 김동렬 2015-08-03 6024
1873 전제를 의심하라. 4 김동렬 2013-12-11 6022
1872 '괴벨스의 13대 어록' 비판 10 챠우 2015-01-06 6012
1871 이런 친구들과 일해볼수 있다면... 1 눈내리는 마을 2009-12-12 6005
1870 여와복희도. 2 아제 2010-02-06 5994
1869 역사의 밀물을 불러들인다. 3 오세 2009-12-20 5984
1868 개념없는 인공지능 image 2 chow 2023-06-05 5979
1867 우리말과 힌디어의 유사성 3 김동렬 2013-07-23 5960
1866 구조는 같다. image 20 김동렬 2014-04-03 5957
1865 스타워즈가 망하는 이상한 나라 한국 8 김동렬 2015-12-21 5937
1864 잘못 알려진 과학상식 image 김동렬 2014-03-04 5918
1863 정치는 박근혜처럼 해라. image 1 김동렬 2015-04-29 5913
1862 구조론적 개입 -양육- 3 오세 2010-07-12 5913
1861 구조론적 사유란 무엇인가? image 14 김동렬 2016-12-01 5911
1860 과학 속의 비과학 image 3 김동렬 2009-04-16 5904
1859 야심만만한 설정 ░담 2010-04-28 5903
1858 개 한 마리에 592억 image 2 김동렬 2014-06-30 5902
1857 TV의 발명 image 1 김동렬 2013-11-26 5901
1856 어휴...좀 어처구니없는 질문 드려보아요. 1 지구인 2008-09-24 58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