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5]다음
read 1670 vote 0 2020.08.16 (03:40:32)

메타학문은 어떤 학문보다 한 단계 높은 것으로 생각되곤 한다. 그러나 곰곰히 생각해보니 우리가 메타- 라고 말하는 것은 한 단계 낮은 것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질의 메타는 입자이고 입자의 메타는 힘이다.

즉 인류가 그동안 잘못된 방향으로 보고 있었다는 의미이다. 이 오류가 학문이 서로 연결되지 않고 말이 통하지 않는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문과와 이과가 서로 자기가 더 높은 단계라면서 기싸움을 하고 이것이 막대한 혼란을 주고 있다.

물리학은 깊은 영역으로 들어가면 수학이 된다는 말이 있다. 또 사회학 역시 물리학으로 수렴된다는 말도 있다. 이것이 착각을 일으킨다. 물리학이 수학에 의존한다고 해서 수학이 물리학보다 더 높은 것은 아니다. 오히려 물리학이 수학보다 더 높은 차원의 것이라는 것을 확실히 해야 한다. 수학만으로는 절대 물리학을 완전히 설명할 수 없다. 마찬가지로 물리학만으로는 절대 철학을 완전히 설명할 수 없다.

그러나 물리학을 서술하는 데는 반드시 수학이 필요하다. 비록 불완전하지만 물리학을 설명하려면 반드시 수학을 사용해야 한다. 우리는 이것을 메타-라고 부르고 이는 한단계 내려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메타물리학은 수학이다. 또 메타수학은 논리학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6168
1755 툰서방의 구조론 image 1 양을 쫓는 모험 2010-03-02 5371
1754 자와 콤파스. 1 아제 2010-02-06 5371
1753 탄허스님의 깨달음 image 2 김동렬 2016-05-09 5366
1752 대답해도 되는 질문 17 김동렬 2013-07-09 5343
1751 왕의 시대 그리고 민중의 시대 image 5 김동렬 2015-02-09 5342
1750 구조론적 육아법 2 김동렬 2012-02-20 5342
1749 손톱 발톱 모래톱 image 3 김동렬 2012-01-03 5341
1748 질문)구조론을 읽다가..질. 량. 아시는분? 2 x맨의 비극 2007-11-30 5340
1747 국민 불패 선거 구조 2 ░담 2010-06-03 5337
1746 파시즘의 도래 가능성 1 선풍기 2009-03-01 5318
1745 교사란 무엇일까요? 4 후추 2009-02-23 5287
1744 서늘한 날. image 3 참삶 2009-01-16 5283
1743 쉬어가며 읽는 글: 서로 다른 관점이 낳는 오해의 예 2 기준님하 2009-07-21 5277
1742 이스터 섬의 진실 4 김동렬 2014-06-30 5274
1741 질문 - 숨은 전제를 찾아보세요. 8 김동렬 2013-02-09 5271
1740 내가 미친건가? 13 오세 2010-02-17 5264
1739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image 오리 2023-04-26 5261
1738 뭔가 예언한 윤태호의 이끼 결말 image 김동렬 2016-11-20 5258
1737 통짜, 통짜 덩어리란 말 4 굿길 2010-01-05 5256
1736 구조론 3줄 요약 바람21 2022-07-31 5254